2019.10.29.불날. 맑음

조회 수 519 추천 수 0 2019.12.16 12:47:17


 

오전, 본관 앞 꽃밭들 잡초 정리.

나무들 가지도 좀 치고.

 

오후, 아침뜨락 벽돌로 길 깔기가 이어진다.

지난 해날 아침뜨들머리 계단 위 감나무 아래에서 옴자를 관통하는 길을 깐 데 이어.

옴자 끝 갈림길(아고라와 꽃그늘길로 갈라지는)에서부터 아고라 쪽으로.

수로에 이르기까지 풀을 패 내고 땅을 고르고 벽돌 놓기.

 

일을 하다보면 리듬이 있다.

춤을 추는 것과 다르지 않은.

그 부드러운 동선이 일을 더 편하게 하고 더 쉽게 하고 신도 나게 하고

일이 아니게(부담이지 않게) 하고.

무엇이나 그렇게, 사는 일도 그렇게 리듬을 탈 일이겠다.

 

저녁에 어른수업 하나 있었다.
그런데 일하는 현장으로들 왔네.

마저 깔자고 온 손들이 팔을 걷었더라.

이래서 빠지고 저래서 빠지면 공부는 언제 하누?”

그러면서도 손을 놓지 않은 나였어라.

 

어두어오는 달골에서 손들이 움직였다.

나중에는 손전화의 등을 켜서들 일했네.

내려와 김치국밥을 끓여먹었다.

옥샘 말씀대로 공부가 별 다른 게 있나요!”

맞다. 인문학 공부라고 책도 읽고 얘기하고 그림도 그리는데,

그것들이 일하는 움직임에 응축되고도 있는 걸.

서로 손이 부딪히지 않게 동선을 어찌 쓰면 될까,

내 몸에 덜 부담을 주면서 일이 제대로 하려면 힘을 어떻게 써야 할까,

벽돌들이 곡선을 잘 이루게 하려면 어느 정도의 각도여야 할까,

그러면서 단거리를 만들어내려면 또한 어떻게 해야 하지,

비탈진 곳에서 수평을 이루려면 어느 정도 한 쪽을 높여야 할까,

적지 않은 공부를 그곳에서 하고 있었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94 5월 16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5-21 1247
5093 4월 12일 불날 물먹은 하늘 옥영경 2005-04-17 1247
5092 2011. 6.15.물날. 맑음 / 보식 3일째 옥영경 2011-07-02 1246
5091 132 계자 여는 날, 2009. 8. 2.해날. 한 때 먹구름 지나 옥영경 2009-08-07 1246
5090 2008. 5.3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9 1246
5089 2007.10.10.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17 1246
5088 2007. 6.10.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246
5087 2006.8.27-30.해-나무날 옥영경 2006-09-14 1246
5086 2005.12.3.흙날.저녁답부터 밤새 내리는 눈 / 연수 하나를 마치고 옥영경 2005-12-06 1246
5085 6월 20일 달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5-06-23 1246
5084 5월 20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5-22 1246
5083 4월 21일 상설학교 첫돌잔치에 모십니다 옥영경 2005-04-24 1246
5082 2012. 7.28.흙날. 엿새째 폭염 / 152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7-30 1245
5081 2008. 4.20.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8-05-11 1245
5080 2007. 4.26.나무날. 봄날 같은 봄날 옥영경 2007-05-14 1245
5079 2006.10.14-5.흙-해날 옥영경 2006-10-16 1245
5078 2006. 9.13.물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06-09-19 1245
5077 2008. 3.16.해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244
5076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44
5075 2012. 2.16.나무날. 다시 한파 옥영경 2012-02-24 124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