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삼경, 고라니가 울부짖는다.

문 앞 언덕 아래까지 와서 부시럭대기도.

불빛이 있는데도 말이다.

문을 열고 소리를 지른다,

그들에게 놀이터를 내주자면 밭에서 먹을거리를 얻는 것을 포기해야 하니.

 

이레 단식수행을 하자면 그 앞으로 이레를 감식하고,

그 뒤로 이레를 복식(회복식) 한다.

12일부터 이레 밥을 끊으니 오늘부터 감식을 해나간다.

하루 세끼씩 따져 스무한 끼를 서서히 줄여갈 수도 있고,

세끼는 같은 양이되 하루씩 차츰 줄여갈 수도 있다.

앞의 방식은 계산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하니

대체로 뒤의 방식을 선택한다.

 

남도 어르신이 풋마늘김치며를 보내신다 연락이다.

마침 새 김치를 담지 못하고 있는 여러 날이었다.

이때면 풋마늘을 데쳐 무치기도 하고 장아찌도 담고 김치도 담는.

그렇게 또 이곳 손을 덜어주시네.

 

글 쓴다고 모든 시간이 글이 되지는 않는다.

빈둥거리다가 자정에야 앗!

그리고 아침 6시까지. 그 사이로 가끔 빈백에 몸을 묻기도 하고.

손가락 끝도 생각한다!

안 된다 안 된다 하면서도 그래도 나아는 간다.

410일 마감하자면, 이제 절반 남았고,

아니 정확하게는 여섯 장을 썼고, 네 장이 남았다.

장당 두 꼭지씩 열 장, 그러니까 스무 꼭지.

열두 꼭지를 썼고, 남은 날은 하루 한 장 두 꼭지씩 여덟 꼭지를 써야 하는.

하루는 남겨야 여는 글과 닫는 글을 쓸 수 있을 테고.

보내기 전날 전체를 훑어는 봐야지 않겠는지.

마침 마감키로 한 날이 흙날이라

해날 차를 달이고 사람들을 보낸 뒤 전체를 다시 읽고

출판사 출근 시간 맞춰 마감키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54 2023. 5.12.쇠날. 흐림 옥영경 2023-06-13 343
6253 5월 빈들 여는 날, 2023. 5.26.쇠날. 맑음 옥영경 2023-07-13 343
6252 2021. 7. 5.달날. 시작된 장맛비 옥영경 2021-08-03 344
6251 2021. 9.24.쇠날. 맑음 옥영경 2021-11-24 344
6250 2021.1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12-30 344
6249 2022. 4.30.흙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44
6248 2022. 6.13.달날. 물기를 머금은 해 옥영경 2022-07-08 344
6247 2023. 5.29.달날. 비 멎고 어둔 옥영경 2023-07-13 344
6246 2023. 6. 7.물날. 맑음 옥영경 2023-07-20 344
6245 2023. 6.13.불날. 맑음 옥영경 2023-07-21 344
6244 2021. 3.31.물날. 맑음 옥영경 2021-05-05 345
6243 2021. 5.21.쇠날. 비 살짝 옥영경 2021-06-22 345
6242 2021. 7.27.불날. 맑음 옥영경 2021-08-10 345
6241 2021. 8. 2.달날. 창대비와 억수비와 소나기 사이 옥영경 2021-08-12 345
6240 2022. 9.25.해날. 맑지 않은 / 작가초청강연 옥영경 2022-10-04 345
6239 2022.10.15.흙날. 맑음 옥영경 2022-11-03 345
6238 5월 빈들(5.26~28) 갈무리글 옥영경 2023-07-13 345
6237 2023. 6.11.해날. 흐리다 소나기 옥영경 2023-07-21 345
6236 4월 빈들모임(2020. 4.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20-08-04 346
6235 2021. 3.19.쇠날. 흐림 옥영경 2021-04-27 3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