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를 지나며 따는 호두를 올해는 아직 나무에 매달아두었더랬다.

추분도 지나며 이번 주쯤엔 털리라 했지만

나흘내리 바깥에서 물꼬로 예술명상 수업을 들어오는 일정에 또 밀렸다.

오늘에야 둘레 풀을 정리하고

나무를 흔들거나 긴 대나무로 툭툭 호두나무를 치거나.

학교 아래 밭에 것을 주운 다음 학교로 들어와 간장집 곁의 두 그루도 딱 딱 쳤다.

학교아저씨가 간장집 해우소 지붕에 올라가서 다시 탁, .

떨어진 호두를 줍는 동안,

 

달골에서는 상담공부하는 이들이 모였다.

예술명상수업을 진행한 나흘 동안

뒷배로 온 점주샘과 사이집에서 묵었고,

묵은 흔적들을 치울 때

그리 멀지 않을 곳에서 명상공간을 꾸리고 사는 이와 연락이 닿았다.

물꼬에 두세 차례 왔으나 날 보지 못하고 헛걸음만 했던 이라.

마침 오늘 다녀가도 좋겠네 했다.

국수를 내고 차를 달이고 물꼬 투어라.

아침뜨락을 걷고 사이집으로 들었네.

두어 해는 더 준비해야 공식적으로 쓰일 수 있는 공간이 되겠지만

집중명상센터 사이집예비모임쯤이었달까.

마당에 볕이 좋았다.

둘러친 편백이, 경사면 아래로 측백이,

아직 높은 키는 아니나 이 맘 때는 아직 잎 푸르르 옴팍하게 마당을 깜싸고.

빨랫줄에 하얀 매트도 널린.

거기 볕이 고솜하게 닿고 있었다.

잔디 위에 요가매트도 꺼내놓고, 내 놓은 긴 의자에도 앉았다.

내놓은 스피커 안에서 음유가수가 노래를 절절히 부르고 있었다.

저 치자나무, 저 노래를 듣고 심고 싶었더라니까.”

90년대 후반 서로 스쳤다가 다시 10년 전 같은 공간에서 아주 잠깐 보였다

비로소 오늘 한자리에 앉다.

물꼬에서는 꽤 흔한 일,

인연들이 모이는 곳이라고, 마치 늪지대처럼 발이 빠지는 곳이라고들 하는.

그래서 또 이곳을 더 정성스레 꾸려야지 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38 7월 27일 물날 꺾이지 않는 더위 옥영경 2005-08-01 1301
5437 2012.12. 3.달날. 푹하다 바람과 비 흩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2-12-17 1300
5436 2011. 7. 7.나무날. 아침 비 옥영경 2011-07-18 1300
5435 2011 봄 몽당계자(4.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11-05-05 1300
5434 2008.12.20-21.흙-해날. 비 추적이다 그치고 이튿날 눈발 옥영경 2008-12-29 1300
5433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300
5432 2007.10. 8.달날. 젖어있던 아침이더니 해에 마르다 옥영경 2007-10-17 1300
5431 2011.11.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1-11-23 1299
5430 2011.10.29.흙날. 흐리다 늦은 밤 부슬비 옥영경 2011-11-11 1299
5429 2011. 6.29.물날. 볕 쨍쨍 옥영경 2011-07-11 1299
5428 2008. 5.29.나무날. 갬 옥영경 2008-06-09 1299
5427 2008. 4. 5.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20 1299
5426 2006.9.4.달날. 가라앉은 맑음 / 가을학기 첫날 옥영경 2006-09-15 1299
5425 146 계자 닫는 날, 2011. 8.12.쇠날. 해, 반갑다, 그리고 다시 내리는 가랑비 옥영경 2011-08-29 1298
5424 2011. 6.12.해날. 황사인가 / 단식 7일째 옥영경 2011-06-18 1298
5423 2011. 4.14.나무날. 맑은 옥영경 2011-04-25 1298
5422 2008.11.24.달날. 비 옥영경 2008-12-08 1298
5421 2007. 3.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03-28 1298
5420 9월 25일 흙날 맑되 어스름에는 흐려진 옥영경 2004-09-28 1298
5419 155 계자(2013.7.28.해날~8.2.쇠날) 갈무리글(8.2.쇠날) 옥영경 2013-08-07 129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