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2.6.불날.갬 / 학 한 마리 날아들다

조회 수 1362 추천 수 0 2005.12.07 08:26:00

2005.12.6.불날.갬 / 학 한 마리 날아들다

가을학기 역사 시간 틈틈이 그리던 종이 벽화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큰 학 한 마리를 접겠다던 종이이지요.
고대 삼국이 몰락해가는 이야기가 그려지고,
드디어 아이들은 접기 시작했습니다.
"보수, 보수!"
포스터를 줄줄이 붙인 종이는
접는 사이 곳곳에서 찢어지기도 했는데,
맞추는 이도 있고 접는 이도 있고 펴는 이도 있는 가운데
도형이와 류옥하다는 셀로판테이프와 가위를 맞들고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공동작업을 하고 있는 아이들을 보면
좀 시끄럽긴 해도 그럴 수 없이 흐뭇해집니다.
기어이 학은 접었는데,
자꾸 쓰러지는 학이 어떻게 날지 다음 시간이 기대되네요.

눈이 녹을까 걱정인 아이들 마음을 헤아려
오후 한 시간을 넘겨주었습니다.
큰 마당이 떠나갔겠지요.
알아서들 시간 챙겨 배움방을 다시 들어서서
국화도 그리고 단추도 꿰며 오후를 보냅디다.

방문자 윤정식님이 열흘을 보내고 점심 차로 떠났습니다.
"나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열택샘이 그러데요.
이 산골 살아서 고여 있지 싶어도
이렇게 오고가는 이들을 통해 우리 삶을 비추어본답니다.
나흘이나 머물까 하고 와서
열흘 품을 내준 윤정식님, 고맙습니다.

닭장 문이 열려있었나 봅니다.
한 녀석이 산에서 내려온 어느 손에 만신창이가 되었더라지요.
단도리를 단단히 하였답니다.
오늘 내일 손보자던 개집도 날이 얼어서야 손을 보았네요.
장순이네는 아주 호텔입니다.

작은 생일잔치가 있었습니다.
"맞아요, 옥샘 나이예요."
장미꽃이 꽂힌 커다란, 아주 아주 커다란 꽃바구니와
우리 식구 다 나눠먹고도 남을 만치 큰 케Ÿ揚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894 2009. 3.16.달날. 포근한 속에 옅은 황사 옥영경 2009-03-29 1388
5893 2007.12.22.흙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388
5892 2007.12.12.물날. 맑음 옥영경 2007-12-29 1388
5891 2007. 9.15.흙날. 비 / 포도따기 이튿날 옥영경 2007-10-01 1388
5890 2006.11.15.물날. 비 먹은 바람 옥영경 2006-11-20 1388
5889 2006. 9. 9-10.흙-해날 / 포도따기잔치 옥영경 2006-09-19 1388
5888 7월 18일 달날 흐릿, 그리고 무지 더운 옥영경 2005-07-22 1388
5887 예비중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1-03-07 1387
5886 119 계자 닷샛날, 2007. 8. 2.나무날. 맑음 / 1,242m 민주지산 옥영경 2007-08-10 1387
5885 117 계자 나흗날, 2007. 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1-30 1387
5884 2006.11.13.달날. 흐림 옥영경 2006-11-16 1387
5883 12월 21일, 2004학년도 갈무리 글 두 편 옥영경 2005-01-02 1387
5882 2011. 6.24.쇠날. 비 / 이동학교 자전거여행 첫날 옥영경 2011-07-09 1386
5881 2008. 5. 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386
5880 2008. 1.28.달날.흐림 옥영경 2008-02-22 1386
5879 2007. 3.17-8.흙-해날. 간간이 해 보이다 옥영경 2007-04-02 1386
5878 2월 7일 달날 아침에 잠시 다녀간 싸락눈 옥영경 2005-02-11 1386
5877 2009. 3. 7.흙날. 맑음 옥영경 2009-03-21 1385
5876 2006.10.19.나무날. 비 머금은 하늘 옥영경 2006-10-20 1385
5875 ‘2017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6.24~25) 갈무리글 옥영경 2017-07-13 13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