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뫼의 농사 이야기 5 (품앗이)

조회 수 948 추천 수 0 2004.03.22 13:28:00
큰뫼 농(農) 얘기 5 (품앗이)
어제는 무척 바쁜 하루였다.
젊은 군인 두 사람,
동네 할머님 3분,
우리 가족 4명이 정신 없이 일을 했다.

이번에는 품앗이에 관해서 얘기해보자.
품앗이의 원래 뜻은
"내가 오늘 하루 너희집 일을 해 줄테니, 다음에 우리집 일 하루 해도."
이렇게 간단한 개념의 단어다.

과거에는 농기계가 없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일들을 사람 인력으로 했다.
또한 시골에는 돈이 그리 흔하지 않았으므로
인건비를 돈으로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인건비 계산을 하였다면 쌀이나, 보리 등의 곡식으로 했다.

과거에는 자급자족의 농사였으므로
일부 부잣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농가들이
심는 작목도 비슷하고,
경작 면적도 그리 많지를 않았다.

농사일이란게
혼자나 두사람이 하는 것보다도
여러명이 같이 해야될 경우도 있으며,
여럿이 같이해야만이 능율이 높은 일들이 많다.

이런 일들이
품앗이 문화를 형성하게 만들었다.

지금의 농촌 현실에서
품앗이의 문화는 여전히 전승계승되고 있지만
많이 변화를 하고 있다.

이유들을 살펴보면,
첨단화된 농기계의 도입,
자꾸만 심해지는 고령화의 농촌,
대농과 가족농과의 많이 차이나는 경작 규모,,,,,,
이런 이유로 인해 일 대 일의 노동의 교환이 어려워지게 된다.

현재 문암리 이곳에서는
품앗이 부분을 제외하고,
불균형을 이루는 노동에 대해서는 하루의 인건비로 계산을 한다.
여자는 25000원, 남자는 35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12월 말 경에 동회(동네 회의)시에 인건비를 결정하는 관습을 만들었다.
그러나 실제로 주는 인건비는
여자 30000원, 남자 40000원이나 50000원 지급한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이와 비슷한 두레에 대해서도 언급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29221
2618 아무일없기를 전형석 2002-09-03 948
2617 많이~~바쁘신가요??? 김수현.현진 2008-08-18 947
2616 소명여자고등학교 목영은입니다! 목영은 2008-07-26 947
2615 하하어느덧 [1] 최지윤 2007-06-30 947
2614 소식지 잘 받았습니다. [3] 오승현 2006-11-28 947
2613 이제야... [1] 혜연맘 2004-12-28 947
2612 상범샘!희정샘!결국은 게시판에서 알게 ‰煐慧求 [1] 『유민이』 2004-12-13 947
2611 [답글] 잘 도착했습니다. 혜연빠 2004-09-13 947
2610 포도따는날-15 file 혜연아빠 2004-09-07 947
2609 물꼬갔다온뒤글 이다원,종원 2004-08-22 947
2608 자유학교 물꼬 갔다와서 [1] 이희정 2004-08-08 947
2607 [답글] 소식지 잘 받았습니다~ [1] 김주묵 2004-08-11 947
2606 애들이 울까? 안울까? [2] 나령 맘 2004-04-23 947
2605 두번째 숙제입니다. [1] 채은규경네 2004-03-14 947
2604 온, 온 마음으로 아이를 맞는 아침-옥영경 [1] 옥영경 2003-05-09 947
2603 자알 도착 했습니다 [3] 한맥 2010-10-24 946
2602 보고싶어요ㅠㅠ [2] 수현 2010-06-14 946
2601 하하하하 ㅋ 아직 영동... [14] 희중 2009-12-27 946
2600 물꼬 식구들께 [1] 지줏대 2008-11-18 946
2599 현주샘 글 보시면 연락좀... 선진 2005-08-29 9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