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6.불날.갬 / 학 한 마리 날아들다

조회 수 1363 추천 수 0 2005.12.07 08:26:00

2005.12.6.불날.갬 / 학 한 마리 날아들다

가을학기 역사 시간 틈틈이 그리던 종이 벽화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큰 학 한 마리를 접겠다던 종이이지요.
고대 삼국이 몰락해가는 이야기가 그려지고,
드디어 아이들은 접기 시작했습니다.
"보수, 보수!"
포스터를 줄줄이 붙인 종이는
접는 사이 곳곳에서 찢어지기도 했는데,
맞추는 이도 있고 접는 이도 있고 펴는 이도 있는 가운데
도형이와 류옥하다는 셀로판테이프와 가위를 맞들고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공동작업을 하고 있는 아이들을 보면
좀 시끄럽긴 해도 그럴 수 없이 흐뭇해집니다.
기어이 학은 접었는데,
자꾸 쓰러지는 학이 어떻게 날지 다음 시간이 기대되네요.

눈이 녹을까 걱정인 아이들 마음을 헤아려
오후 한 시간을 넘겨주었습니다.
큰 마당이 떠나갔겠지요.
알아서들 시간 챙겨 배움방을 다시 들어서서
국화도 그리고 단추도 꿰며 오후를 보냅디다.

방문자 윤정식님이 열흘을 보내고 점심 차로 떠났습니다.
"나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열택샘이 그러데요.
이 산골 살아서 고여 있지 싶어도
이렇게 오고가는 이들을 통해 우리 삶을 비추어본답니다.
나흘이나 머물까 하고 와서
열흘 품을 내준 윤정식님, 고맙습니다.

닭장 문이 열려있었나 봅니다.
한 녀석이 산에서 내려온 어느 손에 만신창이가 되었더라지요.
단도리를 단단히 하였답니다.
오늘 내일 손보자던 개집도 날이 얼어서야 손을 보았네요.
장순이네는 아주 호텔입니다.

작은 생일잔치가 있었습니다.
"맞아요, 옥샘 나이예요."
장미꽃이 꽂힌 커다란, 아주 아주 커다란 꽃바구니와
우리 식구 다 나눠먹고도 남을 만치 큰 케Ÿ揚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834 2008. 5.23.쇠날. 흐림 옥영경 2008-06-01 1369
833 2008.11. 1.흙날. 스산한 하루 옥영경 2008-11-14 1369
832 2008.10.20.달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370
831 4월 22일 쇠날 맑되 지치지 않는 바람 옥영경 2005-04-24 1371
830 2009. 2. 7.흙날. 흐림 옥영경 2009-02-13 1371
829 10월 6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4-10-12 1372
828 12월 29일 물날 맑음 아침, 눈발 아주 잠깐 옥영경 2005-01-03 1372
827 5월 3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6-03 1372
826 115 계자 이튿날, 2007. 1. 1.달날. 흐림 옥영경 2007-01-04 1372
825 2008. 4.23.물날. 간밤 늦게부터 비 옥영경 2008-05-11 1372
824 10월 11일 달날 맑음, 어지러웠다 옥영경 2004-10-14 1373
823 2007.10.27.흙날. 맑음 / 작은 잔치 옥영경 2007-11-06 1373
822 2007.12.15.흙날. 눈발 옥영경 2007-12-31 1373
821 2007.12.28.쇠날. 비 옥영경 2007-12-31 1373
820 2007. 3. 4. 해날. 마른 비 내리는 위로 따순 바람 옥영경 2007-03-10 1374
819 2007. 6.17. 해날. 맑음 / ‘전원생활’, 취재 옥영경 2007-06-28 1374
818 2007.12. 8.흙날. 맑음 옥영경 2007-12-27 1374
817 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08-12-06 1374
816 11월 1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1-24 1375
815 7월 12일 불날 맑네요 옥영경 2005-07-20 13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