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 2.물날. 맑음

조회 수 356 추천 수 0 2022.11.28 23:30:32


아침 해건지기에서 간밤에 들어온 글월 한 편을 음미하다.

물꼬의 아이였고, 이제 품앗이인 서른 즈음의 청년.

전부 그대로인 듯하면서도 쌓인 시간만큼 더 풍성하고 따뜻하게 변했다.’

십여 년 건너 물꼬에 오는 길 내내 심장이 두근거렸다 했다.

우리는 눈물을 왈칵 쏟았댔지.

옥샘은 참 그대로다. 항상 그리웠는데, 그동안 왜 이렇게 시간 내기 어려웠던 건지,

이렇게나 그대로 나를 맞이해주는 곳인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몇 문단을 더 읽는다.

아이들과 종일 함께 시간을 보내니 순간 순간 가득하고 많이 배운다했다.

나는 물꼬에서 처음인 게 많았다는 걸 자라서 알게 되었다

아이들이 처음 경험하는 어떤 순간에 함께 한다는 게 마음이 간질간질했다.’

흠뻑 땀을 같이 흘려주는 샘들을 보고 감동했고,

내가 지금 가장 좋아하는 일들 바느질과 뜨개질, 뭔가 만들어내는 일 전부 물꼬에서 배웠다.

 나의 미감은 물꼬에서 쌓였다.’

회색 건물 사이에서 넘치는 걸 당연하게 누리며 사는 내가

 자연과 내가 아닌 또 다른 존재들을 생각하며 죄책감을 느끼는 것도 물꼬에서 왔다.

 이번에 종종 이야기했는데, 내 뿌리는 물꼬에 있다.

 요즘 같은 세상에 물꼬 조기교육(ㅋㅋ)을 받아서 나를 지키면서 잘 살아내고 있는 것 같다.’

내일에 대해 대화할 때 반짝반짝했다,

어떻게 하면 떨어져 있어도 연결할 수 있을까?’ 여러 생각을 한다고 했다.

이런 글월이 이 깊은 멧골의 물꼬 삶을, 내 삶을 또한 키워낸다.

 

오전에 잠시 돌탑을 쌓다.

돌의자 곁, 진주샘네 나나’(곧 세상으로 올 아이)맞이로 쌓던 돌탑.

지난 10월 빈들모임에서 아침뜨락의 아가미길에서 주운 돌들이 있었고,

그날 쌓아올리다 멈춰 있던 것.

산책한 제습이를 묶어주고 잠시 한 두어 줄 올리겠다고 갔다가

어느 순간 우르르 올렸다.

일도 그렇다. 답보상태이다 계속하고 있으면 어느 순간 이따 만큼 진척이 있고,

그러다 속도가 붙고.

모은 돌을 전부 쌓아올렸다.


엔진톱을 고쳐온다.

톱날도 갈아오고, 시동이 잘 걸리지 않던 문제를 해결해서 온다.

땔감을 마련할 11월이다.


김장용 쪽파를 9월에는 심는다는데,

우리는 어제야 심었다.

쪽파씨가 있었고,

이미 늦어 그냥 지나려는 걸

날이 푹한 이즈음이었다.

아직도 무가 쑥쑥 자라고 있었다.

하여 심어보다. 그야말로 해보다.

마늘도 심어야는데,

한쪽에 밭을 만드는 중.

그리고 책방에 난로 설치. 가마솥방엔 진즉, 교무실은 천천히 할.

 

제주 강연이 잡혀 있어

혹 가는 길에 다른 곳에서도 강연을 열 수 있을까 도서관 몇 곳에 묻는 메일.

왜 진작 그 생각은 못했을까...

일정이 빠듯해서 쉽지는 않겠지만

가는 걸음이 아까우니 일단 물어보기로.

 

그제는 교육청에서, 어제는 지자체에서 사람들이 다녀가다.

학교터 관련 고치거나 짓는 문제로 이번 주 들어 논의들이 급물살.

이 일 관련 지원을 해주고 있는 국회의원 사무실 한 곳과

전화를 이곳에서 못 받거나 상대가 못 받거나

그렇게 숨바꼭질한 오후였네.

 

지난 9월부터 학교아저씨 건강보험료가 낮춰져 고지서가 오다.

오르면 올랐지 내리는 경우들이 드물지 않던가.

학교아저씨는 여태 병원이라고는

내가 간 걸음에 동행해서 풀독을 치료한 단 한 번이 전부였다.

따박따박 내는 보험료가 아까울만.

하지만 그 안에는 요양보험료도 들어있는.

우리 늙어가니 요긴하게 쓰일 날 있잖겠는지.

고지서 상황을 알아보았더니

건강보험료 책정 기준이 9월부터 달라진.

아주 낡고 작은 건물 명의가 당신 앞으로 있는데,

9월부터 공시지가 5천만 원 이하는 책정이 되지 않는다는.

개별공시지가 5천만원 이하 건물은 보험료 책정가 0.

그간 당신의 보험료는 물꼬 농토를 경작하며 농민자격을 지니게 되어 절반을 낮출 수 있었고,

다시 건물이 책정되지 않으면서 또 낮춰진.

내부로든 외부로든 작은 변화들이 우리들을 찾는다.

오면 오는 대로 받고, 가면 가는 대로 보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874 119 계자 이튿날, 2007. 7.30.달날. 간간이 해 나고 옥영경 2007-08-06 1384
5873 117 계자 닫는 날, 2008. 1. 27.흙날. 눈발 옥영경 2007-02-03 1384
5872 11월 17일 물날 흐림 옥영경 2004-11-24 1384
5871 2011. 8. 6.흙날. 갬 / 14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1-08-24 1383
5870 2008. 5. 8.나무날. 흐릿 옥영경 2008-05-20 1382
5869 2005.12.20.불날.눈 빛나다 / 내가 장갑 어디다 뒀나 보러 왔다 그래 옥영경 2005-12-22 1382
5868 2005.10.20.나무날.맑음 / 같이 살면 되지 옥영경 2005-10-22 1382
5867 2008.12.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30 1381
5866 10월 14일 나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04-10-28 1381
5865 2012. 6.23.흙날. 날은 어찌 그리 절묘했던가 / 시와 음악의 밤 옥영경 2012-07-04 1380
5864 2008. 4.3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380
5863 4월 10일 해날 축축한 날 옥영경 2005-04-17 1380
5862 2008. 7. 6.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379
5861 2007. 9.29-30.흙-해날. 쨍 하더니 눅진해지다 / <안티쿠스> 휴간에 부쳐 옥영경 2007-10-09 1379
5860 7월 8일, 어른 없는 건 누구라도 좋다 옥영경 2004-07-19 1379
5859 7월 4일, 우리는 옥영경 2004-07-13 1379
5858 2008. 4.22.불날. 맑음 옥영경 2008-05-11 1378
5857 2008. 1.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378
5856 2007. 5.22.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03 1378
5855 112 계자 여는 날, 2006.8.7.달날. 하늘이야 말갛지요 옥영경 2006-08-11 137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