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1.해날. 맑음

조회 수 330 추천 수 0 2023.01.06 01:49:32


어떤 책이 말했다.

문학이 멀고 심오하고 거창하고 쉬 다가갈 수 없는 그 무엇이라 느끼는 이들에게

그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고.

그러나 문학은 문학하는 자들의 것이기 쉽다.

때로 얼마나 저들끼리 잘났고,

얼마나 저들끼리 칭찬이 자자한지.

문학은 우리를 위로하고 전진하게 하고 구원하지만

정작 문학하는 것들은 그렇지 않고는 했다.

그때 한 문화부 기자의 말이 생각났다.

매주 소개할 신간을 정하고 서평을 쓰는데,

송고한 뒤 다른 신문들의 서평란부터 확인하게 된다고.

그러면 대개 비슷비슷한 책이 올라있단다.

내가 그르지 않았네,

좋은 책을 놓치지 않았구나,

적어도 수준 미달을 소개하지는 않았구나 하고 안도하게 된다고.

선택 받은 책들은 좋은 책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그것만이 이유일까?

사실 우리는 얼마나 다양한 취향을 가졌는가.

그때 그 기자는

고른 책들이 비슷한 건 아마도 기자들이 가진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 아닐까 싶다 진단했다.

자신이 통과한 환경, 그리고 지금의 환경들이 비슷해서 비슷한 결론에 이르렀다는.

그걸 넘기 쉽지 않을 거라고.

자신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 밖을 바라보고자 애쓰겠다 말했다.

 

그래서, 지금 하려는 말은?

문학하는 것들의 문학 말고

문학이 주는 그 문학을 해보겠다는 말? 그런 걸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6 6월 15일, 야생 사슴과 우렁각시 옥영경 2004-06-20 2044
165 아흔 다섯 번째 계자, 6월 25-27일 옥영경 2004-07-04 2044
164 2009. 7.13.달날. 지난 밤 큰비 다녀가고, 두어 차례 더 옥영경 2009-07-30 2044
163 6월 28일, 그럼 쉬고 옥영경 2004-07-04 2045
162 39 계자 엿새째 1월 31일 옥영경 2004-02-01 2050
161 8월 23일, 류기락샘 출국 전날 옥영경 2004-08-25 2053
160 2005.10.29.흙날.맑음 / 커다란 벽난로가 오고 있지요 옥영경 2005-11-01 2054
159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2054
158 124 계자 사흗날, 2008.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2060
157 39 계자 아흐레째 2월 3일 옥영경 2004-02-04 2065
156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2070
155 124 계자 이튿날, 2008. 1.14.달날. 꾸물꾸물 잠깐 눈방울 옥영경 2008-02-18 2071
154 2011. 6.14.불날. 맑음 / 보식 2일째 옥영경 2011-06-18 2077
153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79
152 8월 1-4일, 배혜선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09 2079
151 일본에서 온 유선샘, 2월 23-28일 옥영경 2004-02-24 2083
150 4월 10-11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04-13 2083
149 시카고에서 여쭙는 안부 옥영경 2007-07-19 2084
148 98 계자 이틀째, 8월 17일 불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4-08-18 2095
147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0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