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30.물날. 맑음

조회 수 517 추천 수 0 2019.12.16 12:48:00


 

요즘 오후 세 시간은 꼭 바깥 노동.

다른 집에서 잔디를 놓고 남은 게 좀 왔다.

사이집 남쪽 마당과 서쪽 마당에 잔디를 심다.

땅을 고르고 돌을 골라내기 여러 날이었더랬다.

봄은 돼야 어디고 잔디가 생기겠다 싶더니

마침 그렇게 남아돈 잔디가 있었더라.

양도 하루 세 시간 만치의 일이었네.

해 있을 때 철쭉과 느티나무 가장자리에도 잔디 몇 조각 덧붙여졌네.

서둘러 학교로 먼저 내려가

밀가루 반죽을 하여 떼며 수제비를 끓여냈다.

 

<다시 쓰는 한국 현대사>의 박세길 선생과 자리하다.

80년대 후반 그 책은 우리 세대 혹은 그 시대의 필독서였다.

민중을 말하던 시대에 민중 중심이었던 역사서였으니까.

88년에 그 책을 쓴 후 2019년 그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4차산업, 4차산업 하는데, 이 시기를 3차산업의 2단계 정도로 봐야 한다고 포문을 열다.

농업에서 공업으로의 이동인 1차산업시대,

전기를 원동력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2차산업,

ICT를 기반으로 한 경제지능화의 3차산업,

그리고 4차산업하면 떠오르는 AI자율주행, 3D프린트 같은 자동화,

이런 4차산업시대에 세계화를 어떻게 대처하고 불평등을 어떻게 해소할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4차산업시대, 인간중심경영

인간중심이라... 허망했다.

대개 어떤 이야기의 결론이 허망한 이유는 두 가지일 것.

한 가지는 너무 당연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일 때,

다른 하나는 대안 없는 원론만 반복하고 있을 때.

자동화의 이익이 노동자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예컨대 이마트의 자동화계산대 같은)

고스란히 사용자의 배를 불리는 이 시점에

나는 어떤 대답을 그에게 바랐던 걸까?

이 같은 질문에 대해 그는 말했다,

그런 세별 대응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그래서 각개전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해결이 필요했다고.

치악산에 짐싸들고 들어가서 가져온 결론이라.

자신의 의견에 대한 사회적합의를 도출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는데

그건 또 어떻게 하려는 걸까?

90분은 아주 짧은 시간.

그렇지만 진보 쪽에서 중도우파로 간 느낌은 짙더라.

일단 최근 나온 그의 책을 읽으리라.

나 역시 이 시대 무엇을 어떻게 할까를 여전히 고민하고 있다.

물꼬야말로 교육에서 원론을 말하고 있잖은가.

이렇게 하자 저렇게 하자 구체적 해법사례를 말할 때

정작 나야말로 철학을 말하고 있었다.

<내 삶은 내가 살게...>도 그 예인 셈이다.

그것 역시 원론이거나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답습한 것은 아닐까?

그래서 누구에게는 허망함일 수 있을.

질문이 남는 자리가 좋더라.

생각해보겠다. 이 시대에 나는, 물꼬는 정녕 무엇을 하려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94 2011. 5.22.해날. 갬 옥영경 2011-06-04 1225
5093 2009. 5. 2.흙날. 흐리다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9-05-12 1225
5092 2008. 3.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23 1225
5091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25
5090 2007.11.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21 1225
5089 2006.12.28.나무날. 눈발 옥영경 2007-01-01 1225
5088 2005.10.13.나무날. 달빛 고운 옥영경 2005-10-15 1225
5087 2012. 8. 4.흙날. 맑음 / 153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8-06 1224
5086 2011. 6. 3.쇠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24
5085 2009. 3.17.불날. 노란 하늘이나 햇살 두터운 옥영경 2009-03-29 1224
5084 2008.11. 2.해날. 꾸물럭 옥영경 2008-11-14 1224
5083 2008. 5.3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9 1224
5082 2008.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20 1224
5081 2007. 5.1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224
5080 2005.11.13.해날.맑음 / 중량(重量)초과(草果) 生 옥영경 2005-11-14 1224
5079 5월 25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5-27 1224
5078 152 계자 이튿날, 2012. 7.30.달날. 살짝 바람 지나고 가려지는 달 옥영경 2012-07-31 1223
5077 2011. 7. 4.달날. 볕 나고 갬 옥영경 2011-07-11 1223
5076 2010. 4.29.나무날. 새벽,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10-05-17 1223
5075 2007. 6. 1.쇠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2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