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조회 수 418 추천 수 0 2021.12.09 17:14:56


 

빳빳했던 고개들이 꺾여있었다.

초록의 기세는 한순간에 그리 무너졌다.

아침 6시 아직 어둑했지만 사물의 모습들은 선명했다.

영하 1도에 처참할 지경의 모습이었다.

수련이 살던 물항아리 표면에 살얼음이 얼었다. 첫얼음이다.

겨울이 시작되었다.

준비한다고 해도 뜻밖의 일이 되기 일쑤인 겨울인데 일러도 퍽 이르다.

 

오늘 설거지를 하며 더운물을 넉넉하게 썼다.

가마솥방 난로 위 주전자 물을 쓰는 건 기본이다.

그런데 그 물을 다 썼을 때도 순간온수기를 틀어 썼다.

꼭 영하로 떨어진 날씨 때문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온수기를 켜는 걸 아껴왔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에너지를 아끼고자 한 것이고, 결국 전기료를 아끼고자 한 것이며,

좀 더 적게 쓰고 살겠다는 건강한 지구인의 의지였던 셈인데,

웬만해서는 온수기를 틀지 않았다.

따져보면 따뜻한 물에서 설거지도 더 잘 된다.

세제를 쓸 일에도 따슨 물에서 더 잘 풀리고,

헹구는 것 역시 더 깔끔하게 되는.

찬물에 설거지를 할 때도 한 번씩 뜨거운 물로 그릇들을 부숴 소독을 했더랬다.

결국 더운물을 쓰고 마는.

그간 뭘 그렇게까지 아껴왔나. 그렇게 해서 남긴 게 무엇이었나.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별 소득도 없는 일이었다.

참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미련했다.

물꼬에는 그런 구석이 적잖다.

과한 게 문제이지!

편리를 적정 수준에서 지혜롭게 잘 쓰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14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455
1213 2022. 5.20.쇠날. 살짝 흐리게 시작해도 맑았던 / 5월 집중수행 1차 옥영경 2022-06-18 455
1212 2021.10.30.흙날. 맑음 / 대왕참나무 한 그루 옥영경 2021-12-15 455
1211 2021. 8.21.흙날. 비 / ‘도이체보넨 몰수(Deutsche Wohnen & Co enteignen)’ 운동 옥영경 2021-08-29 455
1210 167계자 사흗날, 2021. 1.19.불날. 맑음 옥영경 2021-02-07 454
1209 2020. 4.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454
1208 2019.12. 4.물날. 볕 옥영경 2020-01-13 454
1207 2020.10.19.달날. 맑음 / 대안교육백서에서 옥영경 2020-11-22 453
1206 2019.12.11.물날. 맑음 / 대체로 희망 쪽이기로 옥영경 2020-01-13 453
1205 2019.11.16.흙날. 맑음 / 오늘은 ‘내’ 눈치를 보겠다 옥영경 2020-01-08 453
1204 2023.11. 1.물날. 맑음 옥영경 2023-11-12 452
1203 2023.10.18.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30 452
1202 2023. 9.20.물날. 비 옥영경 2023-10-01 452
1201 2019.12.24.불날. 맑음 / 그대에게-그의 쌍수에 대하여 옥영경 2020-01-17 452
1200 2023.10.11.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24 451
1199 171계자 나흗날, 2023. 1.11.물날. 맑음 옥영경 2023-01-15 451
1198 9월 집중수행(9.3~4) 갈무리글 옥영경 2022-09-17 451
1197 2022. 3.16.물날. 맑음 / 그리고 그대에게 옥영경 2022-04-05 451
1196 2020. 2.15.흙날. 맑다가 갑자기 온 손님처럼 비, 그리고 굵은 비 / 암트스프라헤 옥영경 2020-03-13 451
1195 2019.11.18.달날. 비가 긋고 흐린 옥영경 2020-01-08 45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