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는 수행으로 열었고,

낮에는 제습이와 가습이 산책을 시켰다.

저녁에는 두멧길을 걸었네.

학교가 있는 대해리에서 다음 마을인 돌고개(석현리)는 이 골짝 끝마을.

2km, 대해리에서 물한리-영동간 큰길(헐목)까지도 같은 거리이다.

상심한 마음을 달래었다.

기대에 대한 좌절도 있었다.

누구 묘비였더라, 바라지 않았으므로 자유로웠다고.

바랐으므로 자유롭지 않았던 거다.

 

교무실에서는 가까운 지역 도서관들에 문건을 보낼 일이 있었고,

위 달골에서는 수로관 자리를 하나 팠다.

아래 학교에서는 들일을 했네.

하얀샘이 나흘째 못 들어오고 있었다.

여기다 부려줄 튤립이 차에서 꽃을 피웠다나.

봄 들녘에서 모두 걸음이 재다.

 

얼마 전 덮은 책 한 권은 공감이 퍽 크게 일었다.

글쓰기가 이래야 하는구나 그런 생각을 했다. 그러려면?

이런 게 혁명이다 싶더라, 희망을 말하니까.

그걸 위해 깃발 들고 앞서는 게 아니라 찬찬히 삶의 이유를 말하고,

우리 삶에 이런 어둔 것도 있지만 다른 밝음이 있음을 말해주고,

우리 같이 거기로 가자고 자신의 부지런함으로 소리치며 앞서 달려갔다.

그렇다고 혼자만 달리는 게 아니라 모두 잘 가고 있는가 살피면서.

나도 같이 가고 싶다, 그런 말이 절로 나왔다.

상심의 시간, 그런 책을 만나 고마웠다. 나도 그런 책이 되고 싶었다.

위로와 위안과 공감과, 동시에 힘내라고 손잡아주는 책.

또 읽기로 한다.

그리고 한 청년에게 보내다, 책이라고 평생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본 게 거의 없다는.

두껍지 않고, 크지 않고, 쉬운 말도 있어서 책을 안 읽는 그도 읽을 수 있겠기에,

무엇보다 위로가 있고,

우리에게 좋은 생각을 하게 하므로.

이런 책이 좋은 책이다!

나도 이런 말을 하고 싶었다.

나도 이런 말을 해야겠다.

올해 내기로 한 책 원고를 오늘은 좀 만져보는 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074 2007. 3.12.달날. 맑음 옥영경 2007-03-28 1310
1073 2008.12. 8.달날. 질퍽거리는 길 옥영경 2008-12-26 1310
1072 2014학년도 겨울, 159 계자(2015.1.4~9) 갈무리글 옥영경 2015-01-14 1310
1071 10월 27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4-10-30 1311
1070 2006.5.17.물날. 맑음 옥영경 2006-05-19 1311
1069 2008. 3.11.불날. 흐린 아침이더니 곧 맑다 옥영경 2008-03-30 1311
1068 9월 1일 물날, 저농약 포도를 내놓습니다 옥영경 2004-09-14 1312
1067 2005.12.14.물날 / 오정택 선생님 옥영경 2005-12-17 1312
1066 2008. 4.16.물날. 흐릿해지는 저녁 옥영경 2008-05-04 1312
1065 2011. 7.28.나무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312
1064 2012. 4.12.나무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2-04-17 1312
1063 5월 29일 해날 옥영경 2005-06-03 1313
1062 2006.5.11.나무날 / 110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6-05-13 1313
1061 2007.11. 2.쇠날. 바람 옥영경 2007-11-13 1313
1060 2011.11.13.해날. 날이 개 거닐기 좋은 옥영경 2011-11-23 1313
1059 11월 4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314
1058 2007. 2.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2-16 1314
1057 2007. 6.15.쇠날. 흐림 옥영경 2007-06-28 1314
1056 3월 빈들 닫는 날, 2009. 3.22.해날. 마알간 하늘 옥영경 2009-03-29 1314
1055 5월 10일 불날 겨울과 여름을 오가는 옥영경 2005-05-14 13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