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16.해날. 눈

조회 수 583 추천 수 0 2020.03.13 23:34:21


 

겨울을 보내느라고 안간힘을 쓰는 멧골이다.

눈 나린다.

일찍 온 봄의 첫마디로 보다

아직 가지 않은 겨울의 마지막 말로 듣는다.

세상에 나온 지 6개월이 갓 지난 진돗개 가습이와 제습이도

눈밭 푸닥거리를 했다. 둘이 한바탕 붙어 진흙탕에서 진흙이 되었다.

 

싸락눈 날리더니 정오 무렵 아주 굵어지고 있었다.

함박눈이 날리자 들어와 있던 대처 식구들이 서둘러 나가고,

김치와 쌀과 마실 물을 길어 달골로 왔다.

거기에 이미 있는 라면 몇도 있으니 달포도 지내겠는.

 

한참을 또 게을렀다.

내가 한 선택이었다. 내가 선택하지 않은 일이란 없었다.

암트스프라헤를 생각한다.

알려진, 예루살렘에서 열렸던 전범재판에 섰던 아돌프 아인히만의 이야기는

한나 아렌트의 글로든 여러 사람이 다루었지.

수많은 사람들을 아우슈비츠의 죽음으로 내보내는 게 힘들지 않더냐 물었을 때

아인히만은 대답했다.

쉬웠다고, 우리의 언어가 그것을 쉽게 해주었다고.

암트스프라헤!”

암트는 관직, 스프라헤는 언어라는 뜻이라니까

관료적인 언어를 말하겠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면 가책도 별로 느끼지 않는다.

시킨대로 했다는 거다.

나치는 그렇게 움직였다.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말, 자기 행동에 책임지지 않는 언어,

그럴 수밖에 없었다’!

상관의 명령이어서, 회사 정책이라서, 어쩔 수가 없어서, ...

많은 이유로 우리는 그럴 수밖에 없었지만

그 순간순간 우리는 분명 그것을 선택했다!

내 게으름은 무어라 말해도 내 선택이었다.

소스라치게 놀라며 등을 곧추세우나니.

 

눈이 펑펑 내리는 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654 2019. 8.27.불날. 안개비 / 당신이 내게 하늘을 주었을 때 옥영경 2019-10-11 563
1653 2019. 8.28.물날. 흐림 / 고무신 옥영경 2019-10-11 504
1652 2019. 8.29.나무날. 흐림 / 때로 헤어짐을 지지함 옥영경 2019-10-11 542
1651 2019. 8.30.쇠날. 갬 옥영경 2019-10-12 577
1650 산마을책방➂ 여는 날, 2019. 8.31.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12 588
1649 산마을책방➂ 닫는 날, 2019. 9. 1.해날. 흐려가는 하늘 옥영경 2019-10-12 758
1648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➂ (2019.8.31~9.1) 갈무리글 옥영경 2019-10-12 602
1647 2019. 9. 2.달날. 흐리다 비 많은 옥영경 2019-10-16 675
1646 2019. 9. 3.불날. 비 오락가락 / 청년들의 분노가 이해되지만 옥영경 2019-10-16 1102
1645 2019. 9. 4.물날. 비 / 조국 때문에 받은 문자? 옥영경 2019-10-16 538
1644 2019. 9. 5.나무날. 소나기라 할 만치 / 가을학기 여는 날 옥영경 2019-10-16 544
1643 2019. 9. 6.쇠날. 흐리다 비바람 옥영경 2019-10-16 529
1642 2019. 9. 7.흙날. 13호 태풍 링링 지나간 옥영경 2019-10-16 604
1641 2019. 9. 8.해날. 태풍 지났으나 비 옥영경 2019-10-23 523
1640 2019. 9. 9.달날. 비 추적이는 밤 / 향낭 옥영경 2019-10-23 678
1639 2019. 9.10.불날. 해, 더운 속에 가끔 선선한 바람 옥영경 2019-10-26 584
1638 2019. 9.11.물날. 해, 선선한 바람 / 멧돼지! 옥영경 2019-10-26 542
1637 2019. 9.12.나무날. 비 내리다 흐린 채 옥영경 2019-10-27 552
1636 2019. 9.13.쇠날. 달 떴네! 옥영경 2019-10-27 557
1635 2019. 9.14.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28 56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