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18.흙날. 눈

조회 수 361 추천 수 0 2022.01.08 16:21:27


기온이 낮으면 강제순환기로 학교 뒤란 보일러를 돌린다.

하지만 몇 해 전 겨울 영하 20도를 보내던 여러 날 뒤 그만 보일러가 얼어 터졌다.

그 뒤로 영하 15도를 기준으로 여러 날 이어지면

공간을 쓰지 않을 때도 아침저녁 불을 지피기로 했던.

영하 13도의 아침,

보일러 아궁이에 장작을 넣었다.

계자 전 두어 차례 가동도 해봐야 하니.

오후 모둠방이 후끈후끈했다.

올해도 작년만치 따쉈으면 좋겠네.

그래서 계자가 더 수월했던.

아궁이는, 바람도 도와줘야 한다.

나무는 지난해처럼 잘 말랐다.

 

해날이라서도 그랬겠지, 종일 좀 가라앉았다.

그래도 책을 좀 들여다보고, 글도 좀 쓰고. 그저 적바림수준이었지만.

책읽기에 대한 조각글 모음을 보았다.

그리 좋아하는 류의 책은 아니다.

여러 책에서 가져온 문장에 자신의 단상을 더한.

책이란 게 맥락이 있는 것인데,

전체 글에 대한 아쉬움이 일었다.

그래서 또 책을 찾아보겠구나.

 

그의 책을 읽었다기보다 읽고 말았습니다. 읽고 만 이상, 거기에 그렇게 쓰여 있는 이상, 그 한 행이 

아무래도 옳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 이상, 그 문구가 하얀 표면에 반짝반짝 검게 빛나 보이고 만 이상

그 말에 이끌려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문학이야말로 혁명의 힘이고,

혁명은 문학에서부터 일어납니다. 읽고 쓰고 노래하는 것.

혁명은 거기에서만 일어납니다.’

그들은 읽었습니다. 읽어버린 이상 고쳐 읽지 않으면 안 됩니다.

고쳐 읽은 이상 고쳐 쓰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읽은 것은 굽힐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쓰기 시작해야만 합니다.

반복합니다. 그것이, 그것만이 혁명의 본체입니다.’


-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사시키 아타루

 

혁명의 본질은 폭력이나 주권 탈취가 아니라 문학이라고

읽는 것, 쓰는 것 그 자체가 혁명이라고

혁명은 텍스트를 다시 쓰는 것이라고 그가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938 2022. 7.29.쇠날. 맑음 옥영경 2022-08-07 389
5937 2023. 1.18.물날. 눈 옥영경 2023-02-11 389
5936 2023. 7.31.달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3-08-06 389
5935 2020.12. 8.불날. 흐림 옥영경 2021-01-10 390
5934 2020.12.11.쇠날. 뿌연, 미세먼지 심해 그렇다는 옥영경 2021-01-10 390
5933 2021. 1.10.해날. 해 옥영경 2021-01-27 390
5932 2021. 8.15.해날. 갬 옥영경 2021-08-27 390
5931 2021. 8.16.달날. 갬 옥영경 2021-08-27 390
5930 2021.10.31.해날. 맑음 / 지적담론은 어디로 갔나 옥영경 2021-12-15 390
5929 2023. 7.16.해날. 잊지는 않았으나 줄어드는 비 옥영경 2023-08-03 390
5928 2020. 9. 6.해날. 비, 태풍 가까워지는 옥영경 2020-10-08 391
5927 2020.10.24.흙날. 맑음 / 민주지산 산오름 옥영경 2020-11-29 391
5926 2020.10.26.달날. 맑음 / 어떤 일의 성실이 옥영경 2020-11-30 391
5925 2021. 1. 3.해날. 맑음 옥영경 2021-01-19 391
5924 2022. 8.16.불날. 간간이 비, 그리고 개다 / ‘우리끼리 계자’ 나흗날 옥영경 2022-08-26 391
5923 2023. 4.28.쇠날. 맑음 옥영경 2023-05-31 391
5922 2023. 5.30.불날. 갬 옥영경 2023-07-18 391
5921 2023. 7.23.해날. 비 옥영경 2023-08-05 391
5920 2020. 5. 2.흙날. 흐리다 빗방울 셋 떨어지는 저녁답 옥영경 2020-08-06 392
5919 2021. 4.28.물날. 뿌연하늘 옥영경 2021-05-27 3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