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영양에서도 모심기가 시작되었다.
이곳 저곳에서 써레질에 바쁜 경운기와 트랙터가 눈에 들어온다.
이앙기도 산파, 조파, 3조, 4조, 승용이앙기,,,,
갖가지의 이앙기들이 자기의 방식대로 모를 심고 있다.

모심기가 시작되려면
모심기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건강한 모가 준비되는 것이 필수이다.
시작이 반이라고 건강한 육묘가 이루어져
있다면 모심기의 절반은 성공한 샘이다.

다음으로 모심을 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논둑이 튼튼하게 만들어져서 충분히 논물을 가둘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써레질이 이루어지고 모심을 준비가 끝나는 것이다.

논둑의 역할은 논을 댐으로 만들어 주므로해서
논물을 가두어 주는 것이다.
새는 곳이 생긴다면 논둑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삽을 이용하여,
사람의 인력으로 논둑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부에서는 경운기나 관리기,
트랙터에 논둑성형기를 부착하여 기계로 논둑을 하기도 한다.
논둑을 하지 않는 논들도 더러있다.
평야지의 경우는 옆에 붙은 논과의 높낮이의 차이가 없는 관계로
논둑의 역할은 단지 경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경지정리를 할때 논둑을 콘크리트로 해서 영구히 하기도 한다.

논둑을 새로 형성해 주는 이유는
겨울이 지나면서 대부분의 논둑이 원래의 모습을 많이 상실한다.
허물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틈이 벌어져있다.
그기에다 들쥐, 두더지, 뱀, 논둑가재, 지렁이,,,,,
이놈들이 자기의 길과 영역을 만들다 보니까 엉망이 되는 것이다.
논둑에 자라는 풀들도 새로 논둑을 해줌으로해서
논으로 침범하는 잡초의 영역을 줄여준다.

논둑의 높이를 많이 올려주는것 보다는
좀 넓게 해주는 것이 유리하다.
사람이 다니기도 편해야 한다.

삽으로 작년의 둑을 3분의 1정도를 깍는다.
새흙을 이겨서 높이도 적당하고 넓이도 적당하게 해서
새로 형성해 주면 된다.
발로 지근지근 밟으면서 하면 더 튼튼해진다.

장마철이나 폭우시에
논둑이 터진다고 상상해보라.
어찌 논둑을 튼튼히 하지 않으리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25159
1738 입학문의 [1] 계종 2004-05-14 858
1737 우리 모두 잘 사는 조국통일의 희망을 가져 봅니다 흰머리소년 2004-05-13 892
1736 큰뫼의 농사 이야기 22 (써레질) 나령빠 2004-05-13 961
1735 OHP 채색그림자극 웍샵! file [2] 교육극단 달팽이 2004-05-13 1144
1734 한번 가보고 싶어여...... [1] 박영옥 2004-05-12 858
1733 늦었지만... 잘 도착했습니다. 혜연맘안은희 2004-05-12 826
1732 약속된 촬영 때문에 글 남깁니다. KTV <한국, 한국인>팀 2004-05-12 861
1731 그래도 행복한 ... [2] 정미혜 2004-05-12 935
1730 옥영경선생님!♥ [1] 김지윤 2004-05-11 864
» 큰뫼의 농사 이야기 21 (어찌 논둑이 튼튼하지 않을수 있습니까?) 나령빠 2004-05-11 1230
1728 뭔가 큰 일이 있었던거 같아요 [1] 승부사 2004-05-11 862
1727 홈페이지 이사를 마쳤습니다. [5] 관리자3 2004-05-10 863
1726 잘 도착하였습니다. 도형빠 2004-05-10 868
1725 잘 도착하였습니다. 혜린규민이네 2004-05-10 879
1724 도착 잘 하였습니다. 나령빠 2004-05-10 1189
1723 무사히 도착 정근이아빠 2004-05-10 874
1722 꼭읽어주세요!!!!!!!!!!!!!!!!!!(인천의 000) [2] 김선주 2004-05-09 864
1721 [답글] 물꼬 이야기는 물꼬 홈페이지에서 물꼬 2004-05-08 863
1720 큰뫼의 농사 이야기 20 (복토 그게 뭐지?) 나령빠 2004-05-08 1275
1719 tv를 본후 정말 저 아이들이 부럽네요... 정용우 2004-05-08 8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