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조회 수 409 추천 수 0 2021.12.09 17:14:56


 

빳빳했던 고개들이 꺾여있었다.

초록의 기세는 한순간에 그리 무너졌다.

아침 6시 아직 어둑했지만 사물의 모습들은 선명했다.

영하 1도에 처참할 지경의 모습이었다.

수련이 살던 물항아리 표면에 살얼음이 얼었다. 첫얼음이다.

겨울이 시작되었다.

준비한다고 해도 뜻밖의 일이 되기 일쑤인 겨울인데 일러도 퍽 이르다.

 

오늘 설거지를 하며 더운물을 넉넉하게 썼다.

가마솥방 난로 위 주전자 물을 쓰는 건 기본이다.

그런데 그 물을 다 썼을 때도 순간온수기를 틀어 썼다.

꼭 영하로 떨어진 날씨 때문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온수기를 켜는 걸 아껴왔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에너지를 아끼고자 한 것이고, 결국 전기료를 아끼고자 한 것이며,

좀 더 적게 쓰고 살겠다는 건강한 지구인의 의지였던 셈인데,

웬만해서는 온수기를 틀지 않았다.

따져보면 따뜻한 물에서 설거지도 더 잘 된다.

세제를 쓸 일에도 따슨 물에서 더 잘 풀리고,

헹구는 것 역시 더 깔끔하게 되는.

찬물에 설거지를 할 때도 한 번씩 뜨거운 물로 그릇들을 부숴 소독을 했더랬다.

결국 더운물을 쓰고 마는.

그간 뭘 그렇게까지 아껴왔나. 그렇게 해서 남긴 게 무엇이었나.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별 소득도 없는 일이었다.

참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미련했다.

물꼬에는 그런 구석이 적잖다.

과한 게 문제이지!

편리를 적정 수준에서 지혜롭게 잘 쓰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5794 2021.11. 6.흙날. 맑음 / 기차의 모래주입구 옥영경 2021-12-20 696
5793 2021.11. 5.쇠날. 맑음 / 이곳에서의 애씀이 누군가를 구할 수 있게 한다면! 옥영경 2021-12-19 463
5792 2021.11. 4.나무날. 맑음/ 내 감정의 책임은? 옥영경 2021-12-19 350
5791 2021.11. 3.물날. 맑음 / ‘무위는 존재의 뼈대이다’ 옥영경 2021-12-18 358
5790 2021.11. 2.불날. 맑음 / 그래서 MSG가 뭐? 옥영경 2021-12-15 399
5789 그리고 2021.11. 1.달날. 흐리다 정오께 맑음 / 천천히 서둘러라; Festina Lente 옥영경 2021-12-15 405
5788 2021.10.31.해날. 맑음 / 지적담론은 어디로 갔나 옥영경 2021-12-15 383
5787 2021.10.30.흙날. 맑음 / 대왕참나무 한 그루 옥영경 2021-12-15 455
5786 2021.10.29.쇠날. 맑음 / 지적장애 옥영경 2021-12-15 393
5785 2021.10.28.나무날. 맑음 / 앞으로 확 자빠져! 옥영경 2021-12-15 363
5784 2021.10.27.물날. 정오를 지나며 말개진 하늘 / 일상을 붙드는 일이 자주 쉽지 않다 옥영경 2021-12-15 332
5783 2021.10.26.불날. 맑음 / 생의 어떤 순간이 우리를 후려치지만 옥영경 2021-12-15 314
5782 2021.10.25.달날. 맑음 옥영경 2021-12-15 308
5781 10월 빈들모임(10.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21-12-10 427
5780 10월 빈들 닫는날, 2021.10.24.해날. 맑음 옥영경 2021-12-10 333
5779 10월 빈들 이튿날, 2021.10.23.흙날. 맑음 옥영경 2021-12-10 391
5778 10월 빈들 여는 날, 2021.10.22.쇠날. 맑음 옥영경 2021-12-10 348
5777 2021.10.21.나무날. 해와 구름 사이 옥영경 2021-12-10 338
5776 2021.10.20.물날. 그런대로 맑음 / 풀을 검다 옥영경 2021-12-10 350
5775 2021.10.19.불날. 정오께 한 차례 비 옥영경 2021-12-09 35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