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9.나무날. 맑음

조회 수 513 추천 수 0 2020.01.16 03:56:28


 

오래전 이 땅에서는 시월상달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고구려 동맹이 그랬고, 부여 영고, 동예 무천이 그렇다.

하늘과 가까운 곳이 좋았을 테지.

그 천제단이 태백산과 마니산, 그리고 아차산에.

아침 워커힐 호텔 위쪽으로 아차산을 올랐다. 오랜 벗이 거기 산다.

서울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것을 볼 수 있는 용마산과 아차산은

백제 고구려 신라의 웅대한 기상이 뭉쳐있는 천기의 중심이라고

이곳(광진구)을 차지하려 치열하게 전투를 벌였다지.

한강과 강동 송파의 평야가 한눈에 들어오는 ,

천혜의 군사 요충지이자 민족정기가 서린 곳.

 

천제단 앞에 상수리나무가 있었다.

천단수쯤일.

벚나무는 얼마쯤 살까,

답체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몇 아름 되는 벚꽃나무가 그 아래 있었다.

원 나무는 노쇠해가고 있었으나

가지 하나를 자식처럼 새로 내보이고 있는.

 

우리는 나무도 안고

노래도 하고 절도 하고, 그리고 둘레를 멀리까지 걸었다.

이 광활한 우주에서 인간이란 얼마나 하잘 것 없는 존재이던가,

새삼 인간세가 눈물겨웠고

한편 인간으로 할 수 있는 아름다운 행위들에 대해 벅차하였네.

 

물꼬 30주년 기념으로 명상정원 아침뜨락에 측백나무 이름걸기를 하고 있다.

벗은 보육원 아이들 이름으로 측백나무들을 심어주었다.

곳곳에 물꼬의 힘들이 산다.

 

학교에서는 땔감을 쌓고 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174 2019. 9.11.물날. 해, 선선한 바람 / 멧돼지! 옥영경 2019-10-26 526
5173 2019. 9. 5.나무날. 소나기라 할 만치 / 가을학기 여는 날 옥영경 2019-10-16 527
5172 2019.10.23.물날. 빗방울 셋 옥영경 2019-12-10 527
5171 2019.10.30.물날. 맑음 옥영경 2019-12-16 527
5170 2020. 3. 3.불날. 맑음 옥영경 2020-04-07 527
5169 2019 여름 청계 닫는 날, 2019. 7.21.해날. 비 옥영경 2019-08-17 528
5168 2021. 8.24.불날. 비 / 아이의 피해의식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옥영경 2021-09-04 528
5167 170계자 닷샛날, 2022. 8.11.나무날. 흐림 / 저기 보물산! 옥영경 2022-08-23 529
5166 2020. 1.29.물날. 흐린 사이 간간이 흩뿌리는 비 옥영경 2020-03-04 530
5165 ‘2021 연어의 날’ 여는 날, 2021. 6.26.흙날. 틈틈이 내리다 그은 비 옥영경 2021-07-23 530
5164 172계자 닷샛날, 2023. 8.10.나무날. 창대비 / 무한도전, 태풍 속 산오름 옥영경 2023-08-12 531
5163 2019. 7.10.물날. 비, 여러 날 변죽만 울리더니 옥영경 2019-08-17 533
5162 2020.11.11.물날. 맑음 / 흙벽에 목천 붙이다 옥영경 2020-12-15 533
5161 167계자 이튿날, 2021. 1.18.달날. 눈 옥영경 2021-02-07 533
5160 168계자 사흗날, 2021. 8.10.불날. 창대비 억수비 내리는 오후 [1] 옥영경 2021-08-17 533
5159 2023. 8.24.나무날. 몇 차례의 소나기 / 대둔산(878m)-동학최후항전지가 거기 있었다 옥영경 2023-08-28 533
5158 2019. 9.22.해날. 비바람 옥영경 2019-10-31 536
5157 2019.10.16.물날. 볕 / 우리 모두 나이를 먹는다 옥영경 2019-12-05 536
5156 2020. 4. 6.달날. 맑음 옥영경 2020-05-28 536
5155 2023. 8.18.쇠날. 저녁 빗방울 좀 / 어린이 문화라고 하면... 옥영경 2023-08-20 5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