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불날. 갬

조회 수 370 추천 수 0 2021.03.26 00:42:06


 

어제 종일 내리던 비는 새벽에 눈이 되었다.

일어나니 땅을 살짝 덮은 눈.

산 위에는 상고대가 눈 시렸다.

 

오후에는 본관 앞 꽃밭 앞을 긁다.

꽃밭을 구분 짓고 있는 울타리돌이 때깔 났다.

3월에는 꽃밭의 돌이며 흙이며 죄 긁어내려한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런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은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김훈의 <바다의 기별>에서 옮겼던 글을 생각했다.

이제 더는 슬퍼하지 않음이 슬프다거나 하는 글 자체의 의미보다

우선은 봄이기 때문이었고,

물론 문장의 아름다움 때문이었겠고,

다음은 마른 잎들 때문이었다.

먼 슬픔이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마치 지난여름 뜨거운 시간의 푸름들이 이 봄의 순들로 자리를 대체하는

그 순환이 아리게 다가왔던 듯도 하다.

떠나는 시간은 떠나게, 오는 시간은 그저 오게 하라,

말려도 떠나고 막아도 올 것이니.

 

3월은 달마다 셋째 주에 하는 물꼬주말수행(물꼬stay)도 마지막 주의 빈들모임도 없이 지나기로.

낮에는 노동하고 밤에는 글쓰기로.

마침 바깥수업도 없는 때라.

방문과 상담도, 위탁교육도 모두 4월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834 2023학년도 2월 실타래학교(2.3~6) 갈무리글 옥영경 2024-02-13 391
833 실타래학교 사흗날, 2024. 2. 5.달날. 서설(瑞雪) 옥영경 2024-02-13 391
832 2023. 1.19.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02-20 391
831 2022.12.31.흙날. 흐림 옥영경 2023-01-08 391
830 2022.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22-09-01 391
829 2022. 1. 5.물날. 밤 1시 밖은 눈발 옥영경 2022-01-12 391
828 2021학년도 겨울 청계(12.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22-01-08 391
827 2020.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20-10-10 391
826 2020. 1.24.쇠날. 잠깐 볕 옥영경 2020-03-03 391
825 2024. 1.30.불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390
824 2023.12.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3-12-31 390
823 2023. 6.22.나무날. 흐린 사이 비도 잠깐 들고 옥영경 2023-07-24 390
822 2023. 5.24.물날. 먹구름 사이 / 크레인에 달린 컨테이너 옥영경 2023-07-05 390
821 2021.11.15.달날. 맑음 / 7mm 피스 하나 옥영경 2021-12-23 390
820 여름청계 닫는 날, 2021. 8. 1.해날. 오후 창대비 옥영경 2021-08-10 390
819 2020.12.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90
818 2024. 3.23.흙날. 살짝 비 옥영경 2024-04-10 389
817 2023. 7.27.나무날. 소나기 / 뜬금없는 제사 이야기 옥영경 2023-08-05 389
816 2023. 3.22.물날.맑음 옥영경 2023-04-11 389
815 2023. 3.16.나무날. 맑음 / 황태덕장 이틀째 옥영경 2023-04-04 38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