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4.10.흙날. 말음

조회 수 337 추천 수 0 2021.05.06 01:06:47


 

어제도 그제도 그랬는데, 하루에도 몇 차례 구름이 해를 가렸다.

 

고단하다.

돌 일을 하고 나면 특히 그렇다.

바위 축대 위 언덕배기 마른 풀을 걷어낸 곳에

바닥에 널린 돌들로 담처럼 쌓았다.

예취기를 쓰자면 잔돌들이 튈 것이다. 위험하다마다.

일도 더뎌지고. 기계도 문제가 생기고.

예전에도 조그맣게 쌓아놓은 것 있었으나 경사지였다.

그런 곳에 돌을 높이 쌓을 건 아니었다.

거기서 더 위쪽으로 평평한 곳에 다시 쌓으며

먼저 쌓았던 돌무데기도 해체해서 쓰다.

이제 그만!”

하다보면 종일도 하는 일,

한 시간만 하자던 일인데 벌써 두어 시간이 흘렀다. 그만, 그만.

저녁을 먹고 났더니 졸음이 몰려왔다.

 

봄이 오긴 왔나 보다.

달골에도 인기척이 많았다.

사람들이 산소를 살피러 오든 두릅이며 봄나물을 따러 오든.

언제부터 아침뜨락에 산딸나무 들이고 싶었다.

아침뜨락에서 보이는 곁 산에 산딸나무가 마침 있어

봄이 오면 캐다 심어야지 한 게 벌써 여러 해.

올해도 봄은 왔다.

그러나 밥못 쪽에서 바라보이는 곳에 그대로 있어도 고맙고,

무엇보다 퍽 굵어서 캐오기도 쉽잖았다.

산딸나무를 퍽 좋아한다.

도시고 시골집이고 정원수로 많이 심지. 아름다우니까

꽃도, 층층나무과니까 층층을 이루는 수형도.

오래도록 꽃을 떨구지 않는 나무다.

산딸나무 꽃은 오해를 부른다.

우리가 꽃이라고 부르는 네 장의 잎사귀는 꽃받침이 변한 거라고.(식물학적으로 라는 기관)

꽃은 그 가운데 있는 구슬 같은 부분.

꽃받침이 꽃인양 하는.

작은 꽃이 살아남기 위해 수분곤충의 눈에 띄도록 돋보이는 옷을 입어야 했을 것.

그러니까 하얀 꽃 네 장이 아니라 열십자를 이루는 넉 장의 포다.

벌이나 나비가 찾아와 꽃가루받이를 이루고 나면 꽃은 그만 시든다.

존재 이유가 사라졌으니까.

그런데 산딸은 이 흰 꽃(꽃이 아니라 포)이 꽃이 아니니 오래 가는.

포 안 쪽의 꽃은 시들어도.

오늘 산딸 묘목을 한 그루 들여와서 아침뜨락 들머리 룽따 아래 놓인 바위 곁에 심었다.

어느 댁 백장미를 오래 칭찬하였더니

이 봄에 준다셨는데, 정말 분으로 네 개도 왔다.

아침뜨락의 꽃그늘길 쇠파이프 아래로 심었다.

 

원고는 드디어 막바지에 이르렀다.

이번 주 하루 한 장(챕터)씩 써왔고, 오늘 여는 글과 닫는 글을 메모했다.

이 밤에 마저 써서 아침을 맞을 것이다.

괴로운 순간들이 많더니 쓰니 어째도 글이 된다.

일단 매듭짓고, 고칠 기회는 있으니까.

원고 마감 어기는 일은 정말 안 하고 싶은 일.

이전에는 아슬아슬 맞추며 일했는데,

이젠 그런 건 너무 호흡이 가쁘기에 조금 틈을 두게 된다.

날적이를 먼저 쓰고 원고로 넘어가 마저 맺으려 한다.

나중에 글이 되는지 안 되는지도 모르고 일단 썼다.

손가락 끝도 생각을 한다던가.

그래도 이런 일은 혼자 하니 어려운 게 아니다.

여러 사람과 같이 하는 일이 힘들지.

얼거리를 잘 짜면 수월한데

날이 다가오니 마냥 얼거리만 잡고 있을 수 없어 글을 써오면서 수정해왔던.

 

밤새 글 쓰고 대략 갈무리, 지금 해뜨기 직전.

잠시 눈 붙이러 들어간다...

눈 뜨면 사람들이 들어오고, 차를 달일 것이고

사람들을 보낸 뒤 다시 밤을 새며 달날 아침 9시까지 원고를 마감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74 2022. 5.21.흙날. 맑음 / 5월 집중수행 1차 끝, 2차 시작 옥영경 2022-06-19 335
673 2022. 5.22.해날. 맑음 / 설악산행 첫날 옥영경 2022-06-19 383
672 2022. 5.23.달날. 맑음 / 설악산행 이틀째, 공룡능선 옥영경 2022-06-19 516
671 2022. 5.24.불날. 맑음 / 설악산행 사흘째, 오색 옥영경 2022-06-24 333
670 2022. 5.25.물날. 살짝 흐리다 밤비 / 설악산행 나흘째 옥영경 2022-06-24 321
669 2022. 5.26.나무날. 맑음 / 설악산행 닷새째 옥영경 2022-06-24 319
668 2022. 5.27.쇠날. 맑음 옥영경 2022-06-24 317
667 2022. 5.28.흙날. 맑음 옥영경 2022-06-24 313
666 2022. 5.29.해날. 맑음 옥영경 2022-06-24 320
665 2022. 5.30.달날. 민달팽이처럼 소문 안 나는 걸음으로 다녀간 비 옥영경 2022-06-24 321
664 2022. 5.31.불날. 맑음 옥영경 2022-06-25 390
663 2022. 6. 1.물날. 맑음 옥영경 2022-06-25 353
662 2022. 6.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06-25 324
661 2022. 6. 3.쇠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2-06-25 412
660 2022. 6. 4.흙날. 흐려가는 하늘 / ‘작은 약속을 위한 오직 한 걸음’ 옥영경 2022-07-06 358
659 2022. 6. 5.해날. 비 / 보은취회 닫는 날 옥영경 2022-07-06 360
658 2022. 6. 6.달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22-07-06 349
657 2022. 6. 7.불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22-07-06 335
656 2022. 6. 8.물날. 갬 / 이 노동이 허망하지 않을 수 있음은 옥영경 2022-07-06 378
655 2022. 6. 9.나무날. 낮 4시부터 소나기 40분 옥영경 2022-07-06 3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