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18.불날. 갬

조회 수 511 추천 수 0 2020.03.18 23:59:46


 

살짝 또 눈 쌓인 새벽이었네.

달골 주차장 깔끄막을 쓸다.

아침햇살에 길에 있는 눈은 금세 사라지고.

 

아침 8시 달골에 굴착기 소리가 컸다.

햇살 퍼졌어야 습이네들을 데리고 산책을 나가는데,

사람들이 예닐곱 모여 일을 하는 게 달골 길 저쪽 가로 건너다 보였다.

그랬구나, 어제 달골 길을 쓸던 이들이 그래서였구나,

산판을 시작하려나 싶었더니 저 작업을 하려...

10시 운구차가 올라왔다.

저쪽 언덕배기 묵정밭에 그의 아내를 묻고 몇 해,

엊그제 할아버지도 세상을 떠났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내를 보살피고 십 수년,

외려 그때 더 정정했던 그니는 혼자 살며 급속도로 늙어갔다.

친절했던 그니가 퉁명스러워진 것도 그때.

늙어가며 그리 변하는 한 까닭은

안 보이고 안 들려서 더 그럴 수도 있었을 것.

멧골에서 또 한 사람이 강 건너 저승으로 갔네...

 

눈으로 아주 길이 막힌 것까지는 아닌데,

25일까지 보내야 할 새 원고 초안을 물고 한 주 동안 한 발짝도 나가지 않겠다 했더니

보급투쟁한다고, 마침 물꼬랑 멀지 않은 곳에 출장을 가던 논두렁 한 분 다녀가시다.

운구 행렬로 길이 막혀 계곡에 차를 세우고 걸어올라 왔다지.

나가는 차로 잠시 마을을 빠져나갔다 오다.

며칠 떠나지 않았던 책상 앞, 어깨깨나 긴장했다.

이런 날은 따순 물에 몸을 담그면 얼마나 좋은가.

산 너머 읍내 목욕탕을 들렀는데,

거의 다 저녁이어서 그런 줄 알았더니 요새 통 사람이 없다고.

문을 닫는다는 저녁 8시가 한 시간 남은 때였다.

이제 안에 아무도 없어요? 무서운데...”

한 사람 있어요.”

코로나19는 벌써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나 보다,

해가지자마자 일찍 문을 닫은 가게들이 많았고,

이 읍내의 가장 번화한 길에도 사람이 없었다.

이단이라 알려진 대구의 한 교회에서 확진자가 나왔고,

그가 수퍼전파자가 되어 집단감염이 현실화 되는 것 아닌가 우려하는 기사들이 쏟아졌다.

 

혼자 등을 밀고 있는데,

머리가 짧은 자그마한 할머니 한 분이 내 등을 대란다.

, 서로 밀어주자는 말씀인 가보다,

시골이라도 요새 이런 거 잘 없다던데...

아니요, 아니요, 고만요. 딱 손이 안 닿는 부분만요.”

그런데도 여기저기 시원하게 밀어주시더니,

어라, 돌아서서 해드리려는데 당신은 날마다 오니 안 해도 된다나.

억지로 비누칠 해드리고 마사지 조금.

그때 중국인 여자 둘이 들어와 청소를 하는데

(여기 주인이 중국인이라지일하는 여자 둘도 한국어를 거의 못하는 이들.

 지역상권들에도 이렇게 중국인들이 는다.)

그 할머니, “여긴 내가 할게.” 하시며

거울을 비눗물로 닦고, 여기저기 벽도 닦으시네.

! 감동이더라. 어른이 달래 어른인가 싶은.

내가 다 고마웠네.

'너에게 다가가는 일'이란 게 이런 거 아니겠는지.

물꼬에서, 교육에서, 구현하려는 마음도 그런 거 아니겠는지.

 

곧 나올 책의 추천사 셋 가운데 한 분은 유명인인데

요 며칠새 언론에 오르내릴 만큼 복잡한 일에 연루되었다.

사실이야 모른다.

그나저나 인쇄를 다 한 뒤라면 얼마나 난감했을 것인가.

출판사(아, 이 인연들도 아침뜨락 측백을 분양하셨네!)와 의논하여 추천사 부탁을 거두게 되었다.

그간 들인 힘을 생각하자면 사는 일이 억울할 때가 얼마나 잦을까.

다른 분께 부탁하거나 추천사 둘로 마무리하거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14 2019. 8.22.나무날. 맑음 / 두 번을 놓치고, 한 번을 놓칠 뻔한 옥영경 2019-10-08 537
1513 171계자 닷샛날, 2023. 1.12.나무날. 맑음, 늦은 밤 몇 방울 지나던 비가 굵어지는 / 멧돼지골 옥영경 2023-01-16 537
1512 2019.11.11.달날. 맑고 바람 많은 / 명상이 무엇이냐 물어왔다 옥영경 2019-12-30 536
1511 2019. 9.26.나무날. 흐리다 살짝 해 / 아고라 잔디 옥영경 2019-10-31 536
1510 2019. 9.14.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28 536
1509 2019. 7.26.쇠날. 비 옥영경 2019-08-22 536
1508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535
1507 2020. 4. 6.달날. 맑음 옥영경 2020-05-28 535
1506 2019.10.16.물날. 볕 / 우리 모두 나이를 먹는다 옥영경 2019-12-05 535
1505 2019. 9.22.해날. 비바람 옥영경 2019-10-31 535
1504 2019. 7.16.불날. 반짝 해 옥영경 2019-08-17 535
1503 2019.10.15.불날. 잠깐 볕. 흐리고 기온 낮고 바람 불고 옥영경 2019-11-27 534
1502 2019. 9.13.쇠날. 달 떴네! 옥영경 2019-10-27 534
1501 2019. 8.23.쇠날. 맑음 / 우리는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하고 있는가? 옥영경 2019-10-08 534
1500 2023. 8.18.쇠날. 저녁 빗방울 좀 / 어린이 문화라고 하면... 옥영경 2023-08-20 533
1499 2023. 8.15.불날. 맑음 / 청소에 대한 기록 하나 옥영경 2023-08-17 533
1498 168계자 사흗날, 2021. 8.10.불날. 창대비 억수비 내리는 오후 [1] 옥영경 2021-08-17 532
1497 167계자 이튿날, 2021. 1.18.달날. 눈 옥영경 2021-02-07 532
1496 2019. 8.20.불날. 맑음 / 당진 강연 옥영경 2019-09-23 532
1495 ‘2021 연어의 날’ 여는 날, 2021. 6.26.흙날. 틈틈이 내리다 그은 비 옥영경 2021-07-23 53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