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어 시간 작업 하나.

아침뜨락의 무한; ; infinity’ 공간 앞에 놓을 팻말 하나 만들기.

300*100mm 직각 나무에 그림 그리기.

에고, 먹은 마음에 하자 싶어 그려놓고 나니 야외 놓기엔 너무 작은.

그래도 손쉽게 나무 잡혔을 때 한 것도 좋은 방법이었다.

오랜만에 정성스레 그림 하나 그렸네.

 

치과 치료 때문에 대처에 있는 아들의 자취집에 있었는데,

양념장이 든 찬장의 문을 열다가 깜짝 놀라다.

파는 조미료 봉지가 보인 거다.

어렸을 때부터 집에서 그런 걸 본 적이 있을 리 없는데

세상 나가 사니 참...

이게 웬 거라니?”

“(제가 음식을 하면) 맛이 안 나서... 멸치국물 내는 것보다 간단하고...

 제가 산 건 아니구요, 어디서 굴러다니던 건데...”(* 엄청 강변함, 하하)

인체에 유해한 것도 아니고

값싸게 맛을 낼 수 있고,

환경문제에도 결국 기여하는 것 아니겠냐는.

물꼬만 해도 국물을 내는 데에

굵은 멸치, 뒤포리, 북어대가리, 건새우, 다시마 대파 양파 무 마늘,

냉장고에 보이는 야채 뭐든, 거의 열 가지 재료는 기본으로 들어간다.

오랜 세월 물꼬에 한 다리를 담그고도 결코 물꼬적이지 않은 한 청년,

언젠가 계자에서 보글보글방의 한 꼭지를 맡았는데,

아이들이 맛있다고 난리였다.

흐흐흐 사실은 약을 좀 쳤지!”

라면스프를 살짝 썼다는 비법을 내게만 말해준 게 떠올랐네.

오늘 등장한 조미료 덕분에 오랜 MSG논쟁을 살펴보게 되었다.

 

1907년 도코대 교수가 발견.

다시다의 성분을 물에 녹여 여타 물질을 제거하고 유기산을 얻는 데 성공.

한국 미원의 원조였던 아미노모토(맛의 정수)가 그것이었다.

한국에서는 1956년 미원이 나왔고, 이후 제일제당이 다시다를 내놓았다.

언제부터인가

MSG(L-글루타민산나트륨;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상의 나트륨염; 향미증진제)는 해라는 오랜 인식이 있었다.

한 유명 PD의 먹거리 프로그램에서 대결구도를 양산한 것이 한몫하여

MSG를 쓴 식당과 그렇지 않은 식당을 착한식당과 나쁜식당으로 양분하게 되었다고도.

인공조미료로 생각하지만 천연식품에도 존재하고 그 양도 적지 않다고.

아미노산이므로 단백질로 구성된 동식물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낮은 가격에 뛰어난 맛을 내고,

그래서 더 적은 재료로 간편하게 요리,

소금의 나트륨보다 질량 비율이 낮아 나트륨 제한이 필요한 환자에게 꼭 필요하기까지 하다고.

그러나 자연스러운 형태의 MSG와 그것을 추출 분리한 건 다르지 않을까.

 

그리고 아들에게 문자 한 줄 넣어놓았다.

유해하지 않다는 것이 좋다는 의미는 아님.

좋기로야 천연재료만 할까!

감칠맛이 다른 재료의 맛을 죽이거나(맛의 획일화, 일종의 미각 손실?),

혀가 갈수록 더 강한 맛을 요구하거나,

질 낮은 재료의 해를 그것으로 덮어버림.

그 고유의 재료 맛을 살리는 게 좋은 음식인 듯. 나아가 건강한 음식 아닌가 싶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814 2006.2.1.물날.흐림 옥영경 2006-02-02 1236
5813 2006.2.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2-06 1053
5812 2006.2.3.쇠날. 맑음. 들살이 첫날 옥영경 2006-02-06 1037
5811 2006.2.4. 흙날. 매서운 추위. 가족들살이 이튿날 옥영경 2006-02-06 1218
5810 2006.2.5.해날. 맑음. 들살이 닫는 날 옥영경 2006-02-06 1166
5809 2006.2.6.달날. 무지 많은 눈 옥영경 2006-02-13 963
5808 2006.2.7.불날. 계속 내리는 눈, 2006학년도 신입생 결정 옥영경 2006-02-13 1094
5807 2006.2.8.물날. 또 내리는 눈 옥영경 2006-02-13 1022
5806 2006.2.9.나무날. 그친 눈 옥영경 2006-02-13 969
5805 2006.2.10.쇠날. 맑음 옥영경 2006-02-13 943
5804 2006.2.11.흙날. 맑음 옥영경 2006-02-13 1106
5803 2006.2.11. 잡지 '민들레'로부터 온 메일 옥영경 2006-02-13 1673
5802 2006.2.12.해날. 맑음 / 답 메일 옥영경 2006-02-13 1393
5801 2006.2.13.달날. 죙일 맑다 야삼경에 비 / 잠시 지난 두 해를 거슬러 오르다 옥영경 2006-02-15 1265
5800 2006.2.14.불날. 비 사이 다사로운 바람 옥영경 2006-02-15 1524
5799 2006.2.14.불날 / 2005학년도에 있었던 일련의 갈등에 대해서 옥영경 2006-02-15 1450
5798 2006.2.15.물날. 비였다가 눈이었다가 옥영경 2006-02-16 1231
5797 2006.2.16.나무날. 옥영경 2006-02-27 1045
5796 2006.2.17.쇠날. 옥영경 2006-02-27 1059
5795 2006.2.18-9. 새밥알 준비모임 옥영경 2006-02-27 109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