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이런 날이면 영락없이 날적이는 대체로 그리 기록된다.

시작이 그렇지가 않아도 글월이 끝나기 전에는 꼭 발견할 수 있는 문장;

오늘도 고마운 날씨였다!’

그렇다. 흐린 날이었는데,

간간이 볕이 지났고,

바깥일을 끝내고 가마솥방으로 들어왔을 때 그제야 강바람이었다

물꼬 아이들이 늘 말하는, 물꼬 날씨의 매직이었다.

어째 너거는 김장을 할 때마다 이리 날씨가 좋노!”

아이 할머니도 여러 번 말씀하셨더라.

사실 그건 혼례식에 비가 내려도 이러면 잘 산다며

날씨 좋다고 하는 그런 덕담 같은 것이기도.

일이 신명나라고 넣는 추임새 같은.

 

어제 배추를 절였고, 한밤에 뒤집었다.

숨이 덜 죽은 것에 켜켜이 소금을 뿌려주면 아비와 아들이 함께 차곡차곡 쌓았다.

오늘 늦은 아침 씻어 건졌고,

낮밥을 먹고 식구들이 다 가마솥방에 모였네.

하얀샘도 손을 거들러 들어왔다가 엉덩이 붙일 데가 없다며

흙집 출입문과 바깥 창문을 손보았다.

둘 다 내려앉아서 문이 뻑뻑했던.

 

70포기.

올해는 무를 가는 대신 석박지로 넣기로.

설 아래 먹을 것과 이후 먹을 걸로 나눴다.

앞은 갓이며 당파를 넣고 고춧가루가 빨갛게,

이후 것은 속에 넣는 푸성귀를 빼고 고춧가루 살짝 구경만 하도록 버무렸다.

넷이나 붙었으니 일찌감치 끝난.

9개를 다 넣은 연탄난로 위에서 고구마가 먹기 좋게 익었다.

수육과 생굴을 배추와 함께, 갓한 김치와 함께

이른 저녁상에들 앉아 배를 내밀만치들 먹었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며 등이 뻐근하더니

담이 또 시작되려나 조심조심 움직였는데,

모두 손발이 잘 맞아

그저 부엌에서 밥을 준비하고, 나오는 설거지만 치워내도 되었더랬네.

 

해마다 김장하는 결에 같이 하는 메주쑤기를 올해는 하지 않는다.

지난해 쑨 메주로 담은 된장이 넉넉해서.

그것도 코로나19가 남긴 흔적일 수 있겠네.

사람들이 많이 먹지 않은 거니까.

그런데 된장이 너무 뻑뻑했다. 묽게 만들어야했다.

산 너머 이웃에서 콩이 두 되 왔다.

밤에 콩을 삶았다.

부엌뒤란에 걸어둔, 바닥에 구멍 난 가마솥을 아직 때워두지 못했다.

하기야 굳이 가마솥 아니어도 된다.

양이 많다면 여러 차례 하면 될 것.

이 정도는 부엌의 큰 솥단지 한 번으로 가능할.

물이 졸면 끓는 물을 부어가며 삶았다.

아래가 눋지 않도록 큰 주걱으로 저어가며 초콜릿 색깔이 나도록 삶을 것인데

밤이 깊어지고 있었다.

불을 꺼두었다 내일 마저 삶아도 되리.

 

손자와 엄마와 할머니가 나란히 누워 도란거리다.

아이의 할머니는 물꼬를 훌륭한 학교라고 생각하신다,

딸이 좀 고생을 해서 이제 고만했음 좋겠다 하시면서도.

사람 되어 나가는 곳이라고.

할머니는 손자에게 덧붙였다.

하다야, 너거 엄마는 버릴 게 한낱도(하나도) 없다. ‘씨 할 사람이다!”

종자가 무엇인가.

수확한 것 가운데 가장 실한 것을 이듬해 농사거리로 보관한다.

사람씨 할 사람이라니!

우리네 어른들은 어떻게 이런 표현들을 다 하실 수 있는 걸까.

그리고 이만한 찬사를 내가 어디서 들을 수 있었겠는지.

어디 내게 흠이 없어 그리 말씀하셨겠는가.

살아온 날들에 애썼다는 걸 당신 아시노라는 말일.

허리가 곧추세워졌다

좋은 말이 좋은 사람을 만든다, 우리 아이들한테도 마음에 심을 말들을 잘 골라주어야지. 

내가 보다 더 잘 살아간다면 이 순간도 큰 밑절미이리.

그 어느 해 받은 생일 선물보다 커다란 꽃다발 같은 어절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854 2022.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22-09-01 395
5853 2022. 9. 3.흙날. 실비 내리는 오후 / 9월 집중수행 여는 날 옥영경 2022-09-17 395
5852 2022.12.31.흙날. 흐림 옥영경 2023-01-08 395
5851 2023. 1.19.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02-20 395
5850 2020.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20-10-10 396
5849 2020. 9.18.쇠날. 갬 옥영경 2020-10-18 396
5848 2020.12. 3.나무날. 흐림 / 블루스크린 옥영경 2021-01-09 396
5847 2020.12.12.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10 396
5846 2022. 1.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01-12 396
5845 2022. 2.16.물날. 눈발! / 그대에게 하는 말이 내게로 향했다 옥영경 2022-03-24 396
5844 2022. 3.13.해날. 비 옥영경 2022-04-05 396
5843 2022.10. 1.흙날. 맑음 옥영경 2022-10-13 396
5842 2023. 4.14.쇠날. 얼마쯤의 비 옥영경 2023-05-13 396
5841 2023. 5.24.물날. 먹구름 사이 / 크레인에 달린 컨테이너 옥영경 2023-07-05 396
5840 여름 청계 닫는 날, 2023. 7.30.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5 396
5839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396
5838 2020.11.30.달날. 맑음 / 그가 새벽에 가장 먼저 한 일은 옥영경 2020-12-24 397
5837 2021. 1. 1.쇠날. 눈발 사이 잠깐 해 / 연대의 길을 찾는다 옥영경 2021-01-18 397
5836 2023. 7.14.쇠날. 비 옥영경 2023-08-03 397
5835 2019.12.2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17 3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