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가 날았다.

비는 내렸으나 아쉽고 또 아쉬웠다.

오늘도 다저녁에 세 시간 물을 주고 다녔다.

나무들에게 턱없이 부족할 테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의 <우리는 날씨다-아침식사로 지구 구하기>(민음사)를 읽고 있다.

 

p.131

인류가 기후변화를 초래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사람들조차도 우리가 개인적으로 한몫했다는 점은 부인한다

우리는 환경위기가 커다란 외부 힘에 의해 초래되며, 그렇기에 아주 큰 외부 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우리가 책임져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해결책을 도출하는 출발점이다.

 

p.171-172

우리는 산호초를 구할 수 없다. 아마존을 구할 수 없다. 해변 도시들도 구할 수 없을 것이다. 불가피한 상실의 규모는 

아무리 발버둥을 쳐봤자 헛일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엄청나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할 일은 있다. 수백 명이 

기후변화 때문에 죽을 것이다. 어쩌면 수천만, 수억 명이 될 수도 있다. 숫자는 중요하다. 수억 명의 사람들, 어쩌면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기후 난민이 될 것이다. 난민들 숫자도 중요하다. 얼마나 많은 종이 사멸할지, 아이들이 밖에서 

놀 수 있는 날이 해마다 며칠이나 될지, 물과 식량이 얼마나 남아 있을지, 평균 기대수명이 얼마나 될지도 중요하다

이는 단지 숫자가 아니라 하나하나가 가족, 독특한 성벽, 공포증, 알레르기, 좋아하는 음식, 반복되는 꿈,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노래, 자기만의 지문, 독특한 웃음을 지닌 개인 삶의 일부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리가 내뱉은 분자를 

들이마시는 개인. 수백만 명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기는 어렵지만, 단 한사람의 생명에도 관심을 갖지 않을 수는 없다

어쩌면 관심을 기울일 필요도 없을지 모른다. 그들을 구하기만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034 7월 15일 쇠날 맑은 가운데 반짝 소나기 옥영경 2005-07-21 1375
6033 7월 16일 흙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22 1361
6032 7월 17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7-22 1178
6031 7월 18일 달날 흐릿, 그리고 무지 더운 옥영경 2005-07-22 1383
6030 7월 19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7-27 1322
6029 7월 20일 물날 예조차 엄청 덥네요 옥영경 2005-07-27 1329
6028 7월 21일 나무날 한술 더 뜬 더위 옥영경 2005-07-31 1357
6027 7월 22일 쇠날 37도라나요, 백화산 933m 옥영경 2005-07-31 1450
6026 7월 23일 흙날 며칠째 찜통 옥영경 2005-07-31 1344
6025 7월 24일 해날 구름 옥영경 2005-07-31 1199
6024 7월 25일 달날 더위 가운데 옥영경 2005-07-31 1235
6023 7월 26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266
6022 7월 27일 물날 꺾이지 않는 더위 옥영경 2005-08-01 1291
6021 7월 28일 나무날 비 옥영경 2005-08-01 1277
6020 7월 2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176
6019 7월 30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329
6018 7월 31일 해날 한창 더위 옥영경 2005-08-01 1356
6017 105 계자 여는 날, 8월 1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8-04 1302
6016 105 계자 이틀째, 8월 2일 불날 계속 비 옥영경 2005-08-06 1355
6015 105 계자 사흘째, 8월 3일 물날 내리꽂히다 간 비 옥영경 2005-08-08 168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