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는 풀을 맸다.

오후에도 풀을 맸다.

풀을 맸다고 날마다 쓰고도 남겠는 삶이다.

아침뜨락은 그렇게 손으로 손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물꼬살이가 대개 그렇다.

옴자 맨 아래 대나무 울타리도 몇 자르고 세웠다.

일삼아 한 번에 하면야 한 이틀이면 다 할 수 있잖을까 하지만

그야말로 오가는 일 속에 어쩌다 한 번 붙어 얼마쯤을 세운다.

 

대처 식구들이 들어오면 힘을 써야 할 일에 붙는 게 첫째지만

랩탑이며 교무실 컴퓨터며 생긴 문제가 있지 않아도

점검해주는 일도 이네 몫.

대처 식구들의 냉장고를 채울 것들을 해서 보내고

다시 나머지 사람들은 달골에 들다.

아침뜨락 옴자 풀을 맨 곳에 샤스타 데이지를 뿌렸다.

그것도 하니 는다.

씨앗이 날리지 않게 흙을 섞고

몰리지 않고 천천히 고루 뿌리기.

손이 익은 이들은 상추씨며 시금치씨앗을 뿌릴 때도

훠 훠 두어 번에 다 뿌리면 되던데...

 

해지는 데 아직 풀을 매고 있는 아침뜨락으로 하얀샘이 와서

편편하고 너른 곳을 기계로 밀었다.

어둠이 좇아낼 때까지 모두 풀을 넘어뜨리고 있었다.

늦은 저녁밥상을 물리고 과일 한 쪽들 집어먹고 나니

열시를 가리키는 시계. 마감!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내일 또 제도학교로 넘어가 고단이 클 테다.

주중에 제도학교에서, 주말은 물꼬에서

따로 쉬어가는 날 없이 한주를 꽉 채워 흐르는 이번 학기,

특히 물꼬에 들어오는 주말은

한 번에 들일을 하느라 번번이 달빛 별빛을 받으며 마을로 내려서는데

그렇지만 어렵지 않게 지낼 만한 것은 이곳에 있을 때 이곳에 집중해 있기 때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974 2022. 5.14.흙날. 맑음 옥영경 2022-06-16 347
5973 2022. 5.13.쇠날. 흐리더니 비 지나다 옥영경 2022-06-16 379
5972 2022. 5.12.나무날. 살짝 구름 옥영경 2022-06-16 363
5971 2022. 5.11.물날. 조금 흐림 옥영경 2022-06-16 326
5970 2022. 5.10.불날. 맑음 옥영경 2022-06-16 323
5969 2022. 5. 9.달날. 흐림 / 집단 따돌림 옥영경 2022-06-15 353
5968 2022. 5. 8.해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22-06-15 326
5967 2022. 5. 7.흙날. 맑음 / 학교 폭력 옥영경 2022-06-15 329
5966 2022. 5. 6.쇠날. 맑음 / 동학농민 무장기포지와 ‘책마을 해리’ 옥영경 2022-06-14 513
5965 2022. 5. 5.나무날. 맑음 / 동학유적지 정읍 옥영경 2022-06-14 435
5964 2022. 5. 4.물날. 맑음 옥영경 2022-06-14 334
5963 2022. 5. 3.불날. 맑음 옥영경 2022-06-14 365
5962 2022. 5. 2.달날. 맑음 옥영경 2022-06-14 414
5961 2022. 5. 1.해날. 맑음 옥영경 2022-06-09 420
5960 2022. 4.30.흙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44
5959 2022. 4.29.쇠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51
5958 2022. 4.28.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59
5957 2022. 4.27.물날. 맑음 옥영경 2022-06-09 332
5956 2022. 4.26.불날. 비 내리다 긋다 옥영경 2022-06-09 361
5955 2022. 4.25.달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6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