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30.해날.흐림 / 나의 살던 고향은

조회 수 1516 추천 수 0 2005.11.01 19:39:00
2005.10.30.해날.흐림 / 나의 살던 고향은

불탄 된장집 재며 쓰레기며 이제야 치워내고 있습니다.
현장소장님까지 힘을 보태셨지요.
태석 삼촌이 간 자리로 아이들이 오고
식구들도 모두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어르신 한 분을 뵈러 평택까지 가야했는데
덕분에 아산방조제를 첨 보았더라지요.
산골짝 사니 물 그리웁기 더하겠지요,
짠물 그립기 더했겠지요.


그립다는 것은 당신이 조개처럼 아주 천천히 뻘흙을 토해내고 있다는 말

그립다는 것은 당신이 언젠가 돌로 풀을 눌러놓았었다는 얘기

그 풀들이 돌을 슬쩍슬쩍 밀어올리고 있다는 얘기

풀들이 물컹물컹하게 자라나고 있다는 얘기

; '뻘 같은 그리움'


문태준님의 시 한 편 읊조리며
우리 새끼들과 하고픈 일이 참말 쌓였구나 했더랬습니다.
머잖아 갯살림을 연구하러 떠나는 학기가 기다리고 있다지요.

참,
길눈 어둔 운전수를 잘(?) 만나 매향리 어귀 느티나무 줄 선 긴 길을
터벅거리며 걸을 수도 있었지요.
갯벌은 물이 차고 있었더이다.
언젠가 함 보지 싶던 매향리...
그 위로 대추리에 걸린 팻말도 생각켰지요.

나의 살던 고향

나는 지금도 미군부대 철조망 안
나의 고향 구대추리에서
열다섯 살이 되어 뛰노는 꿈을 꾼다.
한 번 잃어버린 고향인데
또 다시 지금의 대추리를 잃어버려
두 개의 꿈을 꿀 수 없기에
오늘도 간절한 마음으로
우리의 싸움이 이기는 날
그날을 위해 고향을 지킨다.

2005.4.27.대추리 주민일동

아이들이랑 함께 해나갈 일이 정말로 많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14 127 계자 닷샛날, 2008. 8.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540
6213 2008. 2.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538
6212 2007. 2.23-4.쇠-흙날. 맑다 흐림 옥영경 2007-03-04 1538
6211 8월 18-21일, 김영진 전정숙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25 1537
6210 7월 8일, 그게 뭐가 중요해 옥영경 2004-07-15 1537
6209 129 계자 나흗날, 2009. 1. 7. 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22 1535
6208 2006. 6. 3.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535
6207 9월 28일 불날 더러 맑기도, 우리집 닭 옥영경 2004-09-28 1534
6206 120 계자 닫는 날, 2007. 8.10.쇠날. 갬 옥영경 2007-09-03 1533
6205 2006.2.14.불날. 비 사이 다사로운 바람 옥영경 2006-02-15 1533
6204 품앗이 최재희샘과 그의 언니네, 4월 17일 옥영경 2004-04-28 1533
6203 8월 12-15일, 민족건축인협의회 여름캠프 옥영경 2005-09-07 1531
6202 2007.12.19-22.나무-흙날 / 유기농업연수 옥영경 2007-12-31 1530
6201 113 계자 이틀째, 2006.8.22.불날. 비 옥영경 2006-09-05 1527
6200 2008. 9.23.불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526
6199 2006.5.25.나무날. 해 숨기도 하고 옥영경 2006-05-27 1526
6198 153 계자(8/5~8/10) 갈무리글 옥영경 2012-08-13 1524
6197 112 계자 사흘째, 2006.8.9.물날. 소나기 옥영경 2006-08-17 1524
6196 7월 3-4일, 지나샘 옥영경 2004-07-13 1524
6195 3월 30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4-02 152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