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4.쇠날. 잠깐 볕

조회 수 375 추천 수 0 2020.03.03 00:00:03


 

아침 수행, 설 쇠러 들어온 식구도 따라서 몸을 푼다.

하면 좋으니까.

같이 하려해서기보다 하는 사람이 있으니 따라 한다.

이왕이면 내가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인 게 좋지 않은가.

그래서도 나를 잘 닦을 일이겠다.

 

오후에는 켠 은행나무 판재가 몇 들어왔다.

사이집 다락은 다락이니 천장이 낮다.

침대를 하나 만들었더랬는데 벽으로 붙이니

잘 때만 눕는다 해도 와락 얼굴 위로 쏟아지는 듯한 낮은 천장은 다소 부담이다.

자주 쓰는 이는 몰랐는데,

지난해 6월 시인 이생진 선생님 머무실 땐

벽 쪽이 아니라 반대편으로 베개를 두셨더라.

머리맡으로 탁자가 있는 것도 쓸모가 있고,

그게 벽으로부터의 띄우기가 된다면 좋을 테지.

판재의 껍질을 떼어내고 사포질을 해서 그 용도로 쓰면 될 테다.

 

일찍부터 졸음이 어둠처럼 쉬 오는 섣달 그믐밤,

한 선배에게 글월을 띄웠다.

1월 말 서울에서 이어질 만남들의 시간흐름을 짜는 중.

 

푹한 날들이어요.

한편 추워야 되는 일들도 있을 터인데,

제게는 복인 이 겨울이군요.

사람이 참 이리 이기적입니다...

 

그야말로 섣달 그믐밤이군요.

내일이 설인데, 이제 시댁에는 가지 않으실 터이니

여행이라도 계획하고 계실까요...

 

여기는 165 계자(계절자유학교)를 끝내고 한숨 돌리는 중.

그렇지만 주로 계자 후속작업이지요.

겨우 기록을 정리하는 정도이지만.

제자리로 보내야 하는 물건들도 아직 그대로 두고,

이불은 봄이 와야 빨 게고...

 

계자는 자유학교도들의 부흥회라고 농을 할 만치

여전히 감동이었군요.

아이들이 그래요, 우리가 생명이 가진 기쁨을 지닌 존재임을 가르쳐주지요.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을 그렇게 일깨워주는.

이번에는 밥바라지도 제 몫이었어요.

도토리가루를 빻아두었던 걸로 묵도 만들어 멕였지요.

뜨겁게 온 몸으로 산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시간이었더랍니다.

노동이 나를 사람이게 하는!

 

130일 나무날 영동역발 10:48 기차에 올라 13:18 서울역에 닿을 거여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174 2020. 2.12.물날. 비 / There is time! 옥영경 2020-03-12 584
5173 2020. 2.1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3-12 1657
5172 2020. 2.10.달날. 대체로 맑음 옥영경 2020-03-06 489
5171 2020. 2. 9.해날. 맑음 옥영경 2020-03-06 436
5170 2020. 2. 8.흙날. 흐리게 시작하더니 맑아진 옥영경 2020-03-06 422
5169 2020. 2. 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558
5168 2020. 2.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490
5167 2020. 2. 5.물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691
5166 2020. 2. 4.불날. 갬 옥영경 2020-03-05 600
5165 2020. 2. 3.달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463
5164 2020. 2. 2.해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421
5163 2020. 2. 1.흙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20-03-04 1243
5162 2020. 1.31.쇠날. 뿌연 옥영경 2020-03-04 510
5161 2020. 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04 451
5160 2020. 1.29.물날. 흐린 사이 간간이 흩뿌리는 비 옥영경 2020-03-04 526
5159 2020. 1.28.불날. 흐림 옥영경 2020-03-03 442
5158 2020. 1.27.달날. 비, 질기게 옥영경 2020-03-03 402
5157 2020. 1.26.해날. 저녁부터 비 옥영경 2020-03-03 417
5156 2020. 1.25.흙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447
» 2020. 1.24.쇠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3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