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가 날았다.

비는 내렸으나 아쉽고 또 아쉬웠다.

오늘도 다저녁에 세 시간 물을 주고 다녔다.

나무들에게 턱없이 부족할 테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의 <우리는 날씨다-아침식사로 지구 구하기>(민음사)를 읽고 있다.

 

p.131

인류가 기후변화를 초래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사람들조차도 우리가 개인적으로 한몫했다는 점은 부인한다

우리는 환경위기가 커다란 외부 힘에 의해 초래되며, 그렇기에 아주 큰 외부 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우리가 책임져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해결책을 도출하는 출발점이다.

 

p.171-172

우리는 산호초를 구할 수 없다. 아마존을 구할 수 없다. 해변 도시들도 구할 수 없을 것이다. 불가피한 상실의 규모는 

아무리 발버둥을 쳐봤자 헛일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엄청나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할 일은 있다. 수백 명이 

기후변화 때문에 죽을 것이다. 어쩌면 수천만, 수억 명이 될 수도 있다. 숫자는 중요하다. 수억 명의 사람들, 어쩌면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기후 난민이 될 것이다. 난민들 숫자도 중요하다. 얼마나 많은 종이 사멸할지, 아이들이 밖에서 

놀 수 있는 날이 해마다 며칠이나 될지, 물과 식량이 얼마나 남아 있을지, 평균 기대수명이 얼마나 될지도 중요하다

이는 단지 숫자가 아니라 하나하나가 가족, 독특한 성벽, 공포증, 알레르기, 좋아하는 음식, 반복되는 꿈,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노래, 자기만의 지문, 독특한 웃음을 지닌 개인 삶의 일부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리가 내뱉은 분자를 

들이마시는 개인. 수백만 명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기는 어렵지만, 단 한사람의 생명에도 관심을 갖지 않을 수는 없다

어쩌면 관심을 기울일 필요도 없을지 모른다. 그들을 구하기만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034 2008. 4. 8.불날. 맑음 옥영경 2008-04-20 1440
6033 2007. 9. 7.쇠날. 갰다가 비 / 가지산 1,240m 옥영경 2007-09-23 1440
6032 2007. 6.18.달날. 맑음 옥영경 2007-06-28 1440
6031 2011. 3.16.물날. 꽃샘 이틀 옥영경 2011-04-02 1439
6030 125 계자 여는 날, 2008. 7.27.해날. 맑음 옥영경 2008-08-01 1438
6029 2005.10.25.불날.흐림 / 늦은 1차 서류들 옥영경 2005-10-26 1438
6028 2008. 5.18.해날. 비, 저녁에 굵어지다 옥영경 2008-05-31 1437
6027 4월 8일 쇠날 뿌옇게 밝네요 옥영경 2005-04-15 1436
6026 7월 1일, 오늘은 무엇으로 고마웠는가 옥영경 2004-07-13 1436
6025 2007.10.29.달날. 세상 바람이 시작되는 대해리 옥영경 2007-11-09 1435
6024 2008.11. 5.물날. 맑음 옥영경 2008-11-14 1434
6023 2008. 9.27.흙날. 맑음 / 한살림 강연 옥영경 2008-10-10 1434
6022 2006.5.19.쇠날 / 110 계자, 못다 한 갈무리 옥영경 2006-05-25 1432
6021 2006.4.20.나무날. 싸락눈 옥영경 2006-04-26 1432
6020 2005.11.3.나무날.맑음 / 저수지 청소 옥영경 2005-11-04 1432
6019 4월 6일 물날 촉촉하게 내리는 비 옥영경 2005-04-07 1432
6018 3월 16일 물날 안개 자욱하다 기어이 비 옥영경 2005-03-17 1432
6017 2005.10.11.불날. 날 참 좋다! 그리고 딱 반달/ 상처를 어이 쓸지요 옥영경 2005-10-12 1430
6016 7월 2일, 그룹 <포도밭> 옥영경 2004-07-13 1430
6015 2007. 1.21.해날. 맑음 / 11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23 142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