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을 싼다.

길을 떠나지 않아도 가방 하나의 무게로 살자 하는데,

언제나 단촐하지 못하다.

나이 들며 가난해지는 기억의 나라처럼 가진 것도 그럴 수 있기로.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그것이 물꼬 안에서의 모토이기만 하겠는가.

누가 와도 바로 쓸 수 있도록,

이불을 빠는 것 말고는 주인장이 굳이 돌아보지 않아도 되도록 돌아보기.

살면서 내가 가장 많이 하는 일이 청소 아닐까 싶다.

 

마을의 형님이 얼린 고로쇠 수액 두 통과 스티로폼 상자를 올려주었다.

바다로 가서 낚았던 열기며 생선들을 거기 담아

택배로 보내거나 실어가거나 하라는.

그 편에 고로쇠 채취 도구도 나눠주시다.

한 벌만 있으면 되겠다 했는데 두 벌이나.

그런 걸 다 기억하는 형님.

오가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 것을.

마을 엄마들이(죄 일흔도 넘으신) 국수를 먹자고 불렀다.

온 마을을 다 쳐도 객이라고는 달랑 혼자여

하하, 마을 사랑을 다 받고 간다.

둘러앉아 쪽파도 다듬고, 우리들은 노래 한 자락도 하고.

이런 순간들이면 꼭 스미는 생각; 사는 일이 무에 별 게 있을까, 이런 게 재미다 싶은.

 

4시가 넘어 외설악으로 떠나오다.

설악산으로 물꼬 인연 두엇 들어오다.

물꼬의 오랜 시간은 전국 어디를 가나 함께 일한 동료들을 남겼다.

낙산사 아래 바닷가에서 밥 한끼를 하고 걸었다.

산도 좋지만 바다도 좋다.

양양 속초의 큰 매력이 바로 그것일. 산도 있고 바다도 있고.

 

이번 길의 큰 수확은 설악산에 깃들 때마다 베이스캠프로 삼을 만한 곳을 점찍은 것.

대청봉 아래 오목골, 거기 빈집 하나 있다.

상황이 어찌 될지야 더 두고 보아야 할 테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478 2008. 2.16.흙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141
1477 2008. 2.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31
1476 2008. 2.1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42
1475 2008. 2.13.물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159
1474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68
1473 2008. 2.10.해날. 맑음 옥영경 2008-03-05 1145
1472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45
1471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옥영경 2008-03-05 1243
1470 2008. 2. 9.흙날. 맑은 속에 눈발 옥영경 2008-03-05 1077
1469 2008. 2. 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24 1050
1468 2008. 2. 6.물날. 맑음 옥영경 2008-02-24 1122
1467 2008. 2. 7.나무날. 맑음 / 설 옥영경 2008-02-24 1254
1466 2008. 2. 3.해날. 맑다가 눈발 옥영경 2008-02-24 1168
1465 2008. 2. 4.달날. 맑음 옥영경 2008-02-24 1355
1464 2008. 1.28-31.달-나무날 / 대전에서 요한이 오다 옥영경 2008-02-24 1368
1463 2008. 1. 31.-2. 2.나무-흙날 / 양양·평창행 옥영경 2008-02-24 1347
1462 2008. 1.26-7.흙-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85
1461 2008. 1.28.달날.흐림 옥영경 2008-02-22 1390
1460 2008. 1.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384
1459 2008. 1.2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6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