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골 아침뜨락의 아침,

풀이 무성해졌더라.

심은 것들을 둘러보다.

힘들 텐데 늦게까지 좀 주무시지,

더러 그러지만 궁금해서도 일어나는.

늦게 자고 늦지 않게 일어나던 오랜 습을

제도학교에 나가 있는 동안 늦지 않게 자고 아주 일찍 일어나고 있는.

 

제도학교에 지원을 나가있는 이 학기에도

주말에 쉼 없이 물꼬 일정이 돌아가고 있었는데,

이번 주는 조용하다.

그렇다고 아무렴 물꼬 일까지 없을까.

오전은 조금 한갓지게 보내고,

살림을 좀 살피다.

재봉질로 오래 입어온 옷 하나 짜깁기도 하고,

파이용으로 사과졸임도 해두고, 행주도 삶고, 그리고,

늘 일정 바로 앞에서 정리하려 들다 그만 밀리기 일쑤였던 조리도구 서랍장을,

오늘은 당장 해치울 일정이 없는 이 때 손을 대기로.

하였더라네!

 

자작나무도 한 그루 들어오다.

아침뜨락의 달못 곁에 심어둔 자작나무들 곁에

흰색이 오르기 시작하는 그 나무를 더했다.

밥못과 밥못에 있는 부유물들을 건질 뜰채도 만들다.

비 추적이는데, 아침뜨락에 든 식구들이 마을 내려서기 전 먼저 내려와

밥상을 준비했지.

학교아저씨는 고추며들 모종을 심고.

파드득나물을 캐와 부침개를 부치고, 묵은지를 꺼내 볶아서 두부김치도 내고,

어묵탕을 끓이고 떡꼬치를 하고, 두릅무침도 놓았다.

 

품성이나 기질보다 보호자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반려견에 대해 개통령이라 불리는 이가 그랬다지.

습이들 때문에도 우리 역시 그가 하는 말에 관심이 생겼다.

, 아이들도 그런데...

때로 아이가 가진 품성이나 기질보다 양육자가 혹은 교육자가 중요하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38 2021. 1.29.쇠날. 맑음, 그리고 밤눈 옥영경 2021-02-13 521
1337 2020. 3.10.불날. 비 옥영경 2020-04-12 520
1336 2020. 1.22.물날. 오후 짤끔거리다 저녁비 옥영경 2020-02-21 520
1335 2019.11.12.불날. 맑음 옥영경 2019-12-31 520
1334 2022. 6.20. 달날. 먹구름 한 덩이 옥영경 2022-07-09 519
1333 2023. 9.28.나무날. 해나왔다 흐려가다 옥영경 2023-10-07 518
1332 2023. 9. 5.불날. 맑음 옥영경 2023-09-19 518
1331 2020. 3.11.물날. 갬 옥영경 2020-04-12 518
1330 2020. 2.10.달날. 대체로 맑음 옥영경 2020-03-06 518
1329 2019.11. 7.나무날. 오후 흐림 / 내가 내가 되는 용기! 옥영경 2019-12-29 518
1328 2019.11. 4.달날. 맑음 옥영경 2019-12-27 518
1327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517
1326 2019.11.20.물날. 맑음 / 서울 북토크: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옥영경 2020-01-09 517
1325 2019. 9.30.달날. 맑음 / 어머니는 남는다 옥영경 2019-11-22 517
1324 2023.11.18.흙날 ~ 11.24.쇠날 옥영경 2023-12-04 516
1323 2022. 1.22.흙날. 흐리다 한 방울 비 지난 저녁 / 페미니즘을 말하는 책 두 권 옥영경 2022-01-30 516
1322 2024. 4. 1.달날. 맑음 옥영경 2024-04-21 515
1321 2023.10.18.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30 515
1320 2023.10. 8.해날. 흐림 옥영경 2023-10-23 515
1319 2021. 1.22.(쇠날)~23.(흙날) 봄날 같은 / 1박2일 ‘더하기 계자’ 옥영경 2021-02-11 5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