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는 구름막이 드리워졌다. 그래도 낮 33, 폭염경보 발효 중.

낼은 34, 모레는 35도를 예보하고 있다.

 

창문을 열어두었다. 어둠이 쏟아졌고, 벌레와 새들의 울음이 뒤섞여 쓸려왔다.

바람을 맞이했다.

가볍게 입고 있던 터라 숄을 걸쳐야 했다.

밤이긴 하나 이 더운 날 사이 이런 바람이 있다는 게 신비했다.

하던 일을 멈추었다.

잠시 콩주머니 의자에 앉아 오직 바람이 닿는 대로 몸을 내버려두었다.

 

밥못에 녹조가 심각했다. 장맛비와 폭염이 원인일 테지.

물 흐름이 매우 느리니 더 악화될 테고.

온도라도 좀 내려주려고, 물도 좀 흐르라고

지하수를 연결해놓은 수도꼭지를 틀었다.

뜰채로 녹조류를 건져 올렸다.

이곳에서는 외할아버지 댁 논가에 있던 웅덩이가 늘 떠오른다.

시커멓던 그곳, 깊이를 짐작할 수 없어 지나가지 못했던 어린 날.

뭔가 나를 끌어당길 것 같아서.

꿈에도 자주 나타났다. 아직도 무서움증이 든다.

외가댁 해우소도 그랬다.

어린 날 사위들이 주로 교사였던 외가에는

같이 방학을 맞은 외사촌들이 다 모였고,

할아버지는 우리들을 위해 꽃밭 마당 한켠에 구덩이를 파주거나

어떤 땐 데리고 가 멀찍이 떨어져 볼일이 끝나기를 기다려주셨다.

시커먼 아래는, 무서웠다.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공포, 미지의 세계가 주는.

안다면 낫겠다.

하기야 안다고 해서 꼭 그렇지도 않다.

그게 만들어진 세계란 걸 알아도

영화나 드라마는 우리는 끌어당기지 않던가.

미지(未知)라면 아직 알지 못하는. 그러니 언젠가 알 수도 있을.

알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몰라도 무섭지 않을 수 있으려면 그 상황을 냉정하게 좀 따져보면 낫지 않을지.

이성에 더 기대보는 거다.

밥못은, 내가 만들고자 했고, 만드는 과정에 있었고, 그 깊이를 알므로

한밤에도 그곳을 갈 수 있네.

그러다 어느 순간 상상의 세계가 만들어질 때도 있지만.

 

학교 뒤란 화목보일러 앞 풀들 좀 치워 주십사

학교아저씨한테 이르다.

웬만한 관목만한 쑥이 그야말로 쑥대밭이었다.

눈이 잘 안 가는 곳들은 내내 안 가기 쉬운.

가습이와 제습이 산책 덕에 뒤란을 자주 살피게 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94 4월 빈들 이튿날, 2023. 4.22.흙날. 맑음 옥영경 2023-05-29 345
393 2023. 3.24.쇠날. 비 긋고 내내 흐림 옥영경 2023-04-13 345
392 2022. 7.19.불날. 갬 옥영경 2022-08-05 345
391 2022. 4.30.흙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45
390 2022. 4.20.물날. 맑음 옥영경 2022-06-04 345
389 2021.1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12-30 345
388 2021. 8.27.쇠날. 비 / 깃발을 들어야 하는 나이 옥영경 2021-10-21 345
387 2021. 4.10.흙날. 말음 옥영경 2021-05-06 345
386 2020.12.23.물날. 구름 사이 가끔 해 옥영경 2021-01-15 345
385 2020. 9.27.해날. 흐림 옥영경 2020-11-15 345
384 2023. 6. 7.물날. 맑음 옥영경 2023-07-20 344
383 2023. 5. 3.물날. 맑음 옥영경 2023-06-08 344
382 2022.10.28.쇠날. 맑음 옥영경 2022-11-23 344
381 2021.11.18.나무날. 달빛 좋은 밤 / 수능 옥영경 2021-12-23 344
380 2021.11. 8.달날. 비 / 집중상담 첫날 옥영경 2021-12-20 344
379 2021. 7.18.해날. 맑음 옥영경 2021-08-09 344
378 2020. 9. 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9-21 344
377 2020. 6.12.쇠날. 간간이 해 옥영경 2020-08-13 344
376 2023. 4. 7.쇠날. 맑음 옥영경 2023-05-06 343
375 2023. 3.10.쇠날. 맑음 옥영경 2023-03-29 34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