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30.물날. 맑음

조회 수 545 추천 수 0 2019.12.16 12:48:00


 

요즘 오후 세 시간은 꼭 바깥 노동.

다른 집에서 잔디를 놓고 남은 게 좀 왔다.

사이집 남쪽 마당과 서쪽 마당에 잔디를 심다.

땅을 고르고 돌을 골라내기 여러 날이었더랬다.

봄은 돼야 어디고 잔디가 생기겠다 싶더니

마침 그렇게 남아돈 잔디가 있었더라.

양도 하루 세 시간 만치의 일이었네.

해 있을 때 철쭉과 느티나무 가장자리에도 잔디 몇 조각 덧붙여졌네.

서둘러 학교로 먼저 내려가

밀가루 반죽을 하여 떼며 수제비를 끓여냈다.

 

<다시 쓰는 한국 현대사>의 박세길 선생과 자리하다.

80년대 후반 그 책은 우리 세대 혹은 그 시대의 필독서였다.

민중을 말하던 시대에 민중 중심이었던 역사서였으니까.

88년에 그 책을 쓴 후 2019년 그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4차산업, 4차산업 하는데, 이 시기를 3차산업의 2단계 정도로 봐야 한다고 포문을 열다.

농업에서 공업으로의 이동인 1차산업시대,

전기를 원동력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2차산업,

ICT를 기반으로 한 경제지능화의 3차산업,

그리고 4차산업하면 떠오르는 AI자율주행, 3D프린트 같은 자동화,

이런 4차산업시대에 세계화를 어떻게 대처하고 불평등을 어떻게 해소할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4차산업시대, 인간중심경영

인간중심이라... 허망했다.

대개 어떤 이야기의 결론이 허망한 이유는 두 가지일 것.

한 가지는 너무 당연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일 때,

다른 하나는 대안 없는 원론만 반복하고 있을 때.

자동화의 이익이 노동자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예컨대 이마트의 자동화계산대 같은)

고스란히 사용자의 배를 불리는 이 시점에

나는 어떤 대답을 그에게 바랐던 걸까?

이 같은 질문에 대해 그는 말했다,

그런 세별 대응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그래서 각개전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해결이 필요했다고.

치악산에 짐싸들고 들어가서 가져온 결론이라.

자신의 의견에 대한 사회적합의를 도출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는데

그건 또 어떻게 하려는 걸까?

90분은 아주 짧은 시간.

그렇지만 진보 쪽에서 중도우파로 간 느낌은 짙더라.

일단 최근 나온 그의 책을 읽으리라.

나 역시 이 시대 무엇을 어떻게 할까를 여전히 고민하고 있다.

물꼬야말로 교육에서 원론을 말하고 있잖은가.

이렇게 하자 저렇게 하자 구체적 해법사례를 말할 때

정작 나야말로 철학을 말하고 있었다.

<내 삶은 내가 살게...>도 그 예인 셈이다.

그것 역시 원론이거나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답습한 것은 아닐까?

그래서 누구에게는 허망함일 수 있을.

질문이 남는 자리가 좋더라.

생각해보겠다. 이 시대에 나는, 물꼬는 정녕 무엇을 하려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34 2023.12.12.불날. 비 개고 흐린 옥영경 2023-12-24 453
6533 2023.12.11.달날. 비 옥영경 2023-12-24 453
6532 2023.12.10.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21 444
6531 2023.12. 9.흙날. 흐림 옥영경 2023-12-21 471
6530 2023.12. 8.쇠날. 봄바람 부는 저녁 같은 옥영경 2023-12-21 474
6529 2023.12.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12-20 455
6528 2023.12. 6.물날. 맑다가 저녁 비 옥영경 2023-12-20 480
6527 2023.12. 5.불날. 어둡지 않게 흐린 옥영경 2023-12-20 467
6526 2023.12. 4.달날. 옅은 해 / ‘삼거리집’ 옥영경 2023-12-13 511
6525 2023.12. 3.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462
6524 2023.12. 2.흙날. 보슬비 내린 아침 옥영경 2023-12-13 491
6523 2023.12. 1.쇠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475
6522 2023.1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536
6521 2023.11.29.물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452
6520 2023.11.28.불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451
6519 2023.11.27.달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3-12-12 461
6518 2023.11.26.해날. 저녁비 / 김장 이튿날 옥영경 2023-12-05 464
6517 2023.11.25.흙날. 맑음 / 김장 첫날 옥영경 2023-12-05 567
6516 2023.11.18.흙날 ~ 11.24.쇠날 옥영경 2023-12-04 495
6515 2023.11.17.쇠날. 첫눈 옥영경 2023-11-25 5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