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뜨락의 달못 아래 수로가 내내 말라있던 겨울이었다.

오늘은 흐르고 있었다.

엊그제 비 왔으니 어제부터였을 것이다.

 

오늘은 흙날, 아침의 엷은 볕 아래 창가에서 책을 읽다.

가지고 있다고 다 읽은 책이 아닌데,

어쩌다 잡은 책에서 현재 질문하는 어떤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길을 만나고는 한다.

거의 넘겨볼 일 없겠다 싶은 책이었는데,

훑어보기(차례)를 보며 이번 달에 쓰려는 책과 연관이 있겠다고 읽었는데

도움이 되네.

밑줄 한 줄만 그어도 책읽기의 덕이라.

 

낮밥을 먹고 대처에서 들어온 식구들이랑 다 나가 일을 좀 했다.

지난 주말 어른의 학교를 마치고 사람들을 보낸 뒤 바로 달골 올라

묘목밭에서 뿌리 채 뽑은 개나리를 파다 아침뜨락 아래편 공터의 가장자리를 돌며 심었더랬다.

오늘은 햇발동 부엌 창 앞으로 너저분하게 뻗어있던 개나리를 잘랐다.

서둘러 두어 차례 자르고 싶은 걸 참으며 이때를 기다렸다.

풀이 아니라 목()이라 부를 심이 생긴 지금을.

15cm 정도씩 잘라 먼저 심은 개나리 사이로 두 개씩 꽂아나갔다.

가로로 이어진 줄에다 사이로 심은 둘을 가로로 나란히 놓았으니

멀리서 보면 결국 세 줄이 만들어진 거다.

아직 땅을 파지 못한 느티나무 뒤쪽 이삼 미터도 마저 패서 심었다.

엊그제 비 왔고 오늘도 흐리니 땅이 촉촉해서 일이 수월했다.

삽 든 김에 아침뜨락 지느러미길 시작 지점의, 바위 축대 아래 배수로도 좀 다듬었다.

개나리 심고 는개비까지 다녀가니 이 또한 고마울 일.

 

본관 현관 윗부분 유리창 걸레질을 하다.

사다리 들인 김에 통로 천장 거미줄도 쳐내다. 봄이 오니까.

비누를 푼 물에 걸레를 묻혀 오르고,

바깥쪽으로는 들머리 지붕 위로 올라가 닦다.

그리고 다시 깨끗한 걸레로, 다음은 마른 걸레로.

다 했다고 치운 사다리였는데, , 자국이 남아있네.

내일 다시 한 번 더 닦기로. 학교아저씨한테 부탁하다.

이런 일이 정작 하면 어려운 일도 아닌데,

마음먹는 그 한 번이 쉽지가 않은.

그냥 쓰윽 손이 닿으면 또 그렇지 않은 걸

무겁고 긴 이중 사다리를 꺼내고 옮기고 세우는 일이면 그런.

 

동해에서 홍게가 닿았다.

아직 살아있었다.

물에 10여 분 담가 물을 먹였다가 등과 배를 눌러 주어 짠물을 뱉게 한 뒤

압력밥솥에 채반을 깔고 등을 아래로 착착 올려 25분 정도 쪘다.

엄마가 게를 맛있게 먹는 법은, 귀를 닫고 게만 바라보며 먹을 것.

다섯 식구들이 둘러앉아 제 쟁반의 게를 열심히 발라 먹었다.

 

금방 처음부터 끝까지 들었어요.

어디에서나 물꼬에서 저희에게 보여주신 태도와 마음으로 말하시는 옥샘이 감동이에요.’

그렇게 쓴 그이가 감동이었네.

품앗이샘 하나가

지난달 22일 국악방송 문화시대 월요초대석에서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관련 대담을 듣고 문자를 보내왔다.

어떤 말들을 했었지...?

기본 질문지가 있었는데, 어느 순간 진행자는 내게 정말 질문을 했더랬다.

우리가 서로 주고받기로 한 대화의 길에서 벗어나기 시작했고,

그가 물었다’; 선생님은 왜 사세요?

그의 진정한 혹은 순정한 질문이었다.

대답은 내가 모르는 것이었다. 우리가 왜 사는지를 내가 또는 난들 어찌 알랴.

그저 태어났으니 산다.

그런 건 모르겠고 결국 어떻게 사는가를 우리 고민해야지 않냐고 답했지, 아마.

이어 소중한 게 뭐냐 물어왔고, 지금은 앞에 있는 당신이 소중하다고 답했다.

진행자 역시 늘 지금 이 순간 내 눈앞에 있는 이를 그리 여겨야한다 생각하지만

즉각적으로 그리 생각하지는 못하신다던가.

마지막 질문은 코로나19가 지나가면 또 어딜 가시겠냐 물었다.

사는 게 여행이더라, 들에 가서 풀을 뽑고, 밭에 가서 풀을 매겠다 답했다.

방송을 들으며 내가 잘 웃는 사람이란 걸 알았다.

그러고 보니 여러 사람이 그런 말을 했더랬다.

잘 웃으면 되었다. 그리 살면 되었다 싶었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94 2014. 9.15.달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56
1693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55
1692 2019. 5.13.달날. 맑음 옥영경 2019-07-19 655
1691 2014.12.20.흙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655
1690 2019. 6.27.나무날. 흐리다 맑음 / 호박잎 꽃다발 옥영경 2019-08-14 654
1689 2019. 5.31.쇠날. 맑음 / 연어의 날(6.22~23) 밑돌모임 옥영경 2019-08-02 654
1688 2015. 6.22.달날. 밤 비 옥영경 2015-07-23 654
1687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52
1686 2017.10.26.나무날. 맑음 / 제도학교의 물꼬나들이 옥영경 2018-01-05 650
1685 2019. 5.10.쇠날. 맑음 / 10년을 정리하네 옥영경 2019-07-09 649
1684 2015. 5. 7.나무날. 구름 조금 / 자유학기제 간담회 옥영경 2015-06-24 649
1683 산마을 책방➀ 닫는 날, 2019. 8.18.해날. 맑음 옥영경 2019-09-23 647
1682 2019. 9. 2.달날. 흐리다 비 많은 옥영경 2019-10-16 646
1681 2015.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46
1680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45
1679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645
1678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44
1677 171계자 이튿날, 2023. 1. 9.달날. 푹하고 흐린 옥영경 2023-01-11 643
1676 2019. 6.20.나무날. 좀 흐린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출간 옥영경 2019-08-07 642
1675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3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