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부엌곳간에 한천이 있었다.

우뭇가사리의 다른 이름이다.

여름에 묵을 쑤어 콩국에 말아먹기도 하지만

이곳에 있었던 까닭은 아이들에게 만들어주던 양갱 때문이었다.

팥을 삶아 으깨고 밤도 통으로 깎아 넣곤 했다.

오래전 일이다.

남은 것이 여러 해 되어 먹기도 그렇고 버리기도 그렇게

또 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오늘 그 쓰임이 있었으니.

 

겨울에 얼어터진 수도관을 고치느라 헐어낸,

구멍 뻥 뚫린 흙집 뒤란 벽을 여러 날 손보고 있었다.

첫 작업은 고운 흙에 자른 짚과 약간의 시멘트를 섞어 반죽한 덩어를

기둥과 기둥 사이 가로로 대나무를 친 뼈대 사이로

착착 던져넣기를 닷새,

어제는 그 위에 조경현장에서 쓰이는 그물 같은 목천을 두드려 붙였고,

그 위로 황톳물을 고무장갑낀 손으로 발라두었더랬다.

오늘 드디어 마감재를 만들다.

어제 황토를 곱게 체 쳐서 물을 섞어 모기장으로 걸러 놓았다.

오늘 물을 따라내고 앙금으로 황토몰탈을 만든 것.

시멘트 몰탈 비율처럼 황토앙금1에 역시 곱게 체를 친 모래3을 섞고

삶은 우뭇가사리를 적당량 넣었다.

벌써 해가 진 멧골,

전등을 켜들고 황토몰탈을 붓으로 벽에 바르다.

색도 고왔다. 아무렴 황토인 걸.

날이 찼으나 추위를 잊을 만한 작업이었다.

이로서 흙집 바깥일은 끝났다 싶지만,

이 벽이 마르면 보온재 천을 둘러주려 한다.

 

사이집 남쪽마당 빨랫줄에 빨래 너는 즐거움이 크다.

오늘도 빨래를 널었더랬네.

학교의 부엌곳간을 정리하고 닦았고,

어제부터 닦던 가스렌지 후드, 오늘은 팬을 아예 피스를 풀어 내렸다.

기름때가 두터웠다.

모터를 피해 세제를 푼 물을 좀 뿌려두었다.

 

며칠 전 서로 흠씬 물어뜯었던 가습이와 제습이는

서로를 외면하고 있다.

오늘도 따로 산책을 시켰다,

가습이가 한사코 같이 하지 않겠다고 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174 2020.12.12.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10 393
1173 2020.12.13.해날. 눈비 아닌 비눈 옥영경 2021-01-10 417
1172 2020.12.14.달날. 새벽 기온 영하 10도 옥영경 2021-01-10 410
1171 2020.12.15.불날. 맑음 옥영경 2021-01-13 350
1170 2020.12.16.물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49
1169 2020.12.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90
1168 2020.12.18.쇠날. 흐림 옥영경 2021-01-14 403
1167 2020.12.1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52
1166 2020.12.20.해날. 맑고 쌀쌀 옥영경 2021-01-14 365
1165 2020.12.21.달날. 먼 산에서 묻어오는 눈 옥영경 2021-01-15 364
1164 2020.12.22.불날. 잠깐 해 옥영경 2021-01-15 355
1163 2020.12.23.물날. 구름 사이 가끔 해 옥영경 2021-01-15 340
1162 2020.12.24.나무날. 해 옥영경 2021-01-15 362
1161 2020.12.25.쇠날. 해 옥영경 2021-01-15 357
1160 겨울 청계 여는 날, 2020.12.26.흙날. 흐리다 해 옥영경 2021-01-15 361
1159 겨울 청계 닫는 날, 2020.12.27.해날. 흐리다 살짜쿵 비 지난 옥영경 2021-01-15 366
1158 2020학년도 겨울 청계(12.26~27) 갈무리글 옥영경 2021-01-15 400
1157 2020.12.28.달날. 살짝 흐린 속 가끔 해 옥영경 2021-01-17 345
1156 2020.12.29.불날. 눈 날리는 저녁 옥영경 2021-01-17 362
1155 2020.12.30.물날. 갬 / 코로나보다 더 무서운 것! 옥영경 2021-01-17 40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