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

 

 

찔레꽃 흐드러지고 멍석딸기 붉은,

산오디 후두둑거리는 대해리의 유월입니다.

사는 일이란 밥을 먹는 일, 살아가는 일이란 밥값을 하는 일.

그 밥, 같이 한번 먹읍시다!

우리 하나 하나가 꽃, 모다 모인다면 꽃밭일 테지요.

 

19891219일부터 시작된 자유학교 물꼬의 역사입니다.

대해리에 깃든 게 1996년 가을부터였으니 영동에서 보낸 세월만도 족히 26.

삶은 한 사람이 살았던 것 그 자체가 아니라 현재 그 사람이 기억하고 있는 것이며,

 그 삶을 얘기하기 위해 어떻게 기억하느냐 하는 것이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자서전 첫머리를 이리 썼더랬지요.

돌아온 연어들이 되어 

그렇게 나의 이야기를 하고 너의 이야기를 듣고 물꼬의 세월을 나눠봅시다.

다시 세상 바다로 나아갈 땐 지느러미에 힘이 좀 붙을 수 있지 않을지요.

놀고 쉬고 배우고 익히고 사랑하고 연대했던 기억으로

뭘 하기도 하고 안 하기도 하면서 한판 놀아봅시다려.

무엇을 하건 우리 모두 주인이면서 손님인 잔치입니다,

내가 내 삶의 주인이듯이!

 

어여 오시어요.

소나무와 살구나무 사이 버선발로 좇아나겠습니다.

 

 

: 2022625일 흙날 낮 2~ 26일 해날 낮 2시까지


: 자유학교 물꼬 학교와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

 

: 물꼬를 거쳐 간 벗들과, 함께하고 싶으신 분들 서른(선착순)

 

: 1. 뭐 안하기-아이들은 아이들대로 뛰어놀고 어른들은 환담하고, 그저 있기.

2. 뭐 하기-차와 밥상과 시 나눔, 장작놀이, ‘아침뜨걷기, ...

3. 꼭 함께하기- 첫날 저녁 6시 한솥엣밥, 저녁 7~09시 한데모임(실타래-난상토론)과 축하마당, 이튿날 07시 아침뜨락 걷기

* 난상(爛商)토론: 어떤 사안을 두고 무르익을 만큼 헤아려 충분히 잘 의논함을 이름.

* 물꼬 서른두 돌 축하마당은 누구든 무엇으로든(음악이든 춤이든) 나눌 수 있을 테지요.

* 올해도 고정 축하단인 시인 이생진 선생님과 가객 현승엽샘이 함께해 주십니다.


6.25.흙날

6.26.해날

07~09

 

해건지기(아침뜨걷기수행)

09~11

때건지기(한솥엣밥)

11~12

갈무리모임

12~14

낮것(한솥엣밥)

14~17

잔치준비(울력)

 

17~19

때건지기(한솥엣밥)

19~21

한데모임(실타래-난상토론), 축하마당

21~24

()단법석

 

등록: 13만원(일곱 살 이상), 농협 319-01-248875 자유학교 물꼬

622일 물날 자정까지 mulggo2004@hanmail.net 신청(선착순)

 

봇짐: ‘사람 책’(다른 이들에게 들려줄 자기 이야기), 덜 씻을 수 있는 준비,

밤에는 쌀쌀한 산골이니 두툼한 옷이나 무릎담요 혹은 숄.

그리고, 나눠 먹을 수 있는 먹을거리들(반찬이든 곡주든 주전부리거리든)

 

오시는 길: 버스로 오신다면, 대해리행 영동역발 11:10/16:20, 나가실 땐 영동역행 대해리발 12:25)

 

상의하고 싶은 게 있으시면 언제라도 mulggo2004@hanmail.net

010.8028.9864 / 010.7110.6981 / 010.7544.4833

 

* 신청 없이 오시는 분들은 반길 수 없으니 헤아려주십시오.

* 학교 마당에 텐트를 치실 수 있습니다.

* 연락을 주실 때 언제 들어와서 언제 나갈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밥상 준비와 방 배치를 위해서도 꼭 필요합니다.

 

 

<덧붙임>

 

1. 주차

주차는 마을 삼거리에 해주시기 바랍니다.

운동장에는 텐트를 치는 이도 있고 아이들이 뛰어놀기도 할 것이라

학교 마당에는 진행차량만 주차토록 하겠습니다.

(삼거리에서 물꼬까지 70m)

 

2. 화장실

학교 본관에 여자 남자 한 칸씩의 수세식 변기가 있습니다만

번잡하여 바깥의 재래식 해우소도 함께 씁니다. 저 아래 시커멓고 재미난 세계가 있지요.

 

3. 잠자리

미취학 아동이 있는 가정에는 달골 기숙사(햇발동과 창고동)를 개방하며,

나머지 사람들은 학교 본관 여자방(수행방)과 남자방(모둠방)에서 잡니다.

이불과 매트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 하나, 학교 마당에 들살이를 할 수 있는데,

미리 연락을 주신 분들만 텐트를 치실 수 있습니다.

(멧골 작은 학교, 그만큼 작은 운동장이니 조율이 좀 필요하겠지요.)

 

4. 옷가지

산골 밤은 한여름도 춥게 느껴지기까지 합니다.

두툼한 겉옷 혹은 무릎담요를 꼭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 나눔

익히들 아시기도 할 것인데,

물꼬에서 우리는 주인이면서 동시에 손님이지요.

준비된 일정에 우리가 참가하는 게 아니라

행사 참여자이면서 동시에 초대자.

연어의 날이라고 다르지 않은 거지요.

같이 밥상을 차리고 같이 놀 수 있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5391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8718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6766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246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144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5840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5847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4780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2997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126
825 [마감] 2021 연어의 날 등록 끝 물꼬 2021-06-13 1583
824 [미리 안내] 2021학년도 여름 계절학교 일정 물꼬 2021-06-09 1705
823 7월 출간 예정 소식 물꼬 2021-06-04 1597
822 [6.26~27] 2021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 [2] 물꼬 2021-05-19 2032
821 고침) [5.28~30] 5월 빈들모임 [1] 물꼬 2021-05-05 1801
820 [5.3~16] 범버꾸살이(들살이) 물꼬 2021-05-05 1762
819 5월에는 물꼬 2021-05-05 1611
818 [4.23~25] 4월 빈들모임 물꼬 2021-04-06 1727
817 [4.11] 황실다례 시연 그리고 물꼬 2021-03-28 1675
816 4월에는 물꼬 2021-03-22 1683
815 [4.12~18] 2021 이레 비움잔치(밥끊기; 단식수행) 물꼬 2021-03-08 1744
814 2021학년도 한해살이(2021.3 ~ 2022.2) 물꼬 2021-03-08 4696
813 [2.10] 명상정원 아침뜨樂(락)의 측백나무 133그루 ‘분양’ 완료 물꼬 2021-03-08 1828
812 [2021-02-22] 국악방송 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 : 월요초대석-옥영경 물꼬 2021-03-02 1756
811 [2.15] 167계자 사후 통화 물꼬 2021-02-10 1686
810 167계자 사진 물꼬 2021-02-08 1771
809 [2.26~28] 2월 어른의 학교 물꼬 2021-02-03 1727
808 [특보 2021-01-11] 1월 14일 오후 전화 드리겠습니다 물꼬 2021-01-11 2074
807 [특보 2021-01-03] 1월 10일까지 상황을 지켜보기로 합니다 물꼬 2021-01-11 1873
806 [특보 2020-12-31] 단상(斷想) - 2020학년도 겨울 일정을 이어가며 물꼬 2020-12-31 193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