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는 풀을 맸다.

오후에도 풀을 맸다.

풀을 맸다고 날마다 쓰고도 남겠는 삶이다.

아침뜨락은 그렇게 손으로 손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물꼬살이가 대개 그렇다.

옴자 맨 아래 대나무 울타리도 몇 자르고 세웠다.

일삼아 한 번에 하면야 한 이틀이면 다 할 수 있잖을까 하지만

그야말로 오가는 일 속에 어쩌다 한 번 붙어 얼마쯤을 세운다.

 

대처 식구들이 들어오면 힘을 써야 할 일에 붙는 게 첫째지만

랩탑이며 교무실 컴퓨터며 생긴 문제가 있지 않아도

점검해주는 일도 이네 몫.

대처 식구들의 냉장고를 채울 것들을 해서 보내고

다시 나머지 사람들은 달골에 들다.

아침뜨락 옴자 풀을 맨 곳에 샤스타 데이지를 뿌렸다.

그것도 하니 는다.

씨앗이 날리지 않게 흙을 섞고

몰리지 않고 천천히 고루 뿌리기.

손이 익은 이들은 상추씨며 시금치씨앗을 뿌릴 때도

훠 훠 두어 번에 다 뿌리면 되던데...

 

해지는 데 아직 풀을 매고 있는 아침뜨락으로 하얀샘이 와서

편편하고 너른 곳을 기계로 밀었다.

어둠이 좇아낼 때까지 모두 풀을 넘어뜨리고 있었다.

늦은 저녁밥상을 물리고 과일 한 쪽들 집어먹고 나니

열시를 가리키는 시계. 마감!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내일 또 제도학교로 넘어가 고단이 클 테다.

주중에 제도학교에서, 주말은 물꼬에서

따로 쉬어가는 날 없이 한주를 꽉 채워 흐르는 이번 학기,

특히 물꼬에 들어오는 주말은

한 번에 들일을 하느라 번번이 달빛 별빛을 받으며 마을로 내려서는데

그렇지만 어렵지 않게 지낼 만한 것은 이곳에 있을 때 이곳에 집중해 있기 때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734 2008.10.31.쇠날. 오락가락하는 빗방울 옥영경 2008-11-04 1388
733 2월 빈들 여는 날, 2009. 2.20.쇠날. 눈 내리다 멎더니 다시 눈 옥영경 2009-03-07 1388
732 2007. 2. 9. 쇠날. 잠시 개었다 다시 비 옥영경 2007-02-12 1389
731 2008. 3.24.달날. 갬 옥영경 2008-04-06 1389
730 2008. 3.31.달날. 흐림 옥영경 2008-04-12 1389
729 128 계자 사흗날, 2008.12.30.불날. 눈 옥영경 2009-01-07 1389
728 7월 12일, 다시쓰기 옥영경 2004-07-20 1390
727 7월 17일, 성학이 나간 날 옥영경 2004-07-28 1390
726 2005. 12.26.달날 /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옥영경 2005-12-26 1390
725 [바르셀로나 통신 8] 2018. 6.24.해날. 맑음 옥영경 2018-07-07 1390
724 2006.5.5.쇠날. 흐린 오후 / 들놀이 옥영경 2006-05-11 1391
723 2008. 7.26.흙날. 비 / 12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8-07-30 1391
722 12월 16-7일, 새끼일꾼들 옥영경 2004-12-22 1392
721 103 계자, 5월 29일 해날 짱짱한 날 옥영경 2005-06-03 1392
720 116 계자 이튿날, 2007.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07-01-12 1392
719 145 계자 이튿날, 2011. 8. 1.달날. 밤새 내리던 비 갠 아침 옥영경 2011-08-10 1392
718 2012. 4.19.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2-04-26 1392
717 108 계자 사흘째, 2006.1.4.물날.흐림 옥영경 2006-01-05 1393
716 2006.2.12.해날. 맑음 / 답 메일 옥영경 2006-02-13 1393
715 2007. 2.20.불날. 맑음 옥영경 2007-02-22 13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