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어 시간 작업 하나.

아침뜨락의 무한; ; infinity’ 공간 앞에 놓을 팻말 하나 만들기.

300*100mm 직각 나무에 그림 그리기.

에고, 먹은 마음에 하자 싶어 그려놓고 나니 야외 놓기엔 너무 작은.

그래도 손쉽게 나무 잡혔을 때 한 것도 좋은 방법이었다.

오랜만에 정성스레 그림 하나 그렸네.

 

치과 치료 때문에 대처에 있는 아들의 자취집에 있었는데,

양념장이 든 찬장의 문을 열다가 깜짝 놀라다.

파는 조미료 봉지가 보인 거다.

어렸을 때부터 집에서 그런 걸 본 적이 있을 리 없는데

세상 나가 사니 참...

이게 웬 거라니?”

“(제가 음식을 하면) 맛이 안 나서... 멸치국물 내는 것보다 간단하고...

 제가 산 건 아니구요, 어디서 굴러다니던 건데...”(* 엄청 강변함, 하하)

인체에 유해한 것도 아니고

값싸게 맛을 낼 수 있고,

환경문제에도 결국 기여하는 것 아니겠냐는.

물꼬만 해도 국물을 내는 데에

굵은 멸치, 뒤포리, 북어대가리, 건새우, 다시마 대파 양파 무 마늘,

냉장고에 보이는 야채 뭐든, 거의 열 가지 재료는 기본으로 들어간다.

오랜 세월 물꼬에 한 다리를 담그고도 결코 물꼬적이지 않은 한 청년,

언젠가 계자에서 보글보글방의 한 꼭지를 맡았는데,

아이들이 맛있다고 난리였다.

흐흐흐 사실은 약을 좀 쳤지!”

라면스프를 살짝 썼다는 비법을 내게만 말해준 게 떠올랐네.

오늘 등장한 조미료 덕분에 오랜 MSG논쟁을 살펴보게 되었다.

 

1907년 도코대 교수가 발견.

다시다의 성분을 물에 녹여 여타 물질을 제거하고 유기산을 얻는 데 성공.

한국 미원의 원조였던 아미노모토(맛의 정수)가 그것이었다.

한국에서는 1956년 미원이 나왔고, 이후 제일제당이 다시다를 내놓았다.

언제부터인가

MSG(L-글루타민산나트륨;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상의 나트륨염; 향미증진제)는 해라는 오랜 인식이 있었다.

한 유명 PD의 먹거리 프로그램에서 대결구도를 양산한 것이 한몫하여

MSG를 쓴 식당과 그렇지 않은 식당을 착한식당과 나쁜식당으로 양분하게 되었다고도.

인공조미료로 생각하지만 천연식품에도 존재하고 그 양도 적지 않다고.

아미노산이므로 단백질로 구성된 동식물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낮은 가격에 뛰어난 맛을 내고,

그래서 더 적은 재료로 간편하게 요리,

소금의 나트륨보다 질량 비율이 낮아 나트륨 제한이 필요한 환자에게 꼭 필요하기까지 하다고.

그러나 자연스러운 형태의 MSG와 그것을 추출 분리한 건 다르지 않을까.

 

그리고 아들에게 문자 한 줄 넣어놓았다.

유해하지 않다는 것이 좋다는 의미는 아님.

좋기로야 천연재료만 할까!

감칠맛이 다른 재료의 맛을 죽이거나(맛의 획일화, 일종의 미각 손실?),

혀가 갈수록 더 강한 맛을 요구하거나,

질 낮은 재료의 해를 그것으로 덮어버림.

그 고유의 재료 맛을 살리는 게 좋은 음식인 듯. 나아가 건강한 음식 아닌가 싶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054 2020. 8.30.해날. 마른하늘에서 비 촬촬 옥영경 2020-09-17 406
1053 2023.10. 4.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17 405
1052 2022. 9. 2.쇠날. 오후 가랑비 옥영경 2022-09-14 405
1051 2022. 8.28.해날. 맑음 / ‘2022 멧골 책방·2’ 닫는 날 옥영경 2022-09-08 405
1050 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옥영경 2021-12-09 405
1049 2021. 8.19.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1-08-29 405
1048 2023.11.14.불날. 흐림 옥영경 2023-11-25 404
1047 2022. 6. 3.쇠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2-06-25 404
1046 2023.11.15.물날. 맑음 옥영경 2023-11-25 403
1045 2023.10. 6.쇠날. 맑음 옥영경 2023-10-23 403
1044 2023. 1. 4.물날. 맑음 / 썰매 옥영경 2023-01-08 403
1043 2021.12.13.달날. 맑음 / 잠복소(潛伏所) 옥영경 2022-01-06 403
1042 2021. 4.26.달날. 맑음, 달 둥실 옥영경 2021-05-26 403
1041 2020. 8.17.달날. 맑음 옥영경 2020-08-30 403
1040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402
1039 2023. 8. 4.쇠날. 해 옥영경 2023-08-06 402
1038 2022. 2.18.쇠날. 맑음 옥영경 2022-03-24 402
1037 2021.12.27.달날. 맑음 옥영경 2022-01-11 402
1036 그리고 2021.11. 1.달날. 흐리다 정오께 맑음 / 천천히 서둘러라; Festina Lente 옥영경 2021-12-15 402
1035 2021. 9. 3.쇠날. 가랑비 간간이 다녀가는 / 오늘은 그대의 소식이 힘이었다 옥영경 2021-10-21 40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