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14.해날. 맑으나

조회 수 372 추천 수 0 2021.04.22 23:29:30


 

뿌연 하늘, 이 멧골도.

기락샘과 가습이와 제습이 산책을 시켜주었다.

온 마을을 돌았다. 신이난 둘이었다.

날마다 그렇게 놀다가 한 주 가까이 묶여만 있었으니...

기락샘 가는 편에 대처 식구들 먹을 반찬들을 해서 보냈다.

주마다 해날 낮밥상을 물리고 나면 두어 시간 늘 하는 일이다.

 

달골에 올라 대문을 지키는 금동이 은동이 양손에 드는 철제 깡통을

녹을 털어내고 백색 라카 뿌려주다.

깔꿈해졌다.

 

아침뜨락에 들었다.

밥못 위쪽 물고기 입모양대로 잔디와 풀들 사이로 이랑을 패두었고,

거기 절반의 개나리를 심었더랬다.

오늘 나머지에 마저 심었다.

꺾꽂이가 아니라 묘목밭에서 뿌리가 있는 걸로 캐 와서.

바위 축대 위쪽 무덤 앞으로 지난해 작은 묘목밭을 만들었고,

개나리를 삽주하여 키웠더랬다.

실하게 뿌리를 잘 내리고 있었다.

아침뜨락 아래 공터에 울타리마냥 가장자리에도

바로 그걸 캐다 심은 것.

 

늦은 저녁밥상이었다. 봄이 되었구나 싶었다.

이렇게 저녁이 길어지며 농번기가 될 것이었다.

어둠을 밀어내고, 때로 별을 지고, 어느 땐 달빛에 마을을 내려가고는 하는.

해가 일찍 지는 달골,

다른 날 같은 장화가 아니라 털신이었는데,

개나리 심을 때 발이 시려웠다. 옷도 조금 얇은 점퍼.

아차! 이러다 감기를 맞아들이고 말지.

따숩게 자야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874 2022. 1.23.해날. 흐림 옥영경 2022-01-31 496
5873 2022. 1.22.흙날. 흐리다 한 방울 비 지난 저녁 / 페미니즘을 말하는 책 두 권 옥영경 2022-01-30 509
5872 2022. 1.21.쇠날. 맑음 옥영경 2022-01-30 485
5871 2022. 1.20.나무날. 대한(大寒), 흐린 하늘 / 아, 두부 하나에 상자 하나 옥영경 2022-01-28 480
5870 2022. 1.19.물날. 흐리다 잠깐 눈발 / 잭 머니건과 의기투합한 걸로 옥영경 2022-01-28 476
5869 2022. 1.18.불날. 흐리다 해 / 학습의 밑절미 옥영경 2022-01-27 553
5868 2022. 1.17.달날. 밤 눈발 옥영경 2022-01-27 466
5867 2022. 1.16.해날. 흐리다 맑음 / 드르륵 문 여는 소리 옥영경 2022-01-26 529
5866 2022. 1.15.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26 443
5865 2021학년도 겨울, 169계자(1.9~14) 갈무리글 옥영경 2022-01-16 720
5864 169계자 닫는 날, 2022. 1.14.쇠날. 맑음 / 잊지 않았다 [1] 옥영경 2022-01-15 648
5863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64
5862 169계자 나흗날, 2022. 1.12.물날. 맑음 / 꽈리를 불고 연극을 하고 [1] 옥영경 2022-01-15 685
5861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68
5860 169계자 이튿날, 2022. 1.10.달날. 맑음 / 비밀번호 0169 [1] 옥영경 2022-01-14 720
5859 169계자 여는 날, 2022. 1. 9.해날. 흐리게 시작하더니 정오께 열린 하늘 / 학교가 커졌다! [1] 옥영경 2022-01-13 724
5858 2022. 1. 8.흙날. 맑음 / 169계자 샘들 미리모임 옥영경 2022-01-12 504
5857 2022. 1. 7.쇠날. 맑음 옥영경 2022-01-12 415
5856 2022. 1.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01-12 398
5855 2022. 1. 5.물날. 밤 1시 밖은 눈발 옥영경 2022-01-12 39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