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30.물날. 맑음

조회 수 549 추천 수 0 2019.12.16 12:48:00


 

요즘 오후 세 시간은 꼭 바깥 노동.

다른 집에서 잔디를 놓고 남은 게 좀 왔다.

사이집 남쪽 마당과 서쪽 마당에 잔디를 심다.

땅을 고르고 돌을 골라내기 여러 날이었더랬다.

봄은 돼야 어디고 잔디가 생기겠다 싶더니

마침 그렇게 남아돈 잔디가 있었더라.

양도 하루 세 시간 만치의 일이었네.

해 있을 때 철쭉과 느티나무 가장자리에도 잔디 몇 조각 덧붙여졌네.

서둘러 학교로 먼저 내려가

밀가루 반죽을 하여 떼며 수제비를 끓여냈다.

 

<다시 쓰는 한국 현대사>의 박세길 선생과 자리하다.

80년대 후반 그 책은 우리 세대 혹은 그 시대의 필독서였다.

민중을 말하던 시대에 민중 중심이었던 역사서였으니까.

88년에 그 책을 쓴 후 2019년 그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4차산업, 4차산업 하는데, 이 시기를 3차산업의 2단계 정도로 봐야 한다고 포문을 열다.

농업에서 공업으로의 이동인 1차산업시대,

전기를 원동력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2차산업,

ICT를 기반으로 한 경제지능화의 3차산업,

그리고 4차산업하면 떠오르는 AI자율주행, 3D프린트 같은 자동화,

이런 4차산업시대에 세계화를 어떻게 대처하고 불평등을 어떻게 해소할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4차산업시대, 인간중심경영

인간중심이라... 허망했다.

대개 어떤 이야기의 결론이 허망한 이유는 두 가지일 것.

한 가지는 너무 당연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일 때,

다른 하나는 대안 없는 원론만 반복하고 있을 때.

자동화의 이익이 노동자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예컨대 이마트의 자동화계산대 같은)

고스란히 사용자의 배를 불리는 이 시점에

나는 어떤 대답을 그에게 바랐던 걸까?

이 같은 질문에 대해 그는 말했다,

그런 세별 대응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그래서 각개전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해결이 필요했다고.

치악산에 짐싸들고 들어가서 가져온 결론이라.

자신의 의견에 대한 사회적합의를 도출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는데

그건 또 어떻게 하려는 걸까?

90분은 아주 짧은 시간.

그렇지만 진보 쪽에서 중도우파로 간 느낌은 짙더라.

일단 최근 나온 그의 책을 읽으리라.

나 역시 이 시대 무엇을 어떻게 할까를 여전히 고민하고 있다.

물꼬야말로 교육에서 원론을 말하고 있잖은가.

이렇게 하자 저렇게 하자 구체적 해법사례를 말할 때

정작 나야말로 철학을 말하고 있었다.

<내 삶은 내가 살게...>도 그 예인 셈이다.

그것 역시 원론이거나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답습한 것은 아닐까?

그래서 누구에게는 허망함일 수 있을.

질문이 남는 자리가 좋더라.

생각해보겠다. 이 시대에 나는, 물꼬는 정녕 무엇을 하려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14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546
5213 167계자 닷샛날, 2021. 1.21.나무날. 청아한 하늘 지나 빗방울 떨어지다/ 푸르나가 사는 마을 옥영경 2021-02-09 547
5212 168계자 사흗날, 2021. 8.10.불날. 창대비 억수비 내리는 오후 [1] 옥영경 2021-08-17 547
5211 2019.10.25.쇠날. 구름 좀 옥영경 2019-12-10 548
5210 2020. 1.29.물날. 흐린 사이 간간이 흩뿌리는 비 옥영경 2020-03-04 548
5209 2023. 8.21.달날. 오후, 걷힌 하늘 / 그대에게 옥영경 2023-08-22 549
5208 2019.10.23.물날. 빗방울 셋 옥영경 2019-12-10 550
» 2019.10.30.물날. 맑음 옥영경 2019-12-16 549
5206 2020. 4. 6.달날. 맑음 옥영경 2020-05-28 550
5205 168계자 이튿날, 2021. 8. 9.달날. 맑음 / 동쪽개울 수영장 개장 [1] 옥영경 2021-08-16 550
5204 청계 닫는 날, 2023.12.24.해날. 가만히 내리는 눈 옥영경 2023-12-31 550
5203 2023. 8.22.불날. 비 소식 있었으나 / 그대에게 옥영경 2023-08-26 551
5202 2019. 6. 3.달날. 맑음 옥영경 2019-08-03 552
5201 ‘2021 연어의 날’ 여는 날, 2021. 6.26.흙날. 틈틈이 내리다 그은 비 옥영경 2021-07-23 552
5200 2022. 4. 6.물날. 맑음 / 설악산 아래·6 옥영경 2022-05-03 552
5199 2023. 9. 2.흙날. 흐림 옥영경 2023-09-14 552
5198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➁ (2019.8.24~25) 갈무리글 옥영경 2019-10-10 553
5197 2019. 8.29.나무날. 흐림 / 때로 헤어짐을 지지함 옥영경 2019-10-11 553
5196 2019. 9. 4.물날. 비 / 조국 때문에 받은 문자? 옥영경 2019-10-16 553
5195 171계자 닷샛날, 2023. 1.12.나무날. 맑음, 늦은 밤 몇 방울 지나던 비가 굵어지는 / 멧돼지골 옥영경 2023-01-16 55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