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8.쇠날. 흐림

조회 수 319 추천 수 0 2022.07.29 04:10:56


연어의 날 전에 하고픈 일들이 있었다.

다하지 못할 수도 있음은 예견했다.그러면 또 나중에 하지.

당장 사람들이 깔고 덮고 베야 할 침구류 빨래 같은, 아침뜨락 풀 같은

그야말로 시각을 다투는 일 아니라면 밀릴.

아침뜨락 밥못에서 내려오는 계단 아래 측백 한 그루 곁,

돌탑에 가까운 작은 돌무데기 있었다.

멧돼지 발에 채였던가 보다,

무너질 만큼 그리 높은 것도 너른 것도 아니었으니까,

파헤쳐져 있었다.

연어의 날은 다가와 버렸고, 눈 찔끔 감았더랬지.

오늘에야 걷어내고 다시 쌓고,

멧돼지 발에 눌렸던 게 맞았던가 보다, 치워보니 그리 상하지 않은.

쉬 쌓았다.수로 휘돌아가는 뽕나무 아래 섰는 난나와 티쭈네 바닥도 손보고 싶었더랬다,

그 역시 연어의 날에 맞춰.

바닥을 긁어내고 부직포를 깔고 거기 하얀 자갈을 깔고

그 위로 난나와 티쭈 자리를 주고팠던.

어느 댁에서 온 자갈도 잘 쓰고 싶었고,

그러면서 풀도 잡고 싶었던.

아직 그곳까진 손이 못 갔지만,

그들 위로 새로 난 뽕나무 가지들이 어지럽게 얽혀있었다.

그 아래로, 그러니까 난나 티쭈 뒤로 꽈리들이 밭을 이루고 있는데

반양지에서 잘 자라는 그들이지만 그렇게 음지여서야...

전지가위로 정리하다.

 

시골에선 관공서가 여러 역할을 해주는데

가령 오늘 같은 경우도.

아주 가끔 급할 때 우리 게 하필 먹통인 순간, 프린터와 복사기를 면사무소에서 쓸 일이 있었지만

그들 내부 책상으로 가서 쓰거나 따로 부탁을 해야.

그런데 최근 민원인들이 바로 쓸 수 있게 밖에다 프린터를 설치해 둔 거라.

일전에 들렀다가 눈여겨 봐두었고(교무실 프린터 바꾸어야는데!)

오늘 분량이 좀 많은 걸 처리해야 될 상황.

들러 잘 썼네.

세금이 구체적으로 내게 쓰이는 걸 확인할 때 기쁨.

 

쇠날 밤, 교육일정이 따로 없는 주말이면 밤이 좀 느슨하다.

영화 한 편,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박동훈 감독, 2022).

수학, 그건 적지 않은 이들을 난감하게 하는 영역.

대입, 아니 이미 그 전에 수포자가 대거 등장한다.

이후, 일상 곳곳에 스민 수학이라지만 일반인들에게야 다시 돌아볼 일 없는 수학.

영화에서 수학자가 학생에게 수학을 잘하려면 제일 중요한 게 뭐냐 묻는다.

머리?

머리 좋은 아새끼들이 젤 먼저 포기한다지.

그럼 노력?

그다음 나자빠지는 놈이 그들이라고.

그럼? 용기란다.

아자, 할 수 있다!”그런 거냐 물으니 그건 객기라고.

그렇다면? 용기!

화를 내거나 포기하는 대신 문제가 어렵구나, 낼 아침 다시 해봐야겠다.”

그런 여유로운 마음이 수학적 용기라고.

그렇게 당당하니 꿋꿋하게 하는 놈들이 수학을 잘한다고.

, 그렇구나 했네.

제목으로서의 영화는 이상한 수학자가 방점이기보다 이상한 나라가 방점일.

수학이 전쟁물자 만드는 데 쓰이는 것에 환멸을 느끼고 탈북했지만

남한에서의 수학이란 그저 시험점수에 필요할 뿐인.

수학을 다시 대면할 수 있게 해주는 영화랄까.

어른 노릇을 생각게도 했다.

어른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다.

권위가 아니라 바른 삶을 애쓰는, 아이들을 지키는.

, 최민식 배우를 또 돌아보게 하더라. 신파조를 울림으로 만들어내는 배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054 142 계자 닷샛날, 2011. 1. 6.나무날. 소한, 눈날리던 아침 옥영경 2011-01-10 1449
6053 3월 14일 달날 맑음, 김연이샘 옥영경 2005-03-17 1449
6052 1월 25일 불날 눈, 101 계자 둘째 날 옥영경 2005-01-27 1449
6051 5월 15일 물꼬에 없는 스승의 날 옥영경 2004-05-21 1449
6050 11월 28일-12월 5일, 낙엽방학 옥영경 2004-12-03 1448
6049 2008. 1.21.달날. 눈 옥영경 2008-02-20 1447
6048 2007.11.18.해날. 맑음 옥영경 2007-12-01 1447
6047 2월 8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5-02-11 1446
6046 보름달 그이 옥영경 2004-10-28 1446
6045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444
6044 2008. 4.26.흙날. 바람 불고 추웠으나 / 네 돌잔치 옥영경 2008-05-15 1444
6043 145 계자 여는 날, 2011. 7.31.해날. 푹푹 찌다 밤 9시 소나기 옥영경 2011-08-08 1443
6042 2011. 6.10.쇠날. 흐림 / 단식 5일째 옥영경 2011-06-18 1443
6041 2007.12.24.달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443
6040 7월 22일, 새벽 세 시에 잠깬 아이들이 간 곳은 옥영경 2004-07-28 1443
6039 132 계자 닷샛날, 2009. 8. 6.나무날. 마른비에다 소나기 옥영경 2009-08-12 1442
6038 2007. 9.14.쇠날. 비 / 포도따기 첫날 옥영경 2007-10-01 1442
6037 2007. 3.24.흙날. 비오다 갬 옥영경 2007-04-09 1441
6036 108 계자 열 나흗날, 2006.1.15.해날. 달빛 고운 밤 옥영경 2006-01-19 1441
6035 108 계자 닷새째, 2006.1.6.쇠날. 꽁꽁 언 대해리 옥영경 2006-01-08 144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