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시가 막 지났을 때 소나기 내렸다.

종일 조금 흐릿했던 하늘.

풀은 방으로도 들어올 기세다.

장독대 풀을 정리하다.

 

출판사에서 3차 교정지가 왔다.

이 낱말은 전체적으로 수정했다 한다; 멧골->산골

순수문학이라면 뜻을 굽히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까지 할 건 아닌.

어떤 허용이라고 주장도 하겠으나 편집부의 뜻을 따르기로.

전체적으로 표준어 중심.

때로 표준어가 퍽 폭력적으로 느껴지기도.

어떤 말은 방언이어야 그 느낌이 전해진다 여긴다.

20년 전 책을 낼 때는 시집이어서도 그렇겠지만 끝까지 뜻을 꺾지 않았던.

그 일을 후회했다. 전문가인 그들의 의견을 들을 필요가 있는.

우리는 우리 분야에서 또 마지막까지 싸워야 하는 부분이 있는 거고.

이번 교정지는 막바지라 그야말로 스윽 훑으며 되는 일이다.

그런데, 종일 위를 앓았다.

이의 뿌리에 생긴 염증을 가라앉히는 중.

그래야 뺄 수 있는.

소염진통제가 불러온 부작용.

당연히 밥을 먹은 뒤 먹기, 약을 먹을 때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방법일.

그렇게 했지만 퉁퉁 부풀어 올라 풍선 같아진 느낌.

손발과 얼굴까지 부었다.

(약국이나 병원에 전화하는 것도 방법이었을 걸 미련하게 때마다 약을 먹고 있었네)

주말에 동해의 해안가 마을에 갈 일이.

싸 짊어지고 가서 하룻밤 후루룩 봐야겠는.

 

대신 좀 뒹구니 곁에 있는 책 하나 쥐게 된다.

대화법에 대한 얇은 책이었다.

원칙이 될 만한 좋은 말을 잘 담아놓았다.

새로운 건 아니었다. 다시 새길 시간을 주는 책.

한참 머문 문단이 있었다.

단 하나의 틀에 맞추기 위해 그동안 내가 쏟아 온 비열과 비굴과 열등감이 온몸을 휩쓸고 지나간다

옳고 그름의 이분법 아래 나의 옳음만을 강변하고 타자의 그름을 지적하는 일만이 나의 존재가 

증명되는 방식이라고 믿고 살아온 시간에 대한 후회와 그 안에서 아슬아슬 삶을 유지해 온

나를 향한 연민에 눈가가 시큰하다.’

저자 자신의 이야기여서, 읽는 내 얘기여서 그랬을 것이다, 머물게 됐음은.

온갖 남의 이야기를 끌어다 놓은, 거기다 다 무슨 외국의 유명한 이들 말의 종합세트,

그런 말은 공허함이 있다. 거부감도 좀 있고.

자신의 삶에서 길어 올린 말이 그 세트들보다 더 힘을 가질 수도 있을.

비로소 저자의 말이어서 내 안으로 들어왔다 할.

자신의 여림(vulnerability)을 드러냈기에 또한 더 다가왔을 수도.

우리 모두 그러하니까(여리니까),

그래서 서로 보듬어주어야지 않느냐는 측은지심이랄까 연대랄까 그런 마음이 일었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94 2021. 6.1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7-10 347
593 2021. 3.27.흙날. 비 옥영경 2021-04-27 347
592 2020.12.25.쇠날. 해 옥영경 2021-01-15 347
591 2020. 7. 7.불날. 몇 방울 떨어지다 말다 옥영경 2020-08-13 347
590 2024. 4.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4-23 346
589 2022. 7.11.달날. 비 옥영경 2022-07-30 346
588 2022. 7. 1.쇠날. 맑음 옥영경 2022-07-28 346
587 2022. 6. 1.물날. 맑음 옥영경 2022-06-25 346
586 2021.10.20.물날. 그런대로 맑음 / 풀을 검다 옥영경 2021-12-10 346
585 2021. 6.28.달날. 맑음 옥영경 2021-07-26 346
584 2024. 4.10.물날. 맑음 / 곡성 동악산(735m) 옥영경 2024-04-23 345
583 2024. 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07 345
582 2023.12.12.불날. 비 개고 흐린 옥영경 2023-12-24 345
581 2023. 7.19.물날. 볕 옥영경 2023-08-04 345
580 2023. 7.14.쇠날. 비 옥영경 2023-08-03 345
579 2023. 4.28.쇠날. 맑음 옥영경 2023-05-31 345
578 2023. 3.14.불날. 맑다가 밤 돌풍, 예보대로 / 설악산행 9차 옥영경 2023-04-04 345
577 2022. 8.25.나무날. 가끔 비 / 못 키운 건 부모 잘못이나 그 시절에 대한 해석은 자식 몫 옥영경 2022-09-07 345
576 2022. 3.12.흙날. 흐림 / 굳이 우리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 옥영경 2022-04-05 345
575 2022. 3.11.쇠날. 흐림 옥영경 2022-04-04 34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