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3.흙날.저녁답부터 밤새 내리는 눈 / 연수 하나를 마치고

식구들은 장도 보고 찜질방에 가서 하루를 느긋하게 보냈지요.
어디나 눈이랍니다, 눈 구경 힘든 남도도 눈이 나린다는 소식이 저녁에 왔습니다.
대해리도 이 겨울 첫눈이 날리는 한 밤입니다.

서울에서 연수 하나가 있었지요.
워낙에 큰 유행처럼 거대하게 신봉자(?)들을 거느린 교육이론에 관한 것이었는데
시카고에 있는 그 학교에 한 주 동안 참관도 했고
필라델피아의 그 학교 장애인공동체에서 한동안 머물기도 했던 적 있어
이 나라에선 어떻게 얘기되고 있는지도 궁금했고,
덤으로 우리 아이들 갈 길에 좋은 안내도 되었음 싶었지요.
그것이 예술의 영역에서 거둔 빛나는 성과물들이야 부정할 수 없지만
이 사회의 천박한 지적허영과 맞닿아있는 건 아닌가,
이미 '고민하는 교육'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좋은 작업들과 무에 그리 다른가,
의심의 눈초리를 거둘 수 있으려나 기대도 했더랍니다.

강연은 입문단계에 그치고 있어 별반 할 말이 없게 만들었지만
그 저녁, 진행자가 들려준 일화 하나가 마음에 오래 머물렀지요.
그가 교생실습을 하던 때였답니다.
어렵게 공부했고, 그런 만큼 앞서간 사람들에 대한 큰 기대로 교생실습을 나갔겠지요.
기대란 것이 늘 그러하듯 실망이 있었을 게고
나름의 평가를 가지고 참관을 끝낸 뒤 담당 교수 앞에 갔더랍니다.
"그런데, 너는 (아니다 싶었을 때) 거기서 그를 위해 무엇을 했느냐?"
아차 했겠지요,
너는 실패(?)하고 있는 그 담임선생님한테 무엇을 도와주었느냐,
그 수업을 위해서 무얼 하였느냐는 물음이었을 테니.
잘잘못을 따지는 평가는 그 수업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을 겝니다.
"그대는 명백히 잘못했습니다.
이것이 제 잘못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당신은 이 학교가 발을 헛디딜 때 무엇을 하셨습니까?
당신이 비난을 거두고 교사를 돕고자 했더라면...
그러나 그대는 떠났고, 그건 가장 손쉬운 길이었습니다."
때로 '남겨진 이'로서 버거울 때 이리 소리칠 수도 있겠구나 싶데요, 하하.
그래요, '같이' 살 길은 '함께' 찾아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194 2008.12. 2.불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56
5193 2008. 6.19.나무날. 비 옥영경 2008-07-06 1256
5192 2007.10.2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0-29 1256
5191 2007. 9.22. 흙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07-10-05 1256
5190 2006.11. 8.물날. 갰으니 맑지요 옥영경 2006-11-10 1256
5189 9월 7일 불날, < 흙 > 옥영경 2004-09-16 1256
5188 2020. 2. 1.흙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20-03-04 1255
5187 2011. 7.12.불날. 비 뚫고 옥영경 2011-07-18 1255
5186 2011. 4.20.물날. 맑음 옥영경 2011-05-01 1255
5185 139 계자 이튿날, 2010. 8. 2.달날. 무지 더운 옥영경 2010-08-11 1255
5184 2008. 4. 3.나무날. 어제보다 바람 더 많은 옥영경 2008-04-18 1255
5183 2008. 3.27.나무날. 맑으나 춥네요 옥영경 2008-04-12 1255
5182 2008. 3. 1.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255
5181 2007.10.14.해날. 맑음 옥영경 2007-10-26 1255
5180 2007. 4.14.흙날. 맑음 옥영경 2007-04-24 1255
5179 2006.12.28.나무날. 눈발 옥영경 2007-01-01 1255
5178 2006.3.23.나무날. 맑음 / '두레상' 옥영경 2006-03-27 1255
5177 9월 10일 흙날 흐리다 갬, 어서 오셔요! 옥영경 2005-09-19 1255
5176 9월 23일 나무날 맑음, 밭이 넓어졌어요 옥영경 2004-09-28 1255
5175 2012. 7.23.달날. 퍽 더운 옥영경 2012-07-29 125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