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1.해날. 맑음

조회 수 284 추천 수 0 2023.01.06 01:49:32


어떤 책이 말했다.

문학이 멀고 심오하고 거창하고 쉬 다가갈 수 없는 그 무엇이라 느끼는 이들에게

그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고.

그러나 문학은 문학하는 자들의 것이기 쉽다.

때로 얼마나 저들끼리 잘났고,

얼마나 저들끼리 칭찬이 자자한지.

문학은 우리를 위로하고 전진하게 하고 구원하지만

정작 문학하는 것들은 그렇지 않고는 했다.

그때 한 문화부 기자의 말이 생각났다.

매주 소개할 신간을 정하고 서평을 쓰는데,

송고한 뒤 다른 신문들의 서평란부터 확인하게 된다고.

그러면 대개 비슷비슷한 책이 올라있단다.

내가 그르지 않았네,

좋은 책을 놓치지 않았구나,

적어도 수준 미달을 소개하지는 않았구나 하고 안도하게 된다고.

선택 받은 책들은 좋은 책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그것만이 이유일까?

사실 우리는 얼마나 다양한 취향을 가졌는가.

그때 그 기자는

고른 책들이 비슷한 건 아마도 기자들이 가진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 아닐까 싶다 진단했다.

자신이 통과한 환경, 그리고 지금의 환경들이 비슷해서 비슷한 결론에 이르렀다는.

그걸 넘기 쉽지 않을 거라고.

자신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 밖을 바라보고자 애쓰겠다 말했다.

 

그래서, 지금 하려는 말은?

문학하는 것들의 문학 말고

문학이 주는 그 문학을 해보겠다는 말? 그런 걸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14 9월 28일 불날 더러 맑기도, 우리집 닭 옥영경 2004-09-28 1525
6213 2008. 1. 4.쇠날. 맑음 / 평마단식 강연 옥영경 2008-01-08 1523
6212 2007. 2.23-4.쇠-흙날. 맑다 흐림 옥영경 2007-03-04 1523
6211 2006.2.14.불날. 비 사이 다사로운 바람 옥영경 2006-02-15 1523
6210 153 계자(8/5~8/10) 갈무리글 옥영경 2012-08-13 1522
6209 2008. 2.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522
6208 8월 12-15일, 민족건축인협의회 여름캠프 옥영경 2005-09-07 1522
6207 2008. 3.28.쇠날. 맑음 옥영경 2008-04-12 1521
6206 2006. 6. 3.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518
6205 113 계자 이틀째, 2006.8.22.불날. 비 옥영경 2006-09-05 1518
6204 7월 2-3일, 안동출장 옥영경 2004-07-13 1517
6203 4월 12일 달날, 잔치 소문난 날 옥영경 2004-04-27 1517
6202 7월 3-4일, 지나샘 옥영경 2004-07-13 1516
6201 127 계자 닷샛날, 2008. 8.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514
6200 2007.12.19-22.나무-흙날 / 유기농업연수 옥영경 2007-12-31 1513
6199 7월 8일, 용주샘 전공을 살려 옥영경 2004-07-19 1513
6198 품앗이 최재희샘과 그의 언니네, 4월 17일 옥영경 2004-04-28 1513
6197 112 계자 사흘째, 2006.8.9.물날. 소나기 옥영경 2006-08-17 1512
6196 2007.10.31.물날. 들여다보면 비치겠는 하늘 옥영경 2007-11-13 1509
6195 2006.4.21.쇠날 / 두 돌잔치(+달골 아이들집 안택굿) 옥영경 2006-04-27 150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