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자주 어리석다. 아니 나는 그렇다.

너무 추운 여러 밤들이었다.

추워서 잠을 깨는 새벽이었다.

그런데, 하하, 그걸 왜 생각 못했던 걸까?

이불을 하나 더 덮었잖어.

겨울이불이라고, 충분하다고, 더는 생각을 아니했던 듯.

그제야 푹 잘 잠.

거참...

 

정신이 번쩍 들었다. 25일이다. 11월도 다 간.

글 한 줄 쓰지 못하고 11월이 가는가.

햇발동 바람방에 들어 지냈더랬다.

기본 난방이 돌아가는 곳이어 따로 보일러 가동을 하지 않아도

한 방으로 온도를 몰면 그리 춥지 않게 지낼 만한.

오늘부터는 사이집으로 옮겨서 지내기로 했다.

짐이래야 햇발동과 두어 차례 안고 오가니 다 된.

그 물건들만으로도 생활이 한참은 되었던 거다.

집중명상 일정이 없을 때도 사이집 1층은 작업실로 더러 썼더랬다.

거기 다락을 개인방으로 쓰기로 했더랬으니까.

여기저기 필요할 때마다 물꼬 공간 어디든 방을 썼고,

그 방도 자주 사람들과 나눠쓰다가

마침내 거할 방 하나 마련했던.

그리고 거기서 오늘부터 계자 전까지 거할.

 

아침뜨들머리에 룽따를 걸다.

네팔에서 들어오는 스님이 전해준 것이었다.

그걸 걸면 아침뜨락이 정리가 다 된 것 같은.

여태 걸었던 것들보다 크기도 컸다.

펄럭이는 룽따가 마을에서도 보였다.

학교에서는 꽃밭의 낙엽들을 긁어 나무 둘레로 쌓아주다.

 

사는 게 힘들다는, 우는 소리를 듣는다.

사람들은 그럴 때도 물꼬를 찾고,

그에게 밥을 내거나 차를 주거나 아니면 오래 이야기를 나눈다.

한국이 싫고, 사람들도 싫다고 했다.

그런데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어쩔 수 없지만

나는 어쩔 수 있잖어.(환경을 바꾸기 위한 정치적 행위도 필요하고!)

내 삶의 질을 책임지는 건 나.

내 행복을 다른 사람 다른 상황에 맡기지 말기로.

의식적으로 반응하고 행동하고 선택하고 창조하기!

왜 내가 책임져요? 잘못은 그가 졌는데!”

맞다. 잘못은 그가 했다.

그래도 그 상황에 대해 반응하는 건 내가 하는 것,

그것은 내 책임!

비가 오는 걸 내가 어떻게 하누,

해가 뜨는 걸 내가 어찌 하냐,

하지만 그걸 어떻게 맞느냐는 내 반응, 내 행동은 내 것.

그러니 내 책임이다.

우리에게는 생각보다 많은 선택지가 있음.

그러므로 우리는 얼마나 많은 걸 할 수 있는지.

움직여야지!(결국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이군!)

뭘 할까를 생각하고 그걸 하기로.

, 영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 2019.11.25.달날. 흐림 / 누구 잘못이고 누구 책임인가 옥영경 2020-01-10 433
1193 2022. 9. 7.물날. 갬 / 그대들이 준 감동으로 또 하루가 간다 옥영경 2022-09-28 433
1192 2022. 1.15.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26 433
1191 2020. 8. 8.흙날. 비 / 16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0-08-13 433
1190 2023. 4.11.불날. 바람과 지나는 비와 옥영경 2023-05-09 432
1189 2021. 6. 9.물날. 맑음 / 설악 소공원-비선대-마등령-나한봉-1275봉-나한봉-공룡능선-무너미고개-천불동계곡 옥영경 2021-07-07 432
1188 2020.11. 6.쇠날. 해와 비가 번갈아 드는 옥영경 2020-12-03 432
1187 2023. 4. 1.흙날. 맑음 / 대흥사-다산초당-백련사 옥영경 2023-04-30 431
1186 2021.12.11.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06 431
1185 2021.11.22.달날. 먹구름과 해와 비와 우박과 바람 옥영경 2021-12-24 431
1184 2022. 4.23.흙날. 맑음 / 찾았다! 옥영경 2022-06-04 430
1183 2021. 3. 3.물날. 안개에 잠긴 마을 / 호흡명상법 옥영경 2021-03-26 430
1182 2021. 1.24.해날. 맑음 옥영경 2021-02-11 430
1181 2021. 1.12.불날. 해 난 아침, 펑펑 눈 내리는 밤 옥영경 2021-01-27 430
1180 2023.11. 4.흙날. 흐림 옥영경 2023-11-12 429
1179 2022. 7.10.해날. 다저녁 소나기, 밤에도 두어 차례 옥영경 2022-07-30 429
1178 2022. 4. 2.흙날. 맑음 / 설악산 아래·2 옥영경 2022-05-03 429
1177 청계 여는 날, 2021.12.25.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08 429
1176 2021. 8. 5.나무날. 갬 / 신간 손에 오다; <다시 학교를 읽다> 옥영경 2021-08-12 429
1175 2020.12. 1.불날. 맑음 / 은행나무와 공룡과 같이 살았던 나무 옥영경 2020-12-24 4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