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28.해날. 갬

조회 수 345 추천 수 0 2021.05.05 01:03:27


 

학부모이자 논두렁이고, 젊은 날 물꼬 품앗이였던 이네랑 전화 상담.

아이와 아비의 갈등이 깊다.

아직 초등생인 아이인데 자라는 동안 남은 많은 날들을 어쩌나.

그 무서운 8학년스러움(북한도 무서워 내려오지 못한다는 그 중2)의 세월도 남았는데,

지금 어떤 변화가 있지 않으면 그 격랑이 얼마나 크려나.

이 문제를 푸는 주체는 아비여야 한다.

당연하다, 어른이 달라지만 아이의 변화는 쉬우니까.

곧 아비랑 치유과정을 밟아보기로 한다.

 

갈등은 집안사에만 있는 게 아니지.

우리 마을이라고는 말 안하겠다, 하하.

멧골에도 사람이 살고,

사람이 살며 생기는 문제라면 산골이라고 피해가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공동체라는 곳들도 사람이 모인 일이라

거기서도 시기와 질투가 있고 싸움이 있고...

하물며 자연부락이라면 더 더욱 자연스런 일이다.

마을에서 낮 2시 반짝모임이 있었다.

마을방송을 놓쳤고

뒤늦게 부녀회원 한 분으로부터 전말을 듣다.

 

마을에 신구 갈등이 20년이 다 돼 간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건 정월대보름 달집 태우는 행사를 앞두고

급기야 다시는 이런 거 하지 말자고 작파한 뒤부터였다.

젊은 것들이 노인네들 말을 안 들어서,

노인네들이 콩나물 하나 무치는 것까지 잔소리를 해서,

나이 들어서 바래는 게 뭐 그리 많냐,

저들은 나이 안 드나 보자,

뭐 그런 말들이 있었다.

전선을 형성한 건 아니었지만 부녀회와 노인회의 갈등인 셈이었다.

거기 목소리 큰, 절대지지 않는, 자신이 똑똑하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

긴 세월을 장악해온 팔십 전후 똘똘 뭉친 어른 셋이 있다.

새로운 이장도 있고 마을개발위원들도 있지만 그들을 이길 수 없다.

그러면 젊은 축들이 합리적으로 목소리를 모으고 행동할 수 있으련만

그건 또 어려운 모양이다.

어느 해는 어버이날 행사를 두고 대접을 하니 못하니 하다,

너들이 안 하면 우리끼리라도 잘 해먹지,

그렇게 경로당에서 어른들끼리만 잔치를 한 해도 있었다.

그래도, 대보름제는 영영 사라졌지만 어버이날 행사는 이어져왔는데...

 

이번에 돈 문제가 걸렸다.

노인회에서 경로당 경비를 회원들끼리 각 120만원씩 나눠 가진 게 문제가 되었다.

코로나로 여행도 못 가는데, 회원들끼리 기분 좋게 나눈 것이다.

법률로 따지자면 횡령은 아니다.

회비를 가지고 회원들이 나눠가진 것이니까.

회원들이 총회에서 결정한 일이라면 할 말 없는 거다.

그런데 애초 그 경비의 출처가 마을 공동기금과 연관이 있는 게 문제였다.

윗마을 옆마을 아랫마을 사람들이 십시일반 모아 경로당을 지었고,

그걸 헐고 새로 짓는 과정에서 남은 경비가 원천이었으니.

미리 말 한 마디 했다면 젊은 축이 반대할 것도 아니었다.

승산 없이 회의는 끝났고,

서로 화만 난 채 헤어졌다고 했다.

 

이 건은 그간 마을의 일이 어떻게 진행돼 왔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사실 마을의 많은 일이

그간에도 그 세 어르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여기는 씨족 집성촌이고,

그 어르신들의 자식대가 바로 이어진 젊은 세대이니

더 집중적으로 이런 사안이 다뤄지지는 못한다.

노인들의 논리는 견고하다.

그런 무식이야말로 철옹성이다.

관례 관행을 깨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 문제의 고리를 푸는 주체는 누구여야 할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94 4월 21일 나무날 오달지게도 부네요, 바람 옥영경 2005-04-24 1409
693 9월 15-6일, 지리산 천왕봉 1915m - 둘 옥영경 2005-09-24 1409
692 2006.5.22.달날. 비 옥영경 2006-05-25 1410
691 112 계자 닫는 날, 2006.8.12.흙날. 맑음 옥영경 2006-08-17 1410
690 2007.12. 3.달날. 간 밤 눈 내린 뒤 옥영경 2007-12-27 1410
689 2008.10.29.물날. 맑음 옥영경 2008-11-04 1410
688 140 계자 닫는 날, 2010. 8.13.쇠날. 오후 한가운데 소나기 옥영경 2010-08-26 1410
687 2012. 5. 5.흙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410
686 7월 23-25일, 김근영 이충렬님 머물다 옥영경 2004-07-28 1411
685 108 계자 열 하룻날, 2006.1.12.나무날. 늦은 밤 우박 옥영경 2006-01-14 1411
684 2006.10.12.나무날. 맑음 / 구미 야은초등 6학년 154명 옥영경 2006-10-13 1411
683 5월 14일 흙날, 동요잔치 옥영경 2005-05-20 1412
682 108 계자 이레째, 2006.1.8.해날. 아직도 꽁꽁 언 얼음과 눈 옥영경 2006-01-10 1412
681 129 계자 닷샛날, 2009. 1.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1-23 1412
680 2012. 7.25.물날. 사흘째 폭염 옥영경 2012-07-29 1413
679 113 계자 사흘째, 2006.8.23.물날. 해 잠깐 다녀가다 옥영경 2006-09-08 1414
678 2007. 8.19-25.해-흙날. 비도 오고 그랬어요 옥영경 2007-09-21 1414
677 2015. 8.18.불날. 흐림 옥영경 2015-09-03 1414
676 2006.10. 1.해날. 맑음 옥영경 2006-10-02 1415
675 2008.10.13.달날. 맑음 옥영경 2008-10-26 14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