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하기도 하지, 비 내린다는 오늘, 날이 맑았다.

대신 바람은 셌지만.

새벽 5시 산오름 김밥을 위해 쌀을 담그고

김밥 속으로 쓸 김치와 멸치를 볶았다.

일명 물꼬 김밥이 될 것이었다.

 

새벽 2시도 넘어 잔 사람들을 7시에 깨웠다.

아침밥상에 모이는 시간,

(희중샘은 김밥김과 고구마를 사러 나갔다.

차가 있으니 쓰게 된다.

어제만 해도 갑자기 월남쌈을 먹기로 하면서 희중샘은 고기 사러 황간까지 다녀왔다.)

그 고구마 딱 우리 개수만큼 있었더라는.

물꼬의 기적이라고 하자.

 

설거지를 하는 동안 한켠에선 김밥을 싸고 가방을 싸고.

차 두 대에 모두가 나눠 탔다.

민주지산 산오름이라.

아이들과 오를 때처럼 물한계곡 주차장에서부터 걷기 시작해

계곡을 타고 시작점에서 다리를 쉬고,

다시 1지점 시내에서 땀을 닦고,

1.5지점에서 바위에 앉았다.

겨울산다운 눈이 그곳에서부터는 꽝꽝 얼어있었다!

이 기세라면 꼭대기까지 가고야 말겠지만

저 털신을 신고? 어림없다. 어쩌려고? 겨울산을 그리 만만히 보아서야.

말려야 하리.

얼음이 없다면야 눈이 없다면야 무에 대수랴.

접을 줄도 아는 게 또 지혜라.

물꼬가 정한 2지점을 막 지나 편편한 돌들에 기대 앉아 가방을 풀었다.

대전에서 온 천문연구원들이 곁에서 같이 놀았다.

어제 같이 불렀던 아카렐라 곡 둘을 공연이라 하고,

연구원들도 재밌다며 동영상을 찍고, 같이 사진도 한 장.

 

물을 끓였다.

핫초코을 마셔야지. 아이들처럼 그러고 싶었지.

그 버너로 말할 것 같으면,

아이들이 겨울 산에서 언 손으로 따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일찍이 윤호네서 마련해주었던 것이었다.

때때마다 얼마나 요긴한지.

걸쭉하도록 초콜릿을 타서 온 입에 묻히며들 겨울바람을 털었더라.

 

내려오며 1.5지점 작은 개울에서

9학년들이 가위바위보를 하며 물에 손 담그기 한다.

싱그럽다.

아름다운 얼굴들이다.

삶의 곳곳에서 만나는 아름다움이라.

사람을 살도록 하는 그것.

인간의 유한성을 슬프지 않게 해주는 건

늘 그런 아름다움과 인간성이라 불리는 따스함이었더라.

 

물한주차장으로 돌아와 해우소를 갔다.

물꼬 바깥해우소에 견주면 편해서도,

무엇보다 따뜻해서도 들어가서 나올 줄을 몰랐더라지.

밖은 회오리 같은 바람이 텅 빈 주차장을 휘몰고 있었으니까.

우리 몸을 나뭇잎처럼 흩날리게 했으니까.

그런데 어느 순간 우리는 그 너른 마당에서 바람을 타고 춤을 추기 시작했다,

넓은 벌에 모닥불을 피우고 불가에서 춤을 추던 부족처럼.

잊힐 수 없는, 결코, 풍경이리.

 

물꼬로 돌아오자 화목샘과 정환샘이 어묵탕을 끓여 기다리고 있었다,

기락샘과 학교아저씨랑 낮밥들을 챙겨먹은 뒤.

다들 산에서 냉장고에 어묵 있다 알렸더라나.

국수까지 곁들이고 있었더라니!

아고, 물꼬에서 해주는 밥 먹이고 싶은 두 샘인 걸.

먼 남도 끝에서들 오기도 했고,

밥바라지로 고생들 해서도 해주는 밥 답례처럼도 멕이고 싶은 밥이었는 걸.

학교에 근무하는 이들이라 두 샘 때문에도 최종 취소를 결정했더랬다.

아이들에게로 혹 감염원이 퍼져갈세라.

하여 개별로는 다녀갈 수 있다는 것에 결국 모두가 모이게 되었지만.

 

얼음판에서 기다시피들 내려온 산길이라.

오달지게 고생했겠지.

한숨 자기로 한다.

아이들과 하던 그 구들더께를 집적이는 아이들도 없이 하는 달콤함이라니, 하하.

남쪽 창 커튼을 내리고

황토방에들 누웠네.

학교아저씨가 뒤란에서 군불을 때셨지.

그야말로 단잠이었어라.

밖에는 거센 바람이 몰아치고 있었다.

 

5시 사람들이 부엌으로 모여들었다.

밖에서는 희중샘과 하다샘을 비롯 샘들이 화롯불을 피웠다.

바람이 셌다.

차양을 벽으로 쳐 그 바람을 막았다.

희중샘이 사온 고기가 석쇠 위에서 익혀지며 사람들을 불러냈다.

손이 시퍼래져서도 모여앉아 한 점씩 먹는 고기,

시골마을 아이들이 모여앉아 참새라도 굽는 불가인 양

자잘거리는 웃음이 흩어졌고,

어깨겯는 이들이 있다는 벅참이 함께하고, 모진 바람이 우리를 더욱 붙게도 했던,

이 역시 아름다웠던 한 순간이었다.

부엌 화덕 위에선 고기를 먹지 않는 이를 위한 조개와 소라찜이 익어가고

한켠에선 콘치즈가 자글거리고...

옥샘 짜파구리 알아요?”

알 턱이 없다. 영화 <기생충>으로 더 널리 알려졌다는.

정환샘이 사람들 주문에 따라 짜파구리를 비벼내고.

도저히 도저히 그 무엇보다 들어갈 공간이 없는 위였으리.

 

2040분에야 실타래를 위해 수행방으로 모였다.

각자가 지니고 온 생각보따리를 풀었다.

깊은 경청이 있었고, 따스함이 있었다.

신기하기도 하지, 누군가가 물음을 던지며 바로 곁에서 답을 지닌 이가 앉았더라니.

무엇을 꼭 해결해야 한다는 강박을 지닌 것도 아니었는데

그저 말하고 듣는 속에 대답이 있었더라니.

새 학년도에 고3 담임이 되는 화목샘의 고민에는

대학생들이 나서서 거기까지라도 진로지원을 가자는 결의까지 있었다.

전라도 저 먼 섬의 고교3년생들에게

서울에서 왔다는 멘토는 적지 않은 응원이 될 수도 있으리.

새 학년도에 대한, 아니 새 날에 대한 결의도 빼놓을 수 없었네.

 

22:30 어제에 이은 단법석.

무슨 일이 어떻게 있었는지는 그 시간에 있었던 이들과 지니기로 :)

산을 내려와 낮잠까지 잤으니 남은 힘이 얼마나 많았을는지만 증언함.

, 다음 계자에서 새끼일꾼이 꼭 되고 싶다는 상촌 도영의 줄기찬 구애에 인교샘 왈,

지역인재전형으로 뽑아야 한다는 제언.(인교샘은 참말 재미난 사람!)

거기에 또 모두가 한 동의가 있었네.

 

벌써 이틀째 밤이, 하지만 한편 길기도 길었던 시간이기도.

아마 먼 산길을 걷고 돌아왔기 때문이기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576 2024. 1.23.불날. 눈 / 끊임없이 자기 해방하기 옥영경 2024-02-07 131
6575 2024. 1.22.달날. 맑음 / 포트락 옥영경 2024-02-07 161
6574 2024. 1.21.해날. 비 옥영경 2024-02-07 124
6573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291
6572 2024. 1.19.쇠날. 흐림 / 문바위 옥영경 2024-01-29 168
6571 2024. 1.18.나무날. 비 옥영경 2024-01-29 160
6570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160
6569 2024. 1.16.불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158
6568 2024.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152
6567 2024.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172
6566 2024. 1.13.흙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177
6565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370
6564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312
6563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242
6562 173계자 나흗날, 2024. 1.10.물날. 구름에 살짝 걸린 해 옥영경 2024-01-13 229
6561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317
6560 173계자 이튿날, 2024.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10 319
6559 173계자 여는 날, 2024. 1. 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09 551
6558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321
6557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294
XE Login

OpenID Login