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부터 파드득나물을 좀 베다.

분교의 나이든 두 교사는 나물 뜯는 일에 관심이 많았더랬다.

거기는 없는 파드득이라.

한가득 챙기다.

제도학교로 출근하며 본교부터 들러 동료샘한테 돌려줄 반찬통을 냉장고에 넣어두고,

거기 답례로 담은 반찬도 있는,

나무날 본교 밥상공동체에서 쓸 것들 내려놓고,

스파게티 재료들은 분교로 실어가다.

물꼬의 학교아저씨한테는 이번 한 주 달골에 하루 걸러 올라가십사 했다.

심은 잔디 사이 흙도 깔고, 심은 것들 물을 좀 주라고.

주중에 비가 온다고는 하던데...

 

이 아침도 분교 교사동 앞 꽃밭의 풀을 맸다지.

엊그제도 매던 풀이었다.

누구의 밭이면 어떠랴, 나는 지금 여기 있는 걸.

이곳에서는 이곳에서의 삶을!

 

아침 10시 분교 2층 도서실에서 전 교직원 대상 연수가 있었다.

그래보아야 열도 안 되는.

아이들 등교개학이 가깝고,

학교는 코로나19 방역체계에 초비상이다.

결국 각 학교의 재량으로 많은 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오늘은 보건교사가 주최하는 행동요령.

확진자 발생 시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까지 과정을 익히는.

! 멧골을 나와 있으니 이 모든 게 먼 이야기가 아니었다!

 

낮밥상을 물린 뒤 지역공동체 돌봄교실에 가다.

분교에서 하던 긴급돌봄을 중단하고 돌봄이 지역공동체로 흡수되었더랬다.

분교 유치원샘이 카네이션 만들기를 진행하고,

분교에서 마련한 어린이날 선물도 전하다.

우리 학급 아이도 태워오고 태워다 주고.

학교랑 좀 떨어진 곳에 사는 아이는

겨울방학 이후로 학교에 오지 못한 시간이 한참이라

아이들도 오랜만에 만난.

학교도 한 번 들릴까?”

그가 학교도 그리워하지 않을까 싶었다.

놀이터로 가서 구름다리도 매달리고 철봉에도, 징글짐에도 오르고

그리고 운동장을 걷고 교실을 둘러보고.

좋아?”

!”

낱말 덧붙여서!”

, 좋아요!”

발화가 쉽지 않고 조음도 불명확하지만

호불호에 대한 의사가 분명하고 자기표현이 명확한 아이는 그렇게 대답했다.

 

출장을 달고 나갔던 분교 식구들은 돌아오던 길을 잠시 돌았다,

아직 출장 시간이 넉넉히 남았기.

호수를 끼고 이어진 길에 등꽃 한창이었다.

코로나19로 어수선해도, 아직 아이들이 학교를 보지 못하는 등교여도

봄은, 꽃은 그렇게 와 있었다.

 

분교 주무관님은 학교 뒤란에 작은 밭을 일구고

거기 텃밭농사를 지었다.

한창인 상추는 분교 식구들의 낮밥에도 올랐더랬다.

오늘은 샘들이 한가득 따서 보따리 보따리 만들어 나누었네.

 

아이들 등교는 어떻게 되는 걸까?

오늘 교육부 발표가 있었다.

오는 13일 고3 학생부터 등교 수업다음달 1일까지 순차 개학

2, 3, 1·2, 유치원생은 오는 20일에,

1, 2, 3·4 학생은 오는 27, 1, 5·6은 다음 달 1일에 등교 개학.

방역 준비와 학교 내 밀집도 최소화로 감염증 예방을 위해

순차적 등교를 한다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원격 수업에 적응하기 어렵고,

학부모의 도움에 따른 교육 격차가 발생하며

가정의 돌봄 부담과 함께 상대적으로 활동 반경이 좁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는.

결국 각 시도교육청과 학교가 다양한 방식의 학사 운영을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학교의 특별 소독, 교실 책상 재배치, 마스크 비축 등 기본적 방역 준비를 완료했으며,

학교 내 확진자 발생 등 유사시 학생들이 사용할 보건용 마스크 1,486만 장과

예비용 면 마스크 1,829만 장을 준비했다고 밝혔습니다.’

공문이 언론보다 한 발 늦고 있는 요즘이다.

곧 분교에도 안내가 있으리.

 

물꼬 안식구한테서 문자가 들어왔네,

반려견 야외 하우스 인테리어 기사였다.

요새 물꼬는 제습이와 가습이가 아이들을 대신하고 있는.

우리들의 통화는 습이들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무엇이든 누구라도 아이 같은 돌봄이 있는 물꼬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94 8월 29일-9월 12일, 밥알 모남순님 옥영경 2004-09-17 1273
5293 9월 9일 나무날 먹구름 있으나 맑다고 할 만한 옥영경 2004-09-17 1273
5292 2010. 5. 5.물날. 밤 비 / 사과잼 옥영경 2010-05-23 1272
5291 2009. 1.21.물날. 흐림 옥영경 2009-01-31 1272
5290 2006.11. 6.달날. 비 옥영경 2006-11-07 1272
5289 5월 5일 나무날 오후에 비 옥영경 2005-05-08 1272
5288 3월 29일 불날 어깨에 기분 좋게 내려앉는 햇살 옥영경 2005-04-02 1272
5287 7월 23일, 집으로 옥영경 2004-08-05 1272
5286 2015. 8.13.나무날. 소나기 지나고 옥영경 2015-09-03 1271
5285 159 계자 나흗날, 2015. 1. 7.물날. 맑음 옥영경 2015-01-13 1271
5284 11월 빈들 여는 날, 2010.11.26.쇠날. 맑음 옥영경 2010-12-12 1271
5283 140 계자 사흗날, 2010. 8.10.불날. 이른 새벽 큰비를 시작으로 종일 비 옥영경 2010-08-22 1271
5282 2008.11.29.흙날. 눈 펑펑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8-12-21 1271
5281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옥영경 2006-04-26 1271
5280 2006.2.13.달날. 죙일 맑다 야삼경에 비 / 잠시 지난 두 해를 거슬러 오르다 옥영경 2006-02-15 1271
5279 109 계자 닫는 날, 2006.1.25.물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271
5278 2005.12.27.불날.날이 풀렸다네요 / 해갈이 잘하라고 옥영경 2005-12-28 1271
5277 11월 28일 해날 맑음, 학교 안내하는 날 옥영경 2004-12-03 1271
5276 2011. 5.12.나무날. 빗방울, 황사, 바람 / 밤낚시 옥영경 2011-05-23 1270
5275 2011. 2.14.달날. 눈발 옥영경 2011-02-26 127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