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불날. 갬

조회 수 365 추천 수 0 2021.03.26 00:42:06


 

어제 종일 내리던 비는 새벽에 눈이 되었다.

일어나니 땅을 살짝 덮은 눈.

산 위에는 상고대가 눈 시렸다.

 

오후에는 본관 앞 꽃밭 앞을 긁다.

꽃밭을 구분 짓고 있는 울타리돌이 때깔 났다.

3월에는 꽃밭의 돌이며 흙이며 죄 긁어내려한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런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은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김훈의 <바다의 기별>에서 옮겼던 글을 생각했다.

이제 더는 슬퍼하지 않음이 슬프다거나 하는 글 자체의 의미보다

우선은 봄이기 때문이었고,

물론 문장의 아름다움 때문이었겠고,

다음은 마른 잎들 때문이었다.

먼 슬픔이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마치 지난여름 뜨거운 시간의 푸름들이 이 봄의 순들로 자리를 대체하는

그 순환이 아리게 다가왔던 듯도 하다.

떠나는 시간은 떠나게, 오는 시간은 그저 오게 하라,

말려도 떠나고 막아도 올 것이니.

 

3월은 달마다 셋째 주에 하는 물꼬주말수행(물꼬stay)도 마지막 주의 빈들모임도 없이 지나기로.

낮에는 노동하고 밤에는 글쓰기로.

마침 바깥수업도 없는 때라.

방문과 상담도, 위탁교육도 모두 4월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874 12월 17일 쇠날 흐림 옥영경 2004-12-22 1351
873 105 계자 이틀째, 8월 2일 불날 계속 비 옥영경 2005-08-06 1351
872 2009. 3.29.해날. 다사로워진 날씨 옥영경 2009-04-08 1351
871 144 계자(봄 몽당계자) 이튿날, 2011. 4.23.흙날. 바람 많은 하루, 그리고 흐려지는 밤 옥영경 2011-05-05 1351
870 3월 31일까지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12-03-07 1351
869 2008. 4.11.쇠날. 맑음 옥영경 2008-04-20 1352
868 2008. 5.23.쇠날. 흐림 옥영경 2008-06-01 1352
867 7월 15일, 부채질을 하다가 옥영경 2004-07-27 1353
866 2007.12.28.쇠날. 비 옥영경 2007-12-31 1353
865 2008. 4.2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353
864 2005.10.2.해날.축축하다 갬 - 밤낚시 옥영경 2005-10-04 1354
863 2005.11.7.달날.맑음 / 그림동화 낸다? 옥영경 2005-11-09 1354
862 2008. 1.28-31.달-나무날 / 대전에서 요한이 오다 옥영경 2008-02-24 1354
861 2008.12.27.흙날. 맑음 / 미리모임 옥영경 2008-12-30 1354
860 7월 23일, 두 달 갈무리 옥영경 2004-07-28 1355
859 103 계자, 5월 28일 흙날 벌써부터 찌는 옥영경 2005-06-02 1355
858 121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7-09-15 1355
857 2008. 3.23.해날. 비 옥영경 2008-04-06 1355
856 126 계자 여는 날, 2008. 8. 3. 해날. 맑음 옥영경 2008-08-22 1355
855 138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10-08-09 135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