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묻어 있었다.

아주 가끔 비인가 고개 들게 하지만 똑 떨어지지는 않는.

 

나는 게으른 사람.

그런데 작은 정원(감당할 수 있는 만큼)을 가꾸니

그곳이 궁금해서 일어나고,

그곳을 걷게 되고,

그러다 앉아 풀을 뽑고 또 뽑고.

부지런해지는, 들어만 가면 몸이 절로 움직여지는.

정말 아침에 즐거움을 뜨는 곳(아침뜨)이라, 절로 명상정원이라.

어변성룡(魚變成龍), 물고기 변하여 용이 되는 것까지 아니어도 다른 존재가 되는 곳이라.

이른 아침부터 들어가 어제 심은 자작나무를 살피고,

새로 만든 뜰채로 연못의 부유물을 손이 닿는 만큼 또 쳐내고.

 

오전에는 사이집 욕실 세면대 위 꼬마 선반에 바니쉬를 세 차례 칠하고,

햇발동과 창고동에 바람을 들이다.

오후에는 학교 둘러보기.

물꼬 누리집에 이번에 내는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출간 일정도 알리고.

물꼬에 들어오는 주말마다 사람을 맞았는데,

여기저기 손을 좀 보라고 비는 주말이 되었네.

 

기락샘이 제습이와 가습이를 돌보다.

산책도 시키고 둘레도 청소하고 똥도 치우고.

대처 식구들을 위한 반찬을 챙겨 쌀 무렵

하얀샘이 철축 10그루와 치자나무 셋을 들고 오다.

철쭉은 사이집 돌담 앞 패인 곳을 메우고 거기 자리 잡아주고.

치자나무 둘은 분교 주무관님과 나누어야지 하며 차에 실어두다.

우리는 꽃나무를 돌보는 동료이기도. 사실 내가 뭘 그리 한다는 말은 아니고.

당신이 기르는 것들에 관심 기울이는.

치자 한 그루는 사이집 남쪽 마당 둥근 자리 가운데 심다.

 

저녁에는 내일 제도학교 분교에서의 밥상 공동체를 준비하다.

물꼬에서 출발하는 날은 준비가 수월하니

달날에 낮밥을 같이 먹자고들 했다.

지난 달날도 그 전 달날도.

물꼬에서 나누는 그 많은 밥, 거기까진들 나누지 못할 게 무엇이겠는지.

칼국수를 밀려고 하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98 2011. 4.19.불날. 갬 옥영경 2011-04-28 1279
5297 2011. 1.15.흙날. 또 눈 내린 새벽, 그리고 갠 아침 옥영경 2011-01-18 1279
5296 2008. 5.24.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1 1279
5295 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7-02-08 1279
5294 2006.9.5.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6-09-16 1279
5293 109 계자 닫는 날, 2006.1.25.물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279
5292 2005.12.30.쇠날.맑음 / 우리들의 어머니 옥영경 2006-01-02 1279
5291 3월 17일 나무날 비내리다 갬 옥영경 2005-03-21 1279
5290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79
5289 2009. 4.27.달날. 날 차다 옥영경 2009-05-12 1278
5288 2008. 4.10.나무날. 간간이 빗방울 옥영경 2008-04-20 1278
5287 2006. 6. 7.나무날. 흐린 오후 옥영경 2007-06-22 1278
5286 116 계자 닫는날, 2007. 1.12.쇠날. 흐려지는 저녁 옥영경 2007-01-16 1278
5285 2006.12.29.쇠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78
5284 5월 5일 나무날 오후에 비 옥영경 2005-05-08 1278
5283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셋 옥영경 2005-01-02 1278
5282 9월 16일 나무날 비오다 갬 옥영경 2004-09-21 1278
5281 9월 6일 달날, 포도 다 팔았지요 옥영경 2004-09-16 1278
5280 2009. 4.23.나무날. 바람 많은 맑은 날 옥영경 2009-05-07 1277
5279 2007. 4. 6.쇠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7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