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불날. 갬

조회 수 377 추천 수 0 2021.03.26 00:42:06


 

어제 종일 내리던 비는 새벽에 눈이 되었다.

일어나니 땅을 살짝 덮은 눈.

산 위에는 상고대가 눈 시렸다.

 

오후에는 본관 앞 꽃밭 앞을 긁다.

꽃밭을 구분 짓고 있는 울타리돌이 때깔 났다.

3월에는 꽃밭의 돌이며 흙이며 죄 긁어내려한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런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은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김훈의 <바다의 기별>에서 옮겼던 글을 생각했다.

이제 더는 슬퍼하지 않음이 슬프다거나 하는 글 자체의 의미보다

우선은 봄이기 때문이었고,

물론 문장의 아름다움 때문이었겠고,

다음은 마른 잎들 때문이었다.

먼 슬픔이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마치 지난여름 뜨거운 시간의 푸름들이 이 봄의 순들로 자리를 대체하는

그 순환이 아리게 다가왔던 듯도 하다.

떠나는 시간은 떠나게, 오는 시간은 그저 오게 하라,

말려도 떠나고 막아도 올 것이니.

 

3월은 달마다 셋째 주에 하는 물꼬주말수행(물꼬stay)도 마지막 주의 빈들모임도 없이 지나기로.

낮에는 노동하고 밤에는 글쓰기로.

마침 바깥수업도 없는 때라.

방문과 상담도, 위탁교육도 모두 4월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578 2007. 2.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2-16 1322
5577 2006.3.4.흙날. 맑음 / 달골 햇발동에 짐 들이다 옥영경 2006-03-05 1322
5576 2011. 7.13.물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11-07-18 1321
5575 2006.11.18-9일.흙-해날. 싱싱한 김장배추 같은 날 옥영경 2006-11-22 1321
5574 2005.12.14.물날 / 오정택 선생님 옥영경 2005-12-17 1321
5573 2012. 4.12.나무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2-04-17 1320
5572 2011. 7.28.나무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320
5571 142 계자 이튿날, 2011. 1. 3.달날. 흐리다 점심부터 눈 내리다 / 자연의 힘! 옥영경 2011-01-05 1320
5570 138 계자 이튿날, 2010. 7.26.달날. 이른 아침 비 다녀가다 옥영경 2010-08-02 1320
5569 127 계자 여는 날, 2008. 8.10.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320
5568 126 계자 이튿날, 2008. 8. 4.달날. 맑음 옥영경 2008-08-23 1320
5567 2006.11.22.물날. 흐린 하늘 옥영경 2006-11-23 1320
5566 10월 27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4-10-30 1320
5565 2009. 3.15.해날. 맑음 옥영경 2009-03-28 1319
5564 2009. 2.18.물날. 맑음 옥영경 2009-03-07 1319
5563 2008. 8.25.달날. 맑음 옥영경 2008-09-15 1319
5562 2006.4.21.쇠날 / 달골 안택굿 고사문 옥영경 2006-04-27 1319
5561 2011.11.13.해날. 날이 개 거닐기 좋은 옥영경 2011-11-23 1318
5560 2006.10.25.물날. 조금 가라앉은 하늘 / 햇발동의 밤 옥영경 2006-10-27 1318
5559 9월 7일 물날 높은 하늘, 덮쳐온 가을 옥영경 2005-09-19 131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