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30.물날.봄날 같은 볕 / 아궁이 앞에서

조회 수 1167 추천 수 0 2005.12.01 22:40:00

2005.11.30.물날.봄날 같은 볕 / 아궁이 앞에서

물꼬의 나뭇꾼들은 산을 내려와 여느 물날처럼 고래방을 찾은 국선도 샘들과
수련을 하였습니다.
한가로웠지요.
김점곤 아빠랑 류옥하다가 큰 마당에서 하는 하늘땅놀이를
다른 식구들은 책방 현관 앞에서 볕을 쪼이며 구경합니다.
"날이 이리 따뜻해도 되나?"

아궁이 앞에 앉습니다.
전기를 때며 기름을 쓰며 연탄을 갈며는 잊기 쉬운 고마움이
불을 때고 앉으면 흘러가버리는 일이 드물지요.
나무는 오래 타며,
재놓은 장작더미에서 하나를 꺼내 얹을 때마다
삼촌이나 열택샘, 그리고 이 나무를 베서 끌고 와 자르고 패기까지 거친 많은 손을
고스란히 되짚게 됩니다.
그래서 아궁이는 깊은 사유의 시간 아니라도 이래저래 덕이 크지요.
다시, 품앗이들의 손발이 고맙고 고맙습니다.

요새 농사일이 한가하니 가마솥방도 한가롭습니다.
지나다 들여다보면 우리 희정샘은
뜨개질도 하고 황토로 옷감 물도 들이고
책도 읽고 음악도 듣고 있습니다.
대단한 사람이지요,
대학 2년 때 품앗이로 와서 맺은 인연이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일찌감치 4대 가마솥지기가 되어 수년을 자리바꿈 없이 지키고 있는 그는
이 공동체의 훌륭한 안주인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때로 날이 서서 그가 가진 작은 허물들을 더러 들추기도 하는데,
그가 하는 일이 허물을 덮기에 충분하고도 남다마다요.
밥을 떠 넣으며 오늘도 그가 고마웠더이다.

아이들이 비운 학교는
젊은 할아버지 상범샘 열택샘 희정샘 김점곤아빠 방문자윤정식님 류옥하다,
그리고 달골 현장소장님과 인부들이 온통 채우고 있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794 2009년 4월 몽당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09-04-19 1366
793 12월 29일 물날 맑음 아침, 눈발 아주 잠깐 옥영경 2005-01-03 1367
792 5월 3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6-03 1367
791 7월 15일 쇠날 맑은 가운데 반짝 소나기 옥영경 2005-07-21 1367
790 2012. 4. 5.나무날. 거센 바람 옥영경 2012-04-07 1367
789 112 계자 여는 날, 2006.8.7.달날. 하늘이야 말갛지요 옥영경 2006-08-11 1368
788 2008. 9. 13-15. 흙-달날. 가끔 구름도 있던 한가위 연휴 옥영경 2008-09-26 1368
787 2008. 5. 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369
786 2008.10.12.해날. 그럭저럭 맑은 옥영경 2008-10-20 1369
785 11월 12일 쇠날 흐림 옥영경 2004-11-22 1370
784 11월 1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1-24 1371
783 10월 28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0-30 1372
782 4월 10일 해날 축축한 날 옥영경 2005-04-17 1372
781 2007. 9.29-30.흙-해날. 쨍 하더니 눅진해지다 / <안티쿠스> 휴간에 부쳐 옥영경 2007-10-09 1372
780 2007.12.12.물날. 맑음 옥영경 2007-12-29 1372
779 2008.11.22.흙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08-12-06 1372
778 7월 4일, 우리는 옥영경 2004-07-13 1373
777 2007.12.22.흙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373
776 2005.10.20.나무날.맑음 / 같이 살면 되지 옥영경 2005-10-22 1374
775 2005.12.20.불날.눈 빛나다 / 내가 장갑 어디다 뒀나 보러 왔다 그래 옥영경 2005-12-22 137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