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15.쇠날. 맑음

조회 수 438 추천 수 0 2022.05.07 09:09:23


해건지기로 여는 아침.

오늘은 했다가 아니라 오늘도했다.

오전에는 학교 실습지 밭을 돌보고,

오후에는 달골에 들었다.

아침뜨락 아가미길의 광나무 아래 잔돌들을 주웠다.

광나무는 거개 죽었다. 재작년 겨울은 잘 건너 제법 푸르렀는데,

지난겨울을 넘기기는 여간 어렵지 않았을 테다. 

어쩌면 겨울보다 이른 봄의 냉해가 더 무서웠을.

학교 가장자리 나무들 사이에 있는 사철 몇을 캐다 옮길까 생각 중이다.

작업을 해도 장마께 할.

달못에서는 뜰채 망을 바꾸었다.

양파망을 잘 쓴다. 낚싯줄로 야물게 감침 해두다.

어제 옮겨 심은 샤스타데이지 모종과 개나리에 물주기.

샤스타테이지를 더 패서 기숙사 뒤란 언덕에도 세 군락쯤 심다.

올라 선 김에 축대 위 마른풀들을 검고 내려오다, 맨 윗단만.

다른 단은 또 다른 날 일삼기로.

 

마을의 이웃네 비닐하우스를 들여다보기로 한 저녁.

들에서는 대개 그런 공간이 농사철 내내 살림공간이기도.

저녁답이어도 한창 일이 이어지고 있을 것이라

김치부침개 하나 부쳐 감귤과 챙겨가다.

얼른 막걸리를 내오는 어른들.

거기 부엌살림에다 냉장고까지 갖춘.

늘 가는 것보다 오는 게 많은.

갓 따온 표고버섯에다 닭들이 낳은 청란이며 씨앗들이며

손대지 않고 밀쳐둔 한과들까지 안고 오다.

5월에는 고구마순을 어마어마하게 놓으실 거라지.

복숭아 농사짓던 한 댁이 부부가 다 세상을 버렸다.

여름이면 과실을 넘치게 얻어먹으며

그 댁 밭에서 못해도 한해 두어 차례 자두를 솎거나 복숭아를 솎았다.

계자 아이들이 원 없이 먹던 복숭아가 그 댁 것이었던.

이제 자두도 복숭아 나무도 다 베어졌다.

마침 마을에서 다른 일거리를 찾았을세.

또 이렇게 가까운 이웃이 생겼네.

저마다들 바빠 마을 안에 같이 살아도 다 어울리기가 쉽잖은 거라.

특히 학교는 생활흐름이 또 다른지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94 152 계자(7/29~8/3) 갈무리글 옥영경 2012-08-05 1308
5493 152 계자 사흗날, 2012. 7.31.불날. 맑음 옥영경 2012-08-02 1308
5492 2011. 9.15.나무날. 늦은 폭염 옥영경 2011-09-30 1308
5491 2011. 6. 8.물날. 뿌옇게 변해가는 / 단식 3일째 옥영경 2011-06-18 1308
5490 2011. 5.25.물날. 흐림 옥영경 2011-06-09 1308
5489 142 계자 여는 날, 2011. 1. 2.해날. 맑은, 참 맑은 / 아이들의 힘 옥영경 2011-01-05 1308
5488 2008. 9.20.흙날. 비 옥영경 2008-10-04 1308
5487 2007. 4.25.물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7-05-14 1308
5486 2006.3.9.나무날. 흐릿 / 조릿대집 집들이 옥영경 2006-03-11 1308
5485 2월 11-13일, 가족 들살이 옥영경 2005-02-16 1308
5484 143 계자 닫는 날, 2011. 1.14.쇠날. 맑음 옥영경 2011-01-18 1307
5483 4월 몽당계자(130 계자) 닫는 날, 2009. 4.12.해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307
5482 2009. 1.24.흙날. 눈발 옥영경 2009-02-05 1307
5481 2007.10. 6.흙날. 찌푸둥한 하늘 옥영경 2007-10-17 1307
5480 2007. 9.18.불날. 잔 비 옥영경 2007-10-01 1307
5479 2007. 5.26.흙날. 맑음 / 찔레꽃방학 옥영경 2007-06-15 1307
5478 2005.11.29.불날 / '플로렌스'인의 목소리 옥영경 2005-12-01 1307
5477 2005.10.15.흙날. 진짜 가을 / 햅쌀 옥영경 2005-10-17 1307
5476 4월 2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4-07 1307
5475 10월 8일 쇠날 흐림 옥영경 2004-10-12 130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